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91년 이승희(李承熙) 성산향약(星山鄕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WC.1891.4784-20100731.Y1040916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문집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작성주체 이승희
작성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작성시기 1891
형태사항 크기: 28 X 18.7
판본: 연활자본
장정: 선장
수량: 42권 20책
판식: 半郭 : 16.2×21.5㎝, 四周雙邊, 有界, 12行25字, 上向魚尾, 上下白口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214-1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214-1

안내정보

1891년 이승희(李承熙) 성산향약(星山鄕約)
1891성주의 유학자 이승희(李承熙)가 제정한 향약으로, 중국 여씨향약(呂氏鄕約)을 모방하였다. 성산향약에는 향약의 4대강령인 덕업상권(德業相勸)․과실상규(過失相規)․예속상교(禮俗相交)․환난상휼(患難相恤)의 상세 절목이 소개되어 있다. 아울러 성산향약 약회(約會) 때의 의식 절차인 약회의(約會儀), 처음으로 학문을 배우는 이들에 대한 교육 방법이 제정되어 있는 동몽학규(童蒙學規), 마을의 교육 장소인 이숙(里塾)의 운영방법과 교육내용이 나타나 있는 이숙강의(里塾講儀)가 함께 기재되어 있다.
이광우

상세정보

19세기 후반 창산(昌山)의 유림들이 강학과 교화를 목적으로 결성한 창찬학계(昌山學契)의 계안(契案) 서문으로 성주의 유학자 이진상(李震相)이 작성
大溪集 十三大溪先生文集 卷之三十 雜著 星山鄕約大溪先生文集 卷之三十 十六
目錄 一 : 卷之1 詩, 卷之2 詩 二 : 卷之3 序, 卷之4 疏, 卷之5 書 三 : 卷之6 書, 卷之7 書, 卷之8 書 四 : 卷之9 書, 卷之10 書 五 : 卷之11 書, 卷之12 書 六 : 卷之13 書, 卷之14 書, 卷之15 書 七 : 卷之16 書, 卷之17 書 八 : 卷之18 書, 卷之19 書 九 : 卷之20 書, 卷之21 書 十 : 卷之22 書, 卷之23 書 十一 : 卷之24 書, 卷之25 書 十二 : 卷之26 書, 卷之27 書, 卷之28 雜著 十三 : 卷之29 雜著, 卷之30 雜著 十四 : 卷之31 序․記, 卷之32 跋․銘․告文 十五 : 卷之33 祭文, 卷之34 碑銘․墓誌 十六 : 卷之35 行狀, 卷之36 行狀․傳 續天 : 卷之1 詩, 卷之2 詩 續地 : 卷之3 雜著, 卷之4 雜著 續人 : 卷之5 雜著, 卷之6 序․記․跋․箴贊․上樑文․碑碣銘․墓誌․行狀
[내용 및 특징]
성산(星山)에서 실시하기 위해, 1891성주의 유학자였던 이승희(李承熙)가 제정한 성산향약(星山鄕約)이다. 성산향약의 거의 대부분은 여씨향약을 모방한 것으로, 향약의 4대강령에 따른 절목뿐만아니라, 약회의 규정을 다룬 약회의(約會儀), 향촌 내 교육과 관련한 동몽학규(童蒙學規) 및 이숙강의(里塾講儀)가 뒤이어 함께 수록되어 있다.
성산향약의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향약의 기본 4대강령인 덕업상권(德業相勸)․과실상규(過失相規)․예속상교(禮俗相交)․환난상휼(患難相恤)을 제시하고, 각 강령마다의 시행 절목을 수록하였다. 이승희는 가장 앞머리에 성산향약이 여씨향약을 모방했으나 절목에서 차이가 난다고 밝히고 있다. 첫 번째 강령인 덕업상권의 경우 모두 15목으로 ‘효어부모(孝於父母)’, ‘충어군(忠於君)’, ‘경어사(敬於師)’, ‘우어형제(友於兄弟)’, ‘지신유방(持身有方)’, ‘제가유법(齊家有法)’, ‘능교후생(能敎後生)’, ‘목어족(睦於族)’, ‘인어연(婣於烟)’, ‘임어붕우(任於朋友)’, ‘능휼곤궁(能恤困窮)’, ‘능명경학(能明經學)’, ‘능통술업(能通術業)’, ‘능련기예(能鍊技藝)’, ‘능근사공(能勸事功)’이다. 여씨향약이 모두 21목인 것과 차이가 난다. 덕업에 대해서는 각기 스스로 진수(進修)하여 서로 권면하고, 뛰어난 자를 추거(推擧)하여 행상(行賞) 할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두 번째 과실상규는 모두 10목으로 ‘불순부모(不順父母),’ ‘형제불우(兄弟不友)’, ‘불경사장(不敬師長)’, ‘지신불근(持身不勤)’, ‘가도괴란(家道乖亂)’, ‘불목우족(不睦于族)’, ‘혼인불인(婚姻不婣)’, ‘붕우불임(朋友不任)’, ‘불외법령(不畏法令)’, ‘부준약법(不遵約法)’이다. 총 11목인 여씨향약에 비해 1목이 적다. 과실을 범한 자들에 대해서는 바로 처벌하지 않고 서로 규계(規戒)하며, 만약 향적(鄕籍)에 3회 이상 과실로 기록되면 처벌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세 번째 예속상교는 ‘존현이도(尊賢以道)’, ‘양로이차(養老以嗟)’, ‘경조이례(慶吊以禮)’ 이상 4목으로, 6목의 여씨향약보다 2목이 적다. 성산향약의 예속상교에는 선유선사(先儒先師)의 신원이나, 문안(文案)의 영간(營刊), 서당 복원 등과 같은 실질적인 추존사업이 세주로 명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네 번째 환난상휼은 6목으로 ‘사망유혈(死亡有恤)’, ‘무왕유구(誣枉有救)’, ‘굴욕유부(屈辱有扶)’, ‘미약유찰(微弱有察)’, ‘빈궁유주(貧窮有賙)’이다. 환난에 대해서는 각자 이러한 일이 있는지 살피며 상호 방문하고 어려움이 있으면 때를 놓치지 말고 상구(相救)하라고 나타나 있다. 성산향약 다음에는 약회 때의 의식과 절차가 기재되어 있는 약회의가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약회의 날짜와 장소 결정, 기일에 맞추어 모이는 것, 약회 당일 날 당중에 위패를 모시는 것, 성복(盛服), 향중 서열에 따라 서립(序立), 읍례(揖禮), 약규의 성독(聲讀), 선악자(善惡者)에 대한 행상(行賞)과 처벌, 파약(擺約)과 진음식(進飮食)에 대한 절차와 이때의 약정(約正)․직월(直月)의 임무에 대해 나타나 있다. 약회의 다음은 동몽학규로 5조의 ‘절목’, 5조의 ‘교훈’, 5조의 ‘금계(禁戒)’가 기재되어 있다. 동몽학규는 동몽 즉 초입학생(初入學生)의 입학절차, 수업방법, 학생이 지켜야 할 예의범절 및 금지사항이 상술되어 있는데, 학업에 들어가기 전의 수신과 인격도야에 중점을 둔 항목이다.
성산향약의 마지막은 이숙강의로 이숙(里塾)의 강의방법이 나타나 있으며, ‘강원(講員)’, ‘강규(講規)’, ‘강훈(講訓)’, ‘강계(講戒)’, ‘강의(講儀)’ 순으로 기재되어 있다. ‘강원’조에는 강장(講長) 1인, 참강(參講) 2~4인, 직월(直月) 2인, 그리고 강의참관자인 강유(講儒)로 구별해 놓았다. ‘강규’조에서는 천리지상(天理之常)․전칙지정(天則之正)․인직지소당위(人職之所當爲)․인사지소당연(人事之所當然)․학문지요(學文之要) 5개항이 기재되어 있으며, ‘강계’조에서는 3개항으로 불입강자(不入講案者)를 분류해 놓았으며, 마지막 ‘강의’조에서는 강원의 좌석배열 및 각자 소임을 명시해 놓았다.
[자료적 가치]
19세기 후반 제정되었던 향약의 특징에 대해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향약은 이미 18세기를 넘어오면서 일향(一鄕)을 통제하는 권위를 상실한 상태였다. 따라서 본 성산향약 역시, 향약정신 계승 및 사족 간의 결속력 강화라는 목적 하에 제정된 것으로 보이며, 성주 향민들을 규제하는 강제적 기능을 가지지 않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본 향약이 제정된 19세기 말은 신분제의 문란 및 외세의 영향으로 인해, 봉건지배질서체제와 전통유학이 강하게 위협을 받던 시기였다. 성산향약의 제정은 19세기 후반 시대적 변화에 대한, 사족들의 대응으로도 이해 할 수 있다.
『大溪先生文集』, 李承熙, 景仁文化社, 1994
『韓溪 李承熙의 思想硏究』, 劉準基,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조선후기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민음사, 1990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91년 이승희(李承熙) 성산향약(星山鄕約)
星山鄕約【辛卯

約【倣呂氏鄕約立綱
而節目則少異

一曰德業相勸
二曰過失相規
三曰禮俗相交
四曰患難相恤
節目
德業相勸
孝於父母【竭力爲養養志無違
居喪盡禮奉先以誠

忠於君【格其非心見危授命在
官盡職居家奉法

敬於師【能尊其道服勤
事一經紀後事

友於兄弟【家無間言
食不異味

持身有方【言必忠信行必篤敬
見義必爲威儀可則

齊家有法【夫妻能敬男女有禮
嫡妾有分善御僕隸

能教後生【教子義方
成就後學

睦於族【敬事宗嫡
一視同仁

婣於姻【憂樂相將
貧病相賙

任於朋友【相輔以善能受
寄托急人以義

能恤困窮【能救人命能脫
大患○右德

能明經學【六經四子及
宋諸賢文字

能通術業【兵農律曆醫
筭卜譯之類

能鍊技藝【詞章書畵
射御之類

能勤事功【營家勤幹爲民興
利之類○右業

右件德業各自進修互相勸勉每相推擧其大者以備行賞
過失相規
不順父母【不顧其養不勤居喪不祭父母不
孝不忠之大者邦有常刑姑不著

兄弟不友【宿怨相仇爭財
相鬩孤寡失所

不敬師長【背棄所師語逼先賢
凌辱儒長侮慢齒德

持身不謹【惑信左道造作妖言酗酒行悖浮浪街市周流
干乞賭愽財物眤近淫娼干祿無恥忘身殉財

家道乖亂【正妻踈薄男女
無別嫡妾無分

不睦于族【以孽凌嫡以支壓宗
敺罵族長以財相訟

婚姻不婣【論財相賊
投依不恤

朋友不任【導人爲惡受托不顧詬辱
儕輩誣陷良善發人陰私

不畏法令【不勤租賦故犯邦禁非理好訟
憑公作弊非訕官政侵虐平民

不遵約法【主事侵廢妄干錢穀
侵辱約任擅改約規

右件過失各自省察互相規戒每會推擧其大者記于籍三入
而行罰
禮俗相交
尊賢以道【先賢先師事有未白寃有未雪關係儒林者或合議通
諭或爲文辨析關由國家者小則呈官辨明大則呌閽

【伸理○先儒文字關係世教者合力營刊先賢遺墟堂塾合力
修興講會修約于先賢堂塾小則設位上香大則仍行釋奠

養老以羞【自養老所歲時致羞六十者一味七十者二味八十者
三味每有會事六十者加一豆七十者加二豆八十者

【加三


慶吊以禮【達尊師儒及約正之喪直月通告齊赴趨事操文致奠
○約員父母己妻之喪有賻○約員登科及或進秩等

【大慶有助○約正直月都廳歲時致羞都約正三種副約正
二種直月都廳一種○先賢贈爵賜謚等事通告齊赴有助

講信以約【推薦一鄕齒德位望衆所信向者一人爲都約正其次
二人爲副約正擇四十以上有行義文學者四人爲直

【月分掌四面共主約事凡一鄕之事直月禀于約正叅衆議而
行之有不待會而行者直月告于約正大則通會議正小則約

【正采衆議而行之○又選一鄕廉能勤幹者或四或六或八或
十員爲都廳專掌約中錢財○凡有事直月各分所掌之面講

【試則蕫率儒生抄出講錄約會則發擧善惡詔其賞罰○凡納
會必以春憂之交務要整暇如儀每三年一行鄕飮賓禮賢者

【能


右件禮俗各自講究互相提勑每會講求其當行者以時興修
患難相恤
死亡有恤【約中有因禍厄遂値流寓失所者別
加矜恤或有繼嗣失依者別加賙恤

誣枉有救【有事屬䵝味橫被誣毁不能自白通議辨明大則呈官
辨理有爲豪强抑制寃枉不伸者通議救拔大則呈官

【伸


屈辱有扶【有士族無故被縲絏之厄者聯名呈官扶護有修行士
族無故爲吏隸庶民所辱小則合座懲習大則呈官行

【法

微弱有察【或有士族中微不振遂不自拔者通議察擧使之齒列
或有塞族德行特異及以忠孝友睦之類有異行或文

【學特成大名者通
議察擧使得齒列

貧窮有賙【約中廉潔固窮之士飢餓失所者合力賙之大耋無托
貧不能自養者賙之實啣朝官罷散無依貧不能自養

【者賙


忿爭有解【有因過去嫌怨分朋角立者非世讎則兩解之有因
忿怨相詰至阻隔者非大故則責其不直者而平之

右件患難各自察識互相訪問每會論確其當行者以時修擧
約會儀
每會前期定日定所詳細輪告
有因他會事或直月禀約正而定
至期前一日直月都廳入會所
約正及衆員路遠者亦前日入或來宿傍近
措辦會事
都廳掌酒食之具直月掌文事及行禮位次
其日設先賢位於堂中北壁下
先以淨紙寫牌設屛風貼於其上○各因其所所奉先賢若設
先聖先師位則文宣位在堂中先師顏曾思孟位於東壁下先
師周程程朱位於北壁下
都副約正盛服至
都約正有故副約正攝行
直月都廳拜見于東序
如常儀
約員皆盛服至序立於門外東向北上
多則重行異爵者
【堂上官
以上
】序尊者後次長者少者幼者
約正以下出門西向北上約正揖尊者入
諸任從尊長少幼以約正之齒爲次
尊者以下以次入分庭揖當碑揖約正以下立於東階下北面西

諸任以次重行次副約正次直月
尊者以下立於西階下北向東上
亦重行次長者次少者次幼者
立定皆再拜約正升自東階跪上香
若有告則讀祝若行釋奠則別有儀
興降再拜禮畢
直月撤紙牓奉爐焚之撤位降
分東西相向序立
如門外位
約正與尊者揖讓約正先升阼階上少進西向南上副正直月次
其右少退尊者西階上東向約正以下再拜尊者答拜退北壁下
少西南向東上次異爵者長者敵者如初禮
異爵者立于尊者之西長者立于西壁下東向北上敵者立于
其南
少者升東向拜約正約正答拜少者退立于東壁下西向北上次
幼者如之約正就北壁下堂中
副正以下以次而東
少者以下幷立定再拜尊者尊者答拜直月奉約規案置堂中約
正揖衆賓就坐尊者以下皆坐
直月分坐案東西○自此直月紏察紊坐失儀者空坐退便者
乘醉縱言者命執事告過
直月一人進案前跪抗聲讀約規副正推說大意訖
有未達者許質問
命衆推善惡彰著者直月總擧之約正詢于衆得實
在善擧者避坐○必有叅證乃明言之
令直月書之讀記善籍一過命執事持記過籍徧呈在座各默觀
一過直月考善惡三入者付賞罰所當畢
大者一入即行賞罰○其賞一曰記善二曰別席加豆三曰別
給【大者穀帛
小者布紙
】四曰保明【聯狀
報聞
】加勉者進等後渝者減等○其罰
一曰記惡二曰面責【滿座面責非
在座者書責
】三曰付黃四曰論報善改者
減等愈甚者進等其善惡兩入者善大者除其過過大則喪其
善相均者兩停
處置諸事
凡事直月以次開說僉同則定有異議者命進說其由使四座
詳擇各陳其意以多爲定
勘整諸簿乃罷約正起立在座者皆起命直月撤案一時作揖退
若將進飮食則仍復以次坐進飮食畢揖退
少休別處復會堂上
使執事告就坐一時作揖而坐
或講書試文或談說道理至哺而退
復作揖而退
童蒙學規
節目
一始學凡初入學者其父兄先使人通于學中學長許之其父兄
躬進【若路遠
則以書
】請送子入學學長出學規一通使歸教其子若弟使
能上口熟誦【若初不解字者父兄只以
方言解設使熟聞暗記
】擇日上學父兄躬率【路遠
則視

【上
】而至命拜見學長受口教畢命誦學規一遍【初不解字者父兄
又解說學令一遍

畢復起拜進坐受所業
一實業凡在學者除食時外勿許在學外有故者必告于學長每
朝早起盥洗待長者起坐撤寢具掃堂室各退其所復進前受業
讀書之暇除應對給使之外或寫字【午前一次
午後一次
】或集旬【夏則每日
一首稍長

【者或二三首餘時則或
一兩句一二行隨宜
】或投壺【隨

】或排算【隨

】若倦怠則禀于學長
暫出四近【或門外或園中或溪
上或石上可少憩處
】逍遙風詠小選即歸向夕又灑掃
室堂整頓書冊器物乃退夜則誦書之外或質問文義或詠詩向
晩先設長者寢具乃各就宿
一常儀每朝受業置所受書于案上納拜【若稍長者代受
則無納拜一節
】畢背跪
莊誦舊讀一遍復起面跪受其日所讀凡有問質必進跪乃敢言
立長者之前必叉手直立行必摳衣趨隅有人客必侍立將命凡
長者出入升降必起立拱竣出外經宿而還必拜
一日程每日朝前讀所受十遍以上後更逐字逐節上口溫繹復
翻解文義要令成熟掩卷整置乃退食後二次如之午後二次復
如之間將明日所受文字習字習讀互相問講夜則連前讀朗誦
一次率以十五日一易【十歲以上讀經書
者必須連卷成誦
】每朔望早朝後設講席
于堂中【冬則
室中
】具服進案前再拜訖隨所拈背誦講質
一齒序在學者依年次通錄凡請業進講皆視此爲次魚貫而進
退坐次則室中自南【西室西南隅
東室東南隅
】而北堂中自北【西

】而南列坐則
自西而東無敢違越又別立一錄其最長者掌書冊楚具其次隨
宜分掌給役諸事勿推諉或掌者有故則其最長者隨宜拈代使
無差違
教訓
一容貌頭容必正背脊必直視瞻必端叉手尙左以右手拇指緊
把左拇指行則必拱手正身植足着跟目常視地有所敬必鞠躬
進如揖退則揚拜則叉手俯首兩膝齊跪下手至地因俯首至手
所尊則開兩手首至地遂伸臂據地幷起兩膝興平身揖則稍濶
兩足俯首叉手推擧教正圓尊則手齊眼平交則平衡卑幼則小
垂送則抗揖迎則引厭
一執役凡掃室堂必貼地運箒推遷器物教淨無一塵布席必請
何向敬奉而整布之歛席必緊束而閣之更整几案硯具溺器燈
爐杖屨一切須用之具更省一省以備給使左右就養必恭必誠
一言語凡長者召隨聲即應唯而趨有所對必緩聲而末厲歷歷
落落毋勦說胡呌凡有講質必遜志下氣詳陳己意待長者有言
徐更反覆詳細無事則緘口靜默凡市井鄙俚之類絕勿上口
一飮食凡朝夕會食必依齒序歛衣妥坐擧匙下著毋得急據毋
摶飯毋流歠共食必推饌相讓共飯不澤手喫餅果之屬必均一
非長者命不飮酒
一衣服凡晨起必先盥櫛衣冠冠必整着衣提領必直束帶必緊
盥洗必摺屈袪領行路必看顧泥露上階必攝齊趨隅必摳衣服
役必袒上衣無事則雖暑不袒一切華靡翫好皆勿近於身
禁戒
一欺罔凡言語應對必須據實雖犯過當罰直告者稍原其不直
者欺罔一言以上楚三次【八歲以下只諭
而不楚下倣此
】連三犯則黜大者一犯
即黜
一竊匿凡行道勿拾遺棄勿近隣家果樹勿任用長者所用【器用
之類

勿敢用長者所存【如紙片之類
尤當勿犯
】犯者【稍長者誘奪小者
所持與盜竊同
】楚三次連
三犯則黜大者一犯即黜
一鬪詬凡同輩相詬相爭者詰其故曲者楚三次相打者勿問曲
直先手者楚三次不戢者黜
一戱謔角力相要者屛避雜賭者賤俚相慢者喧聒大言者幷楚
三次連三犯者黜
一怠荒長者有命一忘廢者所業不熟者【如誦舊讀差
一句以上
】所職不擧者
幷楚三次連三犯者黜
里塾講儀
講員
講長【有德行文學爲後生表
率者一人專主講事

叅講【行學次於講長者二員或四員年長於講長則曰聽
講講長有故則攝主講事講儒多則分坐受童蒙講

直日二員【有文學操守者一掌書籍主簿錄
一掌儀式主賞罰供具在右講事

講儒【從自願入錄爲原案勿拘門地以齒爲序三十以上爲一案
爲面講三十以下十五以上通經業者爲一案背講蒙學八

【歲以上爲一案有自外至者隨講附錄常參則
入原案有暫至願觀 光者別爲時到案附錄

講規
講書【曲禮內則孝經小學爲始教大學論語孟子中庸
正經通書皇極書二程全書正蒙朱子大全語類近思錄心】
讀書錄退陶書及諸賢文字爲淵源正學節文則儀禮周禮
戴禮大戴禮家禮事功則春秋綱目原續諸史記本國史外國史

【之類自餘詞章稗雜
異端之書不必講

講錄【每講逐名列錄某書自某章至某章通略粗不其答問之際
有發明文義指陳道理者別錄詳載或臨時墨義問答或講

【生預抄疑問受
答俱收載錄

講日【每月朔日童蒙望日又講其日有公共事故前期進退酌定
講任有故前期呈故代攝講儒則其日呈單其不呈者付黃

【待改案呈故不
實者亦付黃

講格【準期勸業爲最文義通暢次之音讀明馴次之三者俱準爲
通一不準爲畧二不準爲粗三不準爲不通者蒙學每講白

【紙五葉不者楚一次經儒三朔計劃三通者白紙三束二通無不
者一束一通無不者十棄三不者罰紙一束二不無通者三葉面

【講者不別
考定其格

講訓
父子有親君臣有義長幼有序夫婦有別朋友有信
右天理之常
頭容直足容重手容恭目容端口容止
右天則之正
格物致知誠意正心修身齊家治國平天下
右人職之所當爲
貌曰恭言曰從視曰明聽曰聰思曰睿
右人事之所當然
愽學之審問之愼思之明辨之篤行之
右學問之要
講戒
三綱五倫天地之常經也學者學此道也一或不盡雖讀破萬卷
非學也有顯然得罪於此者不許入講案
身體髮膚受諸父母衣裳冠帶受諸先王學者所以軆其親法先
王也其或無意於保完而恪遵之自陷於夷狄禽獸之科者不許
入講案
左道惑衆者造言亂俗者雜技賭財者干犯王法者皆非吾學也
不必入講案
酗酒失儀者大言悖慢者怠惰失業者皆非有意於學者不必入
講案
伏羲神農黃帝
代作修明此道闡發此學學者欲學此聖賢也苟不願學此聖
賢者幷不必入講案
講儀
期日直日入講所設講座講長堂中近北南向【室中
隨宜
】書案直其前
叅講于左右西上直日夾案左掌書硯具從右掌儀賞罰具從應
講席于案南講儒分左右而次亦西上圍于南不盡重行講長至
擧坐降叅講以下由西階講長由東階直日從講長揖叅講升就
席掌書東階上點案次掌儀揖講儒序升皆就列直日以下再拜
講長答揖【子侄在列
則避身
】直日以下相揖講長左右揖叅講皆就坐掌
書點應講者起詣講案前置冊于案拜跪告所讀起止起身背跪
待講長抽栍【每冊
一章
】抗聲莊誦更起身前跪答問疑義遂拜而退講
長命通不掌書幷錄如儀更點如初卒講掌儀考錄行賞罰如格
先賞皆作一列拜受罰如之更就坐面講者進拜讀所習書難疑
講義幷通錄訖掌儀進案前抗聲讀講訓講戒告講畢講長以下
起立直日以下揖講長及叅講乃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