홈 > 디렉토리 분류

1784년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면향약계선생안(面鄕約稧先生案) 제1책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WZ.1784.4884-20100731.Y1042801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작성주체 남면향약계
작성지역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작성시기 1784
형태사항 크기: 37.5 X 22.5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1책(152면)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남해 율곡사 /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당항리 1473-1
현소장처: 남해군청 /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망운로9번길 12

안내정보

1784년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면향약계선생안(面鄕約稧先生案) 제1책
경상남도남해군남면에서 실시되었던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의 운영방침과 1784년부터 1950년까지의 임원 명단이 기재된 자료이다. 18세기 이후에 접어들게 되면, 1개 면을 단위로 한 향약 실시가 확산되는데, 남면향약계 역시, 그러한 추세에 따라 시행되었다. 남면향약계는 남면 사람들에게 공적 또는 사적으로 필요한 공동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아울러 명단에는 남면향약계를 주도했던 임원들의 직책과 명단이 기재되어 있어, 남면 내에서 향약을 주도했던 세력을 살펴 볼 수 있다.
이광우

상세정보

1784년부터 1950년까지 경상남도남해군남면에서 실시된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의 임원(任員)을 기재한 선생안(先生案)
面鄕約稧先生案 第壹冊
完文 座目
[내용 및 특징]지금의 경상남도남해군남면에서 실시되었던 향약 관련 자료이다. 남해군남면에서의 향약 실시는 1784년부터이며, 지금까지 그 전통을 계승하여 매년 3월과 9월 중 15일에 남면당항리에 설립된 율곡사(栗谷祠)에서 계회를 개최해 오고 있다. 율곡사1964년 계원들이 중심이 되어,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향약을 계승하고, 제례를 지내기 위해 건립된 사당이다. 율곡사에는 남면에서 실시된 향약과 관련된 자료가 많이 남아 있는데, 여기서 설명할 「면향약계선생안(面鄕約契先生案)」제1책(第壹冊)을 비롯하여, 「면향약계선생안(面鄕約契先生案)」제2책(第貳冊), 「계규(契規)」, 「면학계완문(面學契完文)」은 남면 향약의 구성원과 운영 양상을 파악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자료로 볼 수 있다.
「면향약계선생안」제1책은 「면향약계선생안」제2책과 더불어 최초, 남면향약이 최초 시행된 1784년부터 지금까지의 반수(班首), 공원(公員), 유사(有司). 장무(掌務) 등의 향약 임원 명단이 기재되어 있다. 제1책은 가장 앞에 건륭(乾隆) 49년(1784) 윤(閏)3월에 최초 시행 될 당시의 완문(完文)이 기재되어 있고, 그 뒤로 연도별 임원을 수록하고 있다. 최초 선생안이 성책 된 연도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어느 시점부터는 추록(追錄)한 듯하다. 기록된 시기는 1950년 3월까지인데, 1829년 이전까지의 약임은 교체된 간지(干支)만 기록되어 있어 명확한 임명 시기는 알 수가 없다. 1책의 가장 앞에는 1784년에 제정된 완문이 기재되어 있다. 완문에는 최초 면향약이 실시된 연유와 기본 운영방침, 4조의 절목(節目)이 나타나 있다.
먼저 완문에는 면(面)에 별도로 저축해 놓은 것이 없어, 관사(官事)로 긴급히 사용되는 재물을 재촉 당할 때마다, 어려움을 면하지 못하는 폐단을 가지고 있다며 어려운 실정을 말하고 있다. 이에 면중(面中) 공의(公議)를 거쳐 돈을 모아 취식(取息)하여 100여금을 모은 연후에, 원금은 두고 이자로 공사(公私)의 일에 사용하는 향약이 결성되었다고 한다. 마지막에는 향약의 첨원(僉員)들이 지켜야 할 4조의 절목이 수록되어 있는데, 대략은 다음과 같다. 일(一), 각동(各洞)에 동전(同錢)을 나누어 주어 취식(取息)하는데 4분식(四分式)을 규정으로 한다. 일(一), 취회(取會)는 매년 봄과 가을에 실시하며, 접대(接對)에 사용되는 비용은 각 마을이 힘을 모아 낸다. 일(一). 취회(取會)에 불참하는 동(洞)은 해당 동의 이임(里任)에게 태(笞) 10도(度)를 친다. 일(一), 말을 가려하지 않고, 상의(上衣)를 입지 않고, 술에 취해 난동을 부리는 자도 태(笞) 10도(度)를 친다.
완문 다음에는 1950년 3월까지의 약임(約任)이 기재되어 있는데, 거의 대부분은 매년 계회가 개최되는 3월과 9월에 임명되었다. 약임은 크게 계장(稧長), 공원(公員), 유사(有司), 도장무(都掌務)가 있는데 시기에 따라 명칭과 정원수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먼저 반수는 남면향약계의 우두머리로 1명을 두었다. 초창기 계장은 반수(班首)와 계수(稧首)라는 명칭이 혼용되었다. 그러나 계수는 1833년 이후로는 나타나지 않는다. 반수는 1891년까지 사용되었다. 1892년 3월부터는 반수 대신 면수(面首)라 호칭했으며, 1927년 3월년부터는 지금처럼 계장이라고 불리기 시작했다. 1948년 9월부터는 부계장(副稧長) 1명이 새로 두어지게 된다. 공원과 유사는 최초 면향약이 시행 될 때부터 확인되며, 명칭의 변화는 없다. 다만 정원수는 변화가 있는데 공원의 경우 최초 1명에서, 1844년부터는 2명, 1850년부터 1863년 6월까지 1명, 1863년 9월부터 1912년까지 2명, 1913년 3월에서 1928년까지 1명, 다시 1929년 3월부터는 2명을 두기 시작했다. 유사는 최초 1명에서, 1829년 7월부터 1912년까지 2명, 1913년 3월에서 1928년까지 1명, 1929년 3월부터는 공원과 같이 2명을 두었는데 공원의 정원과 거의 같이하고 있다. 도장무는 1명을 두었는데 1912년까지 확인된다. 1912년부터는 도장무가 없어지고 공원과 유사도 각각 2명에서 1명으로 줄어드는데, 일제시대에 접어들면서 향약 운영에 있어서 변화가 나타남을 추측 할 수 있다. 한편, 도장무는 초창기에는 장무(掌務)로, 19세기 초반부터 1863년까지 도장무로, 1864년 3월부터 1866년 3월까지는 도이정(都里正)으로, 1880년 5월부터 1887년 4월까지는 다시 장무(掌務)로, 그 이후로는 도장무로 호칭되었다.
약임의 임기에 대해서는 1934년의 「계규(契規)」 이전의 기록은 확인 할 수 없어 명확하지는 않지만, 각 연도별 임명 시기를 통해 추측 할 수 있다. 약임의 임기도 시기적으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계장의 경우 20세기 이전까지는 임기가 일률적이지 않다. 하정륜(河丁崙)이 반수를 1843년 11월부터 1853년 3월까지, 박기윤(朴基贇)이 면수를 1897년 9월부터 1906년까지 약 10년 간 최장기간 계장의 직을 역임하였으며, 대체적으로 짧게는 1년 미만에서 길게는 5년 이상의 임기 기간이 나타난다. 하지만 1914년부터는 강희주(姜喜周)만 3년간 면수를 역임하였고, 그 이후로는 거의 대부분 1년의 임기를 보여주고 있다. 20세기 이전에는 한 번 계장에 임용이 되면, 원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계장의 직을 유지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공원과 유사는 나중에 다시 임명되는 경우가 일부 있지만 대부분은 1년 내외의 임기를 나타내고 있다. 1912년까지 확인되는 도장무의 임기도 일률적이지 않은데, 초창기 계장과 마찬가지로 한 번 임명 되면, 특별한 일이 없는 한 지속적으로 직을 수행한 것 같다. 김유공(金有功)의 경우 1864년 3월부터 1883년 5월까지 최장기간 도장무의 약임을 수행하였으며, 1년에서 10년 이상까지 다양한 임기 기간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1934년의 「계규(契規)」에 따르면 각 임원의 임기를 3년으로 정한다고 나타나 있다. 하지만 1934년 이후도 그렇고 어떤 약임도 임기 3년을 정확하게 채우는 자를 확인 할 수가 없어, 「계규」와 실재 운영에서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다.
각 약임의 역할과 지위에 대해서는 역시 1934년 이전의 기록이 없어 명확하지 않다. 다만 1934년 「계규(契規)」에 따르면, 계장은 남면향약계를 대표하며 계무(契務)를 통할하고, 공원은 총회에서 계장을 선거하며 계장 보좌 및 계무 감찰하고, 유사는 제반 문안(文案) 및 재물을 관장․처리한다고 나타나 있어, 이전 약임의 임무를 추정할 수 있다. 약임 서열의 경우 공원 이전에 유사를, 계장 이전에 공원과 계사를 역임했던 자들의 간격을 살펴 볼 때, 보통 10년 내외의 간격이, 길게는 30년 가까이 간격 차이가 있어 연배로 추정 할 때, 서열이 유사, 공원, 계장 순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장무의 경우 1912년 이전에 없어진 자리라 명확하지 않으나, 신분상으로 다른 약임과는 차이가 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도장무, 장무, 도이정을 역임했던 20여명 가운데 유사, 공원, 계장 등의 약임에 임명 된 자가 단 한명 도 없다. 일면의 사족과 중․서․양․천(中․庶․良․賤) 등이 모두 참여하는 일반적인 면약(面約)의 경우 사족과 비사족을 상인(上人)과 하인(下人)으로 구분하고 하인에게 별도의 약임을 주었는데, 도장무도 그러한 유(類)로 추정된다. 향촌 내 유학의 진흥을 위해 결성된 1890년 「면학계완문(面學契完文)」 좌목(座目)에 도장무를 역임했던 자들이 한명도 포함되어 있지 않은 사실, 신분에 의한 구별이 크게 퇴색된 1912년 이후로는 도장무가 나타나지 않는 사실 역시, 이러한 구분이 있었음을 추측케 해준다.
본 선생안에는 일부 누락된 기간을 제외하고 총 352명이 기재되어 있으며, 연도별 누적 인원수는 960명이다. 성씨별로는 김(金) 100명, 박(朴) 61명, 하(河) 38명, 한(韓) 21명, 이(李) 17명, 류(柳) 16명, 윤(尹) 15명, 조(曺) 12명, 강(姜) 11명, 고(高) 9명, 공(孔) 8명, 정(鄭) 7명, 최(崔)와 백(白)이 6명이며, 이외에도 권(權), 동(董), 손(孫), 송(宋), 신(申), 양(梁), 우(禹), 임(任), 장(張), 전(田), 조(趙)씨가 있다. 약임 중에 가장 중요한 계장은 모두 47명이 역임했으며 하(河) 12명, 김 11명, 박 8명, 이 4명, 류․윤․한씨가 각각 2명이며, 그 외 강․고․공․백․임․조(曺)씨가 1명씩 확인된다. 한편, 1934조선총독부중추원(朝鮮總督府中樞院)의 조사에 따르면, 남해군남면의 대표적 동족(同族)마을로 상가리(上加里)의 진양하씨(晋陽河氏)와 당항리의 김해김씨(金海金氏) 마을이 확인된다는 사실과 선생안에 기재된 약임의 성씨와 계장을 역임한 성씨의 비중을 볼 때, 남면향약계는 김씨와 하씨 및 박씨와 이씨가 주도했음을 알 수 있다.
[자료적 가치]조선후기에 보편화 된 면약(面約)의 시행 추이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면약의 실시는 18세기 이후부터 확산되는 추세이다. 면약은 일면(一面)을 단위로 해서 사족과 중인(中人)․서얼(庶孼)․양인(良人)․천민(賤民) 등이 참여하는데, 관(官)의 수취체제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향촌 내 기강확립, 향촌 운영의 기반이 되는 민들의 유리 등을 막기 위해 실시되었다. 한편, 면약은 수령이 향촌통치 차원에서 주도를 하고 면(面)을 단위로 시행한 관계로 주현향약(州縣鄕約)이라고도 불렸다. 수령은 신분 기강 및 위계질서의 확립, 면을 다스리는 향리와 관속의 규제, 유의유식자(遊衣遊食者) 규제, 환란상휼(患亂相恤), 농사권장 등을 목적으로 향약 실시를 주도했던 것이다. 남면향약계 자료가 보관된 율곡사에도 조선시대 현령(縣令)으로부터 하달된 절목이 남아 있어, 면약과 관권과의 관계를 추정할 수 있다. 아울러 20세 이후 면약 운영의 변화 추이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朝鮮の姓名氏族に關する硏究調査』, 朝鮮總督府中樞院 編, 朝鮮總督府中樞院, 1934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南海郡鄕土誌』, 南海郡敎育會 編, 景仁文化社, 1990
『조선후기향약연구』, 향촌사회사연구회, 민음사, 1990
『鄕約의 大綱』, 南海文化院, 南海文化院, 2001
『지방사와 지방문화』10권 2호, 김희태, 역사문화학회, 2007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84년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면향약계선생안(面鄕約稧先生案) 제1책
面鄕約稧先生案
完文
爲完定事唯我一面素無面儲
凡於需用之道非徒窘急而至於官
事催用之急常未免團欒之弊當時
任掌者頗有紛紜之患玆以面中會同
共議如干錢兩泛年取殖以至百餘金
然後存其本取其利則於公於私實爲
俱便其於取用之道豈不義哉各樣節
目以列于左唯願僉員恪勤奉行以到
成就之地幸甚焉
一同錢分給各洞取殖而每兩四分式規定事
一聚會則一年春秋兩次而接對叚兩洞合力事
一會所不參之洞該里任決苔十度事
一不擇言語不着上衣醉酒亂座者決苔十度事
乾隆四十九年甲辰閏三月日
班首河命洪丁巳二月日故

公員李命元戊午七月日在喪

有司尹命殷戊申四月日故

掌務金俊鼎戊申口月日故

有司朴就重癸丑三月日口父喪頉

掌務金佑泰甲寅正月日父喪頉

有司金德衡
掌務李命秋丁巳三月日汰擧

班首李宜春戊午七月日故

公員河自崙丁巳十月日在喪

班首李思謙
公員朴聖殷
有司金德衡庚午九月日呈單遆代

掌務李允采汰擧代
李命秋金幸得【改差】
班首李思謙
公員朴聖殷
有司姜命渭
掌務李允樹辛未三月日母喪頉

契首李啓新
公員河大漢乙亥九月日改

有司姜命渭乙亥九月日改

都掌務朴良福乙亥九月日改

契首李思謙
公員高命勛
有司韓道雄
都掌務金德行
稧首朴安儉
公員高命勛
有司韓道雄己卯三月日改

都掌務金德行己卯四月日改



契首朴安儉
公員高命勛壬午九月十七日改

有司白再雄
掌務金幸得
契首朴安儉乙酉三月日改

公員河自崙乙酉三月日改

有司白再雄
掌務金幸得乙酉三月日改

契首河自崙
公員尹丁甲
有司白再雄戊子九月日改

掌務朴宗敏
金致浲


班首河自崙
公員河允漢
有司尹德悅己丑七月日喪頉

都掌務朴業俊
己丑七月十六日
班首河自崙
公員河允漢庚寅三月日呈單遆代

有司朴安福
都掌務朴業俊
班首河自崙
公員柳昌振辛卯九月日呈單遆代

有司朴安福
鄭哲嚴
都掌務朴業俊壬辰三月日呈遆代

壬辰三月十五日
班首河自崙
公員鄭興祿壬辰六月日喪頉

有司朴安福
鄭哲巖
都掌務金德行
壬辰六月日
班首河自崙壬辰十月日故

公員金時武
有司朴安福
鄭哲巖【改名瑞暻

都掌務金德行


癸巳三月日
契首河允漢
公員金時武
有司朴安福【九月日遞代

鄭瑞璟【三月日遞代

都掌務金德行
癸巳九月日
班首河允漢
公員金時武
有司崔景崙
金世重
都掌務金德行甲午四月日身死

都掌務金洛宗
都掌務金聖旭乙未九月日

丁酉三月十五日
班首朴安儉
公員金時武
有司朴鳳業丁酉三月日遞代】
金世重
都掌務金聖玉改差代
金宗祿
有司韓周奎丁酉三月日】
戊戌三月十五日
班首朴安儉
公員朴深茂
有司崔景崙戊戌九月日

高相範
都掌務金聖玉
己亥三月日
班首朴安儉
公員河丁崙
有司崔景崙
高相範
都掌務李得哲
庚子九月十五日
班首朴安儉
公員崔景崙
有司朴鳳業
高相範
都掌務李得哲
辛丑九月十五日
班首朴安儉
公員柳慶浲
有司朴鳳業
高相範
都掌務李得喆
壬寅三月十五日
班首朴安儉
公員尹德悅癸卯三月日遞代

有司韓奉周癸卯九月日遞代

金孟龍
都掌務李得喆
癸卯三月十五日
班首朴安儉
公員河錫崙癸卯九月日遞代

有司韓奉周癸卯九月日遞代

金孟龍
都掌務李得哲
癸卯九月十五日
班首朴安儉癸卯十月日故

公員高慕聖
有司朴英秀
金孟龍
都掌務李得喆
癸卯十一月日
班首河丁崙
公員高慕聖
有司朴英秀
金孟龍
都掌務李得哲
甲辰七月日
班首河丁崙
公員高慕聖
尹德夢
有司李時馥
金孟龍
都掌務李得喆
乙巳九月日
班首河丁崙
公員李時馥
朴鳳業
有司河相權
曺孟淳
都掌務鄭聖宗
丁未九月日
班首河丁崙
公員金時武
韓奉周
有司河相權
尹添伊
都掌務鄭聖宗
戊申三月日
班首河丁崙
公員金時武
韓奉周
有司金成喆
尹添伊
都掌務李得哲
戊申九月日
班首河丁崙
公員高慕聖
高相範
有司金成喆
金仁謙
都掌務河宗玉
己酉三月日
班首河丁崙
公員柳永斗
高相範
有司金成喆
金仁謙
都掌務河宗玉
庚戌三月日
班首河丁崙
公員河相權
有司朴啓周
尹在浩
都掌務河宗玉
辛亥三月日
班首河丁崙
公員河相權壬子三月日改

有司朴啓周
金鍾源壬子三月日改

都掌務金東石辛亥三月日改

金聖悅
壬子三月日
班首河丁崙
公員金時武
有司金錫昌
姜達周
都掌務金聖悅
癸丑三月日
班首河丁崙
公員金時武
有司河永勲
姜達周
都掌務金聖悅
癸丑九月日
班首高慕聖
公員朴基珩
有司河永勲
曺雲亨
甲寅三月日
班首高慕聖
公員河鎭豪
有司金成喆
曺雲亨
都掌務河宗玉
甲寅九月日
班首高慕聖
公員河鎭豪
有司金成喆
金百能
都掌務河宗玉
乙卯九月日
班首高慕聖
公員河鎭豪
有司金成喆
河敬溶
都掌務河宗玉
丙辰三月日
班首高慕聖
公員河鎭豪
有司朴就煥
河敬溶
都掌務河宗玉

丁巳三月日
班首高慕聖
公員金成喆
有司朴就煥
韓正弼
朴尙春
都掌務河宗玉
戊午三月日
班首高慕聖
公員金成喆
有司朴就煥
朴尙春
韓鎭邦
都掌務河宗玉
戊午九月日
班首高慕聖
公員金成喆
有司韓鎭邦
金聱洛
都掌務河宗玉
己未九月日
班首高慕聖
公員金成喆
有司朴桂弘
韓璟柱
都掌務河宗玉
庚申九月日
班首柳承斗
公員朴就煥
有司鄭仁璹
韓璟柱
都掌務河宗玉
辛酉三月日
班首柳永斗
公員朴就煥
有司鄭仁璹
韓璟柱
都掌務河宗玉
辛酉九月日
班首柳永斗
公員朴就煥
有司鄭仁璹
白聖玉
都掌務河宗玉
壬辰三月日
班首柳永斗
公員河永勲
有司河鍾璂
金志斗
都掌務河宗玉
壬戌九月日
班首金時武
公員河永勲
有司河鍾璂
金志斗
都掌務河宗玉
癸亥六月日
班首金時武
公員河永勲
有司高得明
金智斗
都掌務河宗玉
癸亥九月日
班首金時武
公員河永勲
有司高得明
金智斗
都掌務河宗玉
癸亥十一月日
班首河鎭豪
公員朴啓桓
金鍾源
有司高得明
金士喆
都掌務河宗玉
甲子三月日
班首河鎭豪
公員朴啓桓
金鍾源
有司高得明
尹尙徹
都里正金有功
甲子九月日
班首河鎭豪
公員朴啓桓
金鍾源
有司高得明
高達天
都里正金有功
乙丑四月日
班首河鎭豪
公員柳煥柱
金仁謙
有司朴在鎭
高達天
都里正金有功
乙丑九月日
班首河鎭豪
公員柳煥柱
金仁謙
有司朴在鎭
高達天
都里正金有公
丙寅三月日
班首河鎭豪
公員曺命振
朴英秀
有司朴在鎭
金福連
都里正金有公
丙寅九月日
班首河相權
公員曺命振
朴英秀
有司尹相澈
金瑀攝
都掌務金有公
丁卯三月日
班首河相權
公員朴啓周
金瑛鍾
有司柳洛元
尹仁七
都掌務金有公
戊辰三月日
班首河相權
公員崔天鶴
金百能
有司韓鎭邦
金在鎰
都掌務金有公
戊辰九月日
班首河相權
公員河鎭昱
金百能
有司韓鎭邦
金在鎰
己巳三月日
班首河相權
公員柳大元
朴桂弘
有司金戒默
韓正彦
己巳九月日
班首河相權
公員柳大元
朴桂弘
有司朴基珷
董尙福
都掌務金有公
庚午三月日
班首河相權
公員朴禮容
公員朴就賢
尹尙澈
有司朴載淳
金孝權
都掌務金有公
庚午九月日
班首河相權
公員朴就賢
尹祥澈
有司朴載淳
金孝權
都掌務金有公
辛未三月日
班首河相權
公員里元弼
曺獜道
有司朴載淳
辛未九月日
班首河相權
公員朴禮容
曺獜道
有司孔宗圭
金汝根
壬申三月日
班首河相權
公員河洛圖
尹仁七
有司金致璣
韓大春
庚辰五月日更剏
班首河鎭昱
公員河應源
有司朴處潤
田大春再任
掌務金有公
辛巳九月日
班首河鎭昱
公員河應源
朴尙春
有司高瑨永
曺羲烈
掌務金有公
癸未三月日
班首河鎭昱
公員河鍾根
朴尙春
有司高瑨永
曺羲烈
掌務金有公
癸未五月日
班首河鎭昱
公員河鍾根
金鍾鉉
有司朴成琯
金璂璜
掌務金有公
丁亥四月日
班首河仁鶴
公員朴在鎭
白成玉
有司姜孝柱
金璂璜
掌務金連俊
戊子三月日
班首河仁鶴
公員朴在鎭
金士成
有司姜孝柱
任永憲
都掌務金連俊
己丑三月日
班首河仁鶴
公員韓正弼
韓昌箕
有司姜孝柱
任永憲
都掌務金延俊
己丑九月日
班首河仁鶴
公員鄭禮寬
曺羲烈
有司孔琪洙
朴弼龍
都掌務金延俊
庚寅三月日
班首河仁鶴
公員河成源
金汝根
有司孔淇洙
柳成蘭
都掌務金延俊
辛卯三月日
班首河仁鶴
公員河成源
金孝權
有司河文九
尹尙五
都掌務金延俊
辛卯九月日
班首河仁鶴
公員朴文範
金孝權
有司河文九
尹尙五
都掌務金連俊
壬辰三月日
面首河仁鶴
公員朴基贇
姜純亨
有司柳致敏
尹尙五
都掌務田學守
壬辰九月日
面首河仁鶴
公員朴桂廷
韓鎭武
有司柳致敏
都掌務田學守
癸巳三月日
面首河仁鶴
公員河禹根
金基璜
有司金弼完
鄭局珣
都掌務田學守
癸巳九月日
面首河仁鶴
公員河禹根
禹麗洪
有司河永文
金仁謙
都掌務田學守
甲午三月日
面首河仁鶴
公員河守源
任永憲
有司朴弼鎭
金元祚
都掌務田學守
甲午九月日
面首河仁鶴
公員河守源
任永憲
有司尹尙五
金元祚
都掌務田學守
乙未三月日
面首河仁鶴五月日故
公員河守源
任永憲
有司尹尙五
金元祚
都掌務田學守
乙未九月日
面首金胤公
公員河晳琰
尹文碩
有司朴致江
金敬雲
都掌務田學守
丙申三月日
面首金胤公
公員河晳琰
尹文碩
有司朴致江
金敬雲
都掌務田學守
丙申九月日
面首金胤公
公員朴基旭
柳烓桓
有司韓大義
禹祥五
都掌務田學守
丁酉三月日
面首金胤公
公員朴基旭
柳烓桓
有司韓大義
禹祥五
都掌務田學守
丁酉九月日
面首朴基贇
公員崔喆學
朴尙模
有司河甲祚
宋炳斗
都掌務田學守
戊戌三月日
面首
公員姜喜周
朴尙模
有司趙學魯
宋炳斗
都掌務田學守
戊戌九月日
面首
公員姜喜周
金英萬
有司趙學魯
金文學
己亥三月日
面首
公員朴成琯
金英萬
有司韓英周
金文學
都掌務田學守
己亥九月日
面首
公員朴成琯
禹吉祿
有司韓英周
曺學文
庚子三月日
面首
公員朴成琯
金澤淵
有司韓英周
曺學文
庚子九月日
面首
公員李仁達
金澤淵
有司河明環
金敬祚
都掌務田學守
辛丑三月日
面首
公員李仁達
柳明守
有司河明環
金敬祚
辛丑九月日
面首
公員孔致殷
柳明守
有司崔英俊
朴喜容
壬寅三月日
面首
公員孔致殷
任啓玉
有司崔英俊
朴喜容
壬寅九月日
面首
公員金浩範
任啓玉
有司韓昌敎
金基福
癸卯三月日
面首
公員金弼羽
宋仁守
有司韓昌敎
金基福
癸卯九月日
面首
朴日萬
有司金寅契
金富鳳
甲辰三月日
面首
公員朴淳鎭
朴日萬
有司李完植
金富鳳
甲辰九月日
面首
公員河有源
朴弼容
有司朴在永
李成玉
乙巳三月日
面首
公員朴玟坤
金弼浩
有司朴在永
曺汪義
都掌務田學秀
丙午三月日
面首
公員河甲祚
金院實
有司河在璜
李厚祚
丙午九月日
面首
公員尹尙五
金院實
有司河在璜
朴奉順
都掌務崔必明
丁未三月日
面首
公員尹尙五
金斗性
有司高昌琯
朴奉順
都掌務崔必明己酉三月日
丁未九月日
面首
面首河禹根
公員金祥五
公員朴弼鎭
趙丁根
公員高天明
柳基祚
都掌務崔必明
戊申三月日
面首
公員朴弼鎭
趙丁根
有司朴泰柱
柳基祚
都掌務崔必明
戊申九月日
面首
公員姜斗杓
金元祚
有司朴泰柱
白珵基
都掌務崔必明
己酉三月日
面首
公員金祥五
金元祚
有司金昌燮
白珵基
都掌務崔必明
己酉九月日
面首
公員朴聖基
金正完
有司金昌燮
宋昌吉
都掌務崔必明
庚戌三月日
公員尹昌極
金永學
有司金漢奎
宋昌吉
都掌務崔必明
庚戌九月日
面首
公員尹昌極
金永學
有司金漢奎
宋昌吉
都掌務崔必明
辛亥三月日
面首
公員河東會
金基福
有司尹泰奎
金文古
都掌務崔必明
辛亥九月日
面首
公員河東會
金基福
有司尹泰奎
金文古
都掌務崔必明
壬子三月日
面首
公員朴成琯
有司金洪郁
都掌務崔必明
壬子九月日
面首
公員朴成琯
有司金洪郁
都掌務崔必明
癸丑三月日
面首
公員朴成琯
有司金洪郁
甲寅三月日更剏
面首河成源
公員河東會
有司金洪郁
甲寅九月日
面首河成源
公員河東會
有司金洪郁
乙卯三月日
面首河成源
公員河東會
有司尹奎桓
乙卯九月日
面首河成源
公員河東會
有司尹奎桓
丙辰三月日
面首河成源
公員河東會
有司尹奎桓
丙辰九月日
面首朴成琯
公員朴均鎭
有司曺基灝
丁巳三月日
面首朴成琯
公員朴均鎭
有司曺基灝
丁巳九月日
面首金英萬
公員朴均鎭
有司曺基灝
戊午三月日
面首金英萬
公員朴均鎭
有司曺基灝
戊午九月日
面首姜喜周
公員金周燮
有司曺基灝
己未三月日
面首姜喜周
公員金周燮
有司曺基灝
己未九月日
面首姜喜周
公員禹相伍
有司孔甲東
庚申三月日
面首姜喜周
公員禹相伍
有司孔甲東
庚申九月日
面首姜喜周
公員柳成弼
有司金昌守
辛酉三月日
面首姜喜周
公員柳成弼
有司金昌守
辛酉九月日
面首姜喜周
公員柳成弼
有司金昌守
壬戌三月日
面首姜喜周
公員韓昌敎
有司朴秉轍
壬戌九月日
面首河甲祖
公員韓昌敎
有司朴東轍
癸亥三月日
面首河甲祖
公員韓昌敎
有司朴秉轍
癸亥九月日
面首河甲祖
公員河載源
有司金宗灄
甲子三月日
面首河甲祖
公員河載源
有司金宗灄
甲子九月日
面首河甲祖
公員河載源
有司金宗灄
乙丑三月日
面首朴致範
公員朴準琰
有司金在祚
乙丑九月日
面首朴致範
公員朴準琰
有司金在祚
丙寅三月日
面首金英律
公員韓碩東
有司孔炳斗
丙寅九月日
面首金英律
公員韓碩東
有司孔炳斗
丁卯三月日
稧長金英律
公員朴致圭
有司金載烋
丁卯九月日
稧長尹尙五
公員朴敬圭
有司金澓玟
戊辰三月日
稧長尹尙五
公員朴在英
公員朴在英
有司金準根
戊辰九月日
稧長尹尙五
公員朴在英
有司金準根
己巳三月日
稧長白南奎
公員朴鍾善
金性在
有司姜玟洪
梁琪煥
己巳九月日
稧長白南奎
公員姜在敏
尹守道
有司金琪㳬
金權洙
庚午三月日
稧長孔致洙
公員金守澤
金寅契
庚午九月日
稧長任桂玉
公員金宗燮
曺敬源
有司韓太俊
金泳純
辛未三月日
稧長曺學文
公員朴喜容
尹希洙
有司禹章勲
金東環
辛未九月日
稧長柳成弼
公員金洪郁
金權洙
申佑軫
有司朴奎鎭
尹泰奎
壬申三月日
稧長河東會
公員河在根
柳五斗
有司河萬學
金洪奎
壬申九月日
稧長河東會
公員朴準道
金懽燮
有司金文古
金漢祚
癸酉三月日
稧長河東會
公員李厚祚
公員孔敬志
有司宋秉元
有司朴璟洪
癸酉九月日
稧長河東會
公員金昌燮
公員李馥亨
有司朴致五
有司姜玟容
甲戌三月日
稧長河東會
公員金昌燮
李馥亨
有司朴致五
姜玟容
甲戌九月日
稧長韓碩東
公員孔釆東
姜大淵
有司梁甲守
曺烓一
乙亥三月日
稧長韓碩東
公員姜大淵
孔釆東
有司曺烓一
梁甲守
乙亥九月日
稧長李魯亨
公員朴秉轍
金成太
有司金在根
高釆基
丙子三月日
稧長李魯亨
公員金成太
朴秉轍
有司金在根
高采基
丙子九月日
稧長金昌燮
公員金箕模
河萬根
有司河龍周
柳洪根
丁丑三月日
稧長金昌燮
公員金箕模
河萬根
有司河龍周
柳洪根
丁丑九月日
稧長朴在英
公員金在祚
曺聖俊
有司金永灝
戊寅三月日
稧長朴在英
公員金在祚
曺聖俊
有司金永灝
朴珵賢
戊寅九月日
稧長朴合鎭
公員金載烋
朴準賛
有司金太洙
金琮錫
己卯三月日
稧長朴合鎭
公員金載烋
朴準賛
有司金太洙
金琮錫
己卯九月日
稧長金寅契
公員韓大泌
金琪㳬
有司金尙奎
金正洙
庚辰三月日
稧長金寅契
公員韓大泌
金琪㳬
有司金尙奎
金正洙
庚辰九月日
稧長朴致圭
公員孔悛東
崔泳珪
有司河桂仁
朴學奎
辛巳三月日
稧長朴致圭
公員孔焌東
崔泳珪
有司河桂仁
朴學奎
辛巳九月日
稧長金成太
公員朴奎鎭
金權洙
有司河在涉
禹文炯
壬午三月日
稧長金成太
公員朴奎鎭
金權洙
有司河在涉
禹文炯
壬午九月日
稧長尹希洙
公員禹章勲
金亨璣
有司韓命沃
柳洛敏
癸未三月日
稧長尹希洙
公員禹章勳
金亨璣
有司韓命沃
柳洛敏
癸未九月日
稧長朴準道
公員河箕燮
金在根
有司白在欽
金顯相
甲申三月日
稧長朴準道
公員河箕燮
金在根
有司白在欽
金顯相
甲申九月日
稧長河在根
公員朴致行
金漢祚
有司韓彩庚
朴炫順
乙酉三月日
稧長河在根
公員朴致行
金漢祚
有司韓彩庚
朴炫順
乙酉九月日
稧長金洪柱
公員韓碩周
金德俊
有司金泳在
蕫春吉
丙戌三月日
稧長金洪柱
公員韓碩周
金德俊
有司金泳在
蕫春吉
丙戌九月日
稧長金洪郁
公員河東益
朴錤洪
有司河龍圖
金漢洪
丁亥三月日
稧長金洪郁
公員河東益
朴錤洪
有司河龍圖
金漢洪
丁亥九月日
稧長金永河
公員朴天銓
曺基灝
有司金贊文
柳奉甲
戊子三月日
稧長金永河
公員朴天銓
曺基灝
有司金贊文
柳奉甲
戊子九月日
稧長韓大泌
副稧長姜大淵
公員金斗玉
公員曺秉權
有司韓龍基
柳德祚
己丑三月日
稧長韓大泌
副稧長姜大淵
公員金斗玉
曺秉權
有司韓龍基
柳德祚
己丑九月日
稧長金命浩
副稧長朴秉轍
公員鄭尙琫
張在鍾
有司朴杜炫
有司金大洪
庚寅三月日
稧長金命浩
副稧長朴秉轍
公員鄭尙琫
張在鍾
有司朴杜炫
金大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