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3년 경주향교(慶州鄕校) 남청계안(南廳稧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1+KSM-XG.1863.4713-20090831.Y0910102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경주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작성시기 1863
형태사항 크기: 36 X 30
수량: 17면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문중소개

안내정보

1863년 경주향교(慶州鄕校) 남청계안(南廳稧案)
1863경주향교의 유생들이 만든 계안으로 당시 유생들의 명부 및 소임을 맡은 유생에 대한 경제적 지원 및 향사를 치를 때 향교 소속의 가게나 사찰 등이 제공한 공납조항 등이 기록되어 있는 계안문서
남민수

상세정보

南廳稧案은 同治2(1863)년에 작성된 것으로 慶州鄕校의 儒生들이 『靑衿錄』등 기존의 校案을 대신하는 유형의 校案으로 만든 것이다.
同治二年 癸亥夏 南廳稧案丙午正月初三日
南廳稧 序文·節目·禮班座目·節目完文·甲子十月二十日·丙寅十月二十日·丁卯三月二十日·庚子二月初八日
내용 및 특징
南廳稧案은 同治2(1863)년에 작성된 것으로 慶州鄕校의 儒生들이 『靑衿錄』등 기존의 校案을 대신하는 유형의 校案으로 만든 것이다. 남청계안은 序文․節目․禮班座目․節目完文등의 문헌과 기타 경제적 문건들이 첨부되어 있으므로, 1863년 경주향교의 일반적 상황과 경제적 여건을 파악할 수 있다. 남청계의 서문에 의하면, 己未(1859)年에 秋收로 거둔 돈을 기반으로 하여 南廳稧를 만들었다 하나, 그 유래는 퍽 오래되었다고 하였으며, 保本廳睦을 남청계의 주요 취지로 설명하고 있다. 序文 다음에는 節目을 두어 房頭公事員有司任司등의 소임을 맡은 사람들의 衣資를 위해 특정한 토지들을 경작할 수 있는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南廳稧의 소속인원들은 禮班과 行班으로 座目이 나뉘어져 있었던 것 같고, 稧案의 명단으로는 59명에 달하는 禮班節目이 첨부되어 있다. 예반절목에는 이미 작고한 사람을 ‘仙’ 아무개로 표시하였고, 개별적인 사안을 부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주석을 첨부하였다. 예를 들면 申萬龍이라는 인물의 명단 아래에 ‘계전을 내지 않아 계안에서 축출함(多負稧錢黜案)’ 등의 附記가 적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節目完文에 의하면, 慶州鄕校의 춘추제향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勿川店에서 3냥씩을 받고, 동해의 海民에게는 大魚 1尾 씩을 받았고, 佛國寺로부터는 白紙 3束을 받아서 祭享에 충당하였다고 한다.
자료적 가치
남청계안은 경주유림들이 친목을 도모하기위해 계안을 만들었다고 했지만 실은 향교내의 특권적 지위를 더욱 명확하게 하기위하여 명단을 뽑고 절목을 만들고 또 향교와의 여러 가지 관계를 자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문건이다. 1863년 당시의 경주향교의 경제적 기반이나 사회적 환경 등에 대하여 다양하게 규정하고 있어서 당시 경주향교의 실상을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Ⅰ)』 ,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 慶尙北道, 1991
1차 집필자: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3년 경주향교(慶州鄕校) 남청계안(南廳稧案)
同治二年癸亥季夏 南廳稧案
南廳稧序文
夫稧者合也合者義也合以義而爲稧者
古之稱美況我廳僚之同志曰義者乎
本廳之刱始未知往在何年而設置任司
定立規例者以遂保本廳睦諸僚之本
意者也至于中年世道稍降廳規漸
弛而謂任司僅具名色而隨行儀節不過
呼之而應聲完議條件未免虛坐而擁
簿廳之不能成樣僚之莫及相愛者蓋
緣財力之告罄亦由潤白之乏資而年月
易邁漸致彫殘則設初條約已屬勿論
末梢光景莫知何境肆以有咄歎者雅
矣而孰無興起之心哉去己未初秋收般
錢而刱成一稧而名之曰南廳稧存本取
殖冀克復樣而力不暇及當未免蠹蝕
之弊矣何幸 稧長朴君 領座張君慨
然有興感之意實爲收議於諸僚類立
科條別定規例恪勤取殖漸致潤贍
而及夫稧會之日坐作黃金之富屋幸
靑蚨之復光豈不樂哉亦不勉歟
蓋物之成毁事之興廢固知有數而
苟不得其人以其時則廢之爲易成
之有難矣今此財力之稍贍者果因
得人於其時見此復興於殘局欲參
之心於斯盛矣且廳之爲樣當有任司
之酬勞而後必當視之己事服之無
▣故房頭及公事員有司則別立資
料以別勤慢之就效且喪需者送死無
憾之本意故酌定儀節以示不相忘
之厚義而禮班行班各有歸厚之
資則必當恪力▣攝誓不悖義且
至苦至殘之婢子亦有別問之條議則
其於相愛之義必無落於厚厚於落之
理矣玆成節目▣刊于右餘外諸件
略陳于後依此遵行永久勿替則其
在保本廳睦諸僚之道庶可爲萬
一之補云爾
同治二年癸亥季夏下澣
一禮班喪需其妻兩喪拾兩封送是齋
【數▣▣▣則每▣三▣▣▣▣而▣▣安▣▣時▣▣▣▣▣
】 一行班段其妻兩喪參兩式封送是齋
一婢子段身喪壹兩式封送是齋
一把任時筆債中貳兩段房頭例給是齋
一把任時筆債中伍兩改長義前封上是齋
一把任時科首僕段自廳中公議出定是齋
一今番禮案等節減之又減是會各樣鞋與
雜所入則永爲蕩減是遣日後修禮者
更日擧效之意始爲成目是齋
節目
一稧會日子每以四季月二十日爲定是齋
一房頭衣資段栗洞員畓五斗落庫限三年
耕作是齋
一公事員衣資段太櫓院員畓二斗落庫限周
年耕作是齋
一有司衣資段太櫓院員畓一斗落庫限周年
耕作是齋
一任司衣資各以畓庫排定而房頭則三年爲
限限內耕作過三年後則隨遞改定使之耕
作是遣公事員有司則不可不周年改遞故
每年十月二十日 祭享後更爲擇定各自耕
作是矣如或不善▣察至有犯科之端而即爲
削黜永不齒列于契案是齋
一先進中如或有違越不遂廳規妄自悖義
者則亦爲損黜永勿序齒是齋
一行班使役▣是祀年而如或不遵使役故
自違例名則以三次使役連使擧行以示勤▣之
有前而如果一向律臆則亦却黜斥毋使於容
是齋
一點錢時如錢闕點則每而壹錢式施罰時是遣期
會時闕利者則一錢利上當以一錢加罰爲去乎依
此遵行是齋
一禮設之規所物則或多或少而即自其時私議惟
行而日後從當若此等事更勿效嚬是齋
仙稧長朴
仙領座張
仙別公員文
仙房頭朴
仙廳公員林
仙有司李
別錄
仙稧長朴宇一
仙領座張斗寅
屳公員 文哲萬
禮班座目
朴朔不
金利得
金莫乃
權己善
權德哲
林時萬
金俊哲
林時彦
金用億
權己萬
朴春大
朴尙彦
姜聖宅
權白乭
金斗哲
申萬龍多負契錢黜案
金壬乭
金芝枰多負廳錢黜案
林仁哲
金宗
金千益
申小斤龍
朴尙大
屳 【多負廳錢黜案】
屳 【本廳行弊故出案乙亥三月二十八日】
朴方外庚午二月初四日升案】
申萬斤庚午二月初四日升案】
李巨福 【自退】
金鼎禹 乙亥十月二十四日升案自退】
朴喆芳【出身丁丑二月初六日升案】
林望尙 辛巳十一月十九日升案】
金命得 癸未二月十六日升案】
行班座目
屳 【上禮班去】
林莫乃
李光用 【上禮班去】
朴日千
-朴尙大【上先進去】
李以安
朴日宗
權宗得
林文伊
申小斤龍
申萬根
▣▣尙
金命福
朴有官
吳同基
林馬雅己【上禮班去】
李坤【上禮班去】
李小斤坤【上禮班去】
金命得
李未邑同
李又坤
申根述
金永淳
鄭素發
金先甲
金永浩
節目完文
一本廳春秋 祭享時勿川店扶助參兩式
添補需用之意永久遵行是齊
一東海海民處 祭享時大魚一尾式其時
公事推尋需用永久遵行是齊
佛國寺春秋祭享時本廳例納自前以來
是如可中間破寺之後例納之物無納是
加尼到今本寺略于時存故白紙參束式本廳
祭祀時春秋例納而大祭例納自本廳周旋
是遣本廳祭享時白紙參束捧用之意永
久遵行是齊
甲子十月二十日
栗洞員畓伍斗落放賣爲先納南沙洞
畓貳斗落田壹斗落果木壹株梯田壹
斗買得本廳祭享時穀禾段當年秋收
時分于公事處推尋其時需用永久
遵行是齊
東海長津原畓參斗加捧錢拾兩本廳
納需用永久遵行是齊
乙丑九月十五日
丙寅十月二十日
東海大魚一尾祭享時自津運納需用而今
番段該面差使去來路資自備祭享運納需用
是在該面春秋落粮湯減永久遵行是齊
一把任時自廳中禮班與行班公議出定
而自今爲始若有要救之者是去等削案
黜陟是齊
丁卯三月二十日
一鄕校奴婢續案債伍兩伍錢玖分禮房
廳納續案假官奴有田例給壹兩而依
次納上是齊
一鄕校加校奴時續案債參兩自校
中收納添補要用是齊
一加校奴時續案債壹兩自洞中捧
用是齊
戊辰七月十五日
栗洞員畓五斗落價文玖拾兩且
內南塞洞員畓貳斗落田壹斗
落果木一株楮田壹斗落幷
價文肆拾伍兩放賣以爲移買
內東面望德栗木洑員畓兩
自拾參斗落價文壹百伍拾兩
是齊
一禮錢所入分給時則三表前同例分給是齊
庚子二月初八日疤任時節目
庚子若出時例納錢則勿論新舊四兩式納于本廳是齊
一殿守僕段舊任齋是遣新任三兩式納于本廳是齊
一酒婢段一兩式納于本廳是齊
司馬所庫子段二兩式納于本廳是齊
育英齋庫子段二兩式納于本廳是齊
庚子九月二十日
一兩所庫子段例納錢二兩式今自爲始納
于本廳而永久遵行是齊
一司馬所都掌務段例納錢二兩式自今納
于本廳而永久遵行是齊
一已上三人例納若其時不納則資田畓
納于本廳是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