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03년 이정(李瀞) 함안향안중수서(咸安鄕案重修序)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2+KSM-WC.1603.4873-20100731.Y1042101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문집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작성주체 이정
작성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작성시기 1603
형태사항 크기: 29.2 X 19.6
판본: 목판본
장정: 선장
수량: 5권 2책
판식: 半郭 : 16.0x19.5㎝, 四周雙邊, 有界, 10行19字,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上下白口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214-1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214-1

안내정보

1603년 이정(李瀞) 함안향안중수서(咸安鄕案重修序)
1603경상도함안 출신의 이정(李瀞)이 작성한 함안향안(咸安鄕案) 서문(序文)이다. 향안(鄕案)이라는 것은 조선시대 때, 각 고을의 자치기구로 설치된 유향소(留鄕所)와 향청(鄕廳) 구성원의 명부로, 고을 내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양반들이 기재되어 있다. 이정의 서문에는 함안향안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과정이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임진왜란으로 함안향안이 소실되자 함안의 양반들은 향안을 새롭게 만들었고, 지역 출신으로 창원대도호부사(昌原大都護府使)를 역임하고 있던 이정에게 서문을 부탁했다고 나타나 있다.
이광우

상세정보

1603경상도함안군에서 重修된 鄕案의 序文으로 李瀞이 작성
茅村先生文集茅村先生文集 卷之二 序 咸安鄕案重修序茅村先生文集 卷之二 十九
1책 : 序, 目錄, 卷1 賦・詩, 卷2 書・祭文・序・雜著・家狀 2책 : 卷3 附錄, 卷4 附錄, 卷5 附錄
[내용 및 특징]
조선중기 경상도함안군에서 鄕案을 重修할 때 작성된 序文이다. 향안은 재지사족들의 자치운영 조직인 留鄕所 品官의 명단이다. 향안에는 지역 내에서 명망 있는 사족들만이 입록될 수 있었다. 경상도함안에서도 조선전기부터 향안이 작성되었으며, 당대의 명망 있는 사족들이 입록되었었다. 함안향안은 『咸州鄕案』이란 제목으로 1939년과 1996년에 만들어진 것이 전해지고 있어, 함안지역 재지사족들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다. 서문은 1603李瀞昌原大都護府使로 있을 때 작성한 것으로, 이정의 문집인 『茅村先生文集』과 『咸州鄕案』에 수록되어 있다.
서문에는 향안이 중수되는 전말이 언급되어 있다. 먼저 함안향안이 한 번은 화재에 의해, 한 번은 임진왜란으로 두 차례에 걸쳐 소실되었으며, 그래서 鄕老와 諸兄들이 향안을 새롭게 만들 것을 도모하게 되었다고 한다. 임진왜란 직후, 각 고을의 재지사족들은 전란으로 소실되어 버린 향안 重修에 전념하였었다. 이에 함안에서도 전란으로 소실되어 버린 향안의 중수를 시도하였던 것이다. 함안향안의 草案이 완성되자, 함안의 재지사족들은 그 草案을 檜山에서 簿領을 맞고 있던 이정에게 보여주고 서문을 부탁하였다. 이정曺植의 門人으로 임진왜란 때 倡義를 했으며, 여러 관직을 역임한 당대 함안 지역을 대표하던 사족이었다. 서문에는 초안이 만들어진 후, 함안의 座首였던 李蘷가 草案을 가지고 창원까지 와서 서문을 부탁했다고 나타나 있다. 초안을 살펴 본 이정은 초안에 함안의 여러 祖先들이 기재되어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고을의 기강을 바로 잡고 彛倫에 따를 것을 당부하였다.
한편, 서문의 말미에는 함안향안의 서문을 이정 이외에도 朴德孫李明怘가 작성했다고 나타나 있다. 박덕손은 16세기 전후 함안에서 활동한 재지사족인데, 당시 박덕손이 향안의 서문을 작성했다고 언급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늦어도 15세기 후반 내지 16세기 초반 이전에 함안향안이 만들어졌음을 추정 할 수 있다. 이명호의 서문은 이정과 마찬가지로 1603년 함안향안이 중수될 때 작성된 것으로 현재 『함주향안』과 이명호의 문집인 『梅竹軒集』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자료적 가치]
임진왜란 직후 경상도함안 지역 재지사족들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임진왜란 직후 전란으로 鄕案이 소실된 각 고을의 재지사족들은 향안의 復舊와 重修에 주력하게 되는데, 함안에서도 그러한 작업이 이루어졌다. 당시 재지사족들은 향안 중수를 바탕으로, 전란으로 동요하고 있는 향촌 내 지배질서를 견고히 하며 사족 간 결속력을 도모하였다.
『南冥門徒 德川及門諸賢集』, 韓國學文獻硏究所, 亞細亞文化社, 1982
『大邱史學』26, 申正熙, 大邱史學會, 1984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咸安誌』, 金漢重, 故鄕文化社, 1986
『조선후기 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民音社, 1990
『咸州鄕案』, 咸安文化社, 1996
『釜山史學』37, 張東杓, 釜山慶南史學會, 1999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1603년 이정(李瀞) 함안향안중수서(咸安鄕案重修序)
咸安鄕案重修序
吾鄕之有座目案古也前後數百餘年先父老名
位序秩不遺不紊洋洋乎如在左右貽厥勸戒之
規况然若耳提面命者豈偶然哉而廢興有數未
免一喪于灾再失于寇殆將永廢而不興矣夫幸
我鄕老諸兄克念先世之遺意灾而新之寇而又
新之使將廢者復興焉其志勤矣亦豈偶然也耶
余在檜山昏理簿領之餘鄕座首李君夔袖案草
來示余余跪奉而敬閱曰某是某之父兄某是某
之祖先而此吾父兄也此吾祖先也歷歷若前跪
而面承焉不得不爲之興感也後之人亦必指吾
鄕老諸兄曰某也某之弟兄某也某之子孫而指
點之間不能無善惡尊卑之評則錄是案者其可
不惕然省念乎在家孝悌以相率思家聲之不墜
處鄕忠信以相勉思鄕紀之整肅莫不彛倫是則
勉率勸戒八道之大本於是乎立而玆案也亦其
所行之之地也居是所者其可忽諸若其屬余爲
序者諸兄必以我爲老於世老之也然此乃老於
文墨者爲也吾可以當之哉李君善爲我辭焉中
朴斯文德孫序其案而書其顚一時咸服其文
筆之妙今李秀才明怘筆健而文華多不讓於古
所謂才不借於異代者宜吾鄕之有文獻之稱也
秀才旣序其事甚詳又使之書其顚則亦中世之
朴斯文也何必舍其老於文墨者而求之於老於
世者乎李君其辭焉癸卯至望鄕人通政大夫行
昌原大都護府使李瀞謹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