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6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1+KSM-XG.1856.4713-20090831.Y091010101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최제경, 정래길, 경주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작성시기 1856
형태사항 크기: 34 X 40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문중소개
현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안내정보

1856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1856경주향교도유사최제균이 송단(松檀) 뒤에 부러진 소나무 대신 어린 나무들을 심은 일, 존경각과 제기고(祭器庫)와 대성전 등을 수리하고 보수한 사실을 기록한 향교문서
남민수

상세정보

1856경주향교도유사최제경이 松檀 뒤에 부러진 소나무 대신 어린 나무들을 심은 일과 존경각祭器庫대성전 등을 수리하고 보수한 사실을 기록한 재임록
내용 및 특징
1856년 1월에서 5월까지 경주향교도유사崔濟京은 다음과 같은 일들을 『임사록』에 기록하였다. 1월, 松檀 뒤의 공터에 심어 놓았던 18그루의 소나무 중 한 그루가 바람에 쓰러진 까닭에 이 나무를 말구유통으로 만들고, 대신 어린 나무 수백그루를 심고 말·소등을 이곳에 기르지 못하게 하였다. 4월,존경각을 수십 일만에 보수하였다. 책궤와 서책의 비용으로 50여 냥이 소요되었다. 경주부윤宋近洙가 20緡錢을 보조하였고, 나머지 경비는 환퇴하는 전답 곡식값으로 준비했던 33냥을 전용하였다. 5월, 대성전 서남쪽의 비가 새는 곳을 관청에 알리고 수리하였다. 西齋 남쪽문과 守直房의 한 쪽 각문이 낡았으므로 수리하였다. 경주부윤송근수공이 대성전과 동·서쪽의 地衣가 낡은 것을 보고 대나무 돗자리로 바꿀 것을 분부했으나 바꿀 수 없었다. 이상의 내용들을 볼 때, 역시 19세기 중반이후, 향교의 일상적인 비용으로 많은 지출이 있었으나, 새로이 향교에 들어오는 수입이 그리 많지 않아 재정적인 곤란이 적지 않았음을 짐작하게 한다.
자료적 가치
19세기 중반 이후 경주향교의 재정적 여건이 그리 쉽지 않았음을 일 수 있는 치부기록이다.
『慶北鄕校資料集成(1)』,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1)』,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6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丙辰正月 日
松壇墻後閑隙地有大松十八株蔭護
宮墻而有 雙峯先生鄭公松壇記
可驗其裁培愛惜而正所謂十八公子也
不幸今春一株松爲風所落故造馬桶
以飼之卽其地植稚松數百株使殿首首僕
看護禁馬牛以養之以首僕之守宮墻
內常同故耳例以爲常焉
四月 日
尊經閣未知幾經重葺而棟宇摧折墻
壁頹壓幾卷殘堂庇不得風雨束之於
祭器庫者殆將數十年塵堆蠹破殊
失尊閣之義故始謀重建而修葺之
閱數朔乃訖丌上書冊卷秩所費用五
十餘兩府尹 宋公近洙出二十緡以助之
他無可辦故不獲已本校還推畓穀禾作
錢中三十三兩移用之材木則置而用之後丁
則使校隸桐次赴後而其農務方殷故

五月 日
大成殿西角南邊爲雨滲漏散子板結
梢朽敗傾側瓦甍生釁幾至數丈故報
官權宜修葺
明倫堂東上房高廡盤子年久朽落故
報官修補西齋室南房門兩扇榷傷
守直房一閣門扇板朽傷故幷爲改備
而所用費工匠料米皆自官家依例用
下別定色吏看役焉
庫子行用庫間椽木朽傷故用新材替
舊且翻瓦修葺焉
齋服黑帶二條及儒巾一件幷爲新備
藏于行用樻
殿內守直房警鼓年久破裂故改備
聖殿掃塵羽箒旣爲悴禿故買得雉
尾改備焉倫堂一閣門移立英齋西正路
聖殿及東西廡地衣年久朽傷極爲
未安而 府尹宋公下車初謁 聖時
親審將欲改備分付竹工織席而姑未
及焉
都有司 幼學 崔濟京
掌議鄭來吉
田穀 尹光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