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2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1+KSM-XG.1862.4713-20090831.Y091010102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공응탁, 한발원, 경주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작성시기 1862
형태사항 크기: 34 X 40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문중소개
현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안내정보

1862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1862경주향교도유사에 재임한 공응탁(孔應鐸)경주향교의 퇴락을 안타까워하면서 경주향교의 중수(重修)를 위해 모두 노력하자는 결의를 기록하고, 아울러 퇴임후에도 향사(享祀)를 위해 자신의 전답을 기증한다는 내용을 기록한 재임록
남민수

상세정보

1862경주향교도유사孔應鐸경주향교의 퇴락을 안타까워하면서 향교의 중수를 결의하는 내용을 기록한 재임록
내용 및 특징
1862경주향교도유사가 된孔應鐸孔子의 방계후손으로 향교가 쇠퇴해 가는 것을 몹시 안타깝게 여겼다. 이 때문에 퇴락한 향교를 중수하여 聖人이 계신 곳의 면모를 새롭게 일신하자는 내용의 결의문을 『考往錄』에 실었다. 이어 윤 8월에는 새로운 도유사韓發源이 부임하였으나 孔應鐸은 자신의 뜻을 거듭해서 밝히고 자신의 소유인 外東面 毛火伏員의 전답7두락지를 춘추향사에 쓰도록 공여하겠다는 뜻을 기록하였다.
자료적 가치
19세기 중반의 향교는 16세기의 향교와 달리 국가의 조직적인 경제지원이나 개인의 전답기증 등이 많지 않아서 지출은 늘어 나는데, 수입은 점점 줄어드는 상황이었다. 본 문건도 이러한 당시 향교의 재정 상황을 반영해 주고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2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壬戌七月 日
聖朝設校傳萬世崇奉之禮也置俎豆揖讓之所而
有體險踐履之化故星沉月晦尼山之日長輝河枯海
盡洙泗之源不渴則釋菜之奠育英之美莫大於是也
第緣歲月之沉添久矣聖殿之圮毁嗟余不敏忝在
校任幸賴士林之僉議而因舊材不日成之廟貌重鞏
象設攸安又是 神門厠室櫃鑰垣墻仍以重葺不可無
記故忝載考往之錄後之人與我同志嗣而葺之庶期
之不朽也
都有司 幼學 孔應鐸
掌議 任致益
庫任 韓鳳祚
壬戌閏八月 日
聖朝崇奉之化与 聖道牖後之功俱爲亘萬世不
泯者也是以 固有太學州有庠序皆立 聖廟如如
章章進退周旋瞻申夭於咫尺討論講習接羹墻於
晨昏恭惟生民以來未有盛於 夫子也嗟余 聖孫居
在此鄕若存若無雖曰可矜在於爲先之道不可無記故
畓庫府外東面毛火上洑員眞字七斗落玆以奉納小補
於春秋 享祀也云爾
畓主幼學孔應鐸
都有司幼學韓發源
掌議 金瑢鐸
庫任 韓鳳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