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4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1+KSM-XG.1854.4713-20090831.Y091010101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이진택, 박형수, 윤광두, 경주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작성시기 1854
형태사항 크기: 34 X 40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문중소개
현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안내정보

1854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1854경주향교도유사이진택대성전 동·서재의 낡은 시설을 수리한 사실과 경주향교의 위토(位土) 중에서 환퇴(還退) 받아야 할 경주 각지의 향교전(鄕校田)에 대해 기록한 재임록
남민수

상세정보

1854경주향교도유사이진택대성전과 동재, 서재의 낡은 시설을 수리한 일과 각 곳의 향교위토 중에서 환퇴 받아야 할 전답에 대해 기록한 재임록
내용 및 특징
1854년 1월, 대성전의 地衣가 낡아서 眞席 8립을 준비하였고, 동·서재의 돗자리가 낡아서 葛席 20립을 준비하여 庫房에 맡아두었다. 外神門의 자물쇠와 지도리의 쇠가 낡아서 견고하지 않으므로 자물쇠 철2개·지도리쇠 3개를 殿守僕處(청소지기 방)에 준비해 두었다. 5월, 명륜당 서쪽 화장실이 비바람에 손상되어 무너질 듯하므로 나무를 받치고 葛席 6립을 설치하여 고쳤다. 7월, 대성전 서쪽의 서까래가 낡고 기와가 깨어졌기 때문에 새로 기와를 대어 수리하였다. 동·서재 齋舍廳板이 퇴락하여 거의 텅빈 것처럼 되었으므로, 송판 18립을 덧대어 수리하였다. 8월 경주부윤김양근이 쌀 2斛을 경주향교에 출급하였다. 동년 8월, 향교의 전답은 放賣할 수 없게 되어 있으나 여러 가지 사유로 방매하는 경우가 있어, 관청에 품의하였더니 차후로는 방매한지 10년을 넘지 않은 땅은 본래 가격과 상관없이 향교에 되돌려 주도록 하고, 방매한지 5년이 지난 땅은 쌀값에 준하여 가격을 치르고 환퇴하도록 했다. 경주향교도유사이진택이 『고왕록』에 기록한 바에 따르면 경주향교가 환퇴받아야 하는 위토는 다음과 같다. 경주부 서쪽 興輪員 57번답 59負 6束 20斗落 西岳員 갑9답 7負 4束 9斗落 靈妙員 6斗落 普門員 生69번畓 11負 6束 5斗落 月城員 3斗落 紅門員 超51畓 10負 9束, 52畓 2負 3束, 53畓 2負 9束, 53畓 2負 9束, 54畓 6負 7束 7斗落 旺井洞員 3斗落 牙洞員 坐字묵밭 45田 1結納, 44田 3負 1束, 45田 3負 1束, 46田 5負 6束, 61斗落, 60田 21負 8束 良三鳳洞員 2斗落 幸乙員 49田 11負 5束 八助員 87畓 3負 3束 3斗落 道只員 幕27畓 4負 8束, 32畓 3負 3斗落
자료적 가치
19세기 중반 향교의 전답은 여러 가지 사정으로 새로 늘어나는 경우는 드물고, 향교의 지출이 증가함에 따라 여러 가지 명목으로 방매를 하는가 하면, 심지어 향교의 齋任들이 자의로 방매하는 폐단까지 나타났다. 이의 해결책으로 이미 방매한 토지라 하더라도 10년 가까이 된 것은 本價없이 향교의 원래 위토로 환퇴하고, 5년 정도 지난 것은 쌀값을 쳐준 뒤에 향교에 환퇴하라는 행정명령이 나타나게 되었다. 경주향교의 『고왕록』에 기록된 환퇴받아야 할 위토의 긴 명단을 보면, 이 시기 향교의 열악한 재정적 형편을 짐작할 수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1)』,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1)』,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4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甲寅正月 日
聖殿地衣年久朽傷故文報後眞席八
立隨毁改備且東西齋席子未知何年
曠廢而享禮時入齋諸儒無可接▣處
故葛席二十立卽自民庫貿備而兩齋
分備後卷置于庫房以爲出給無漏之
地焉
外神門鎖金及樞鐵破傷已久不能堅
闔故鎖金內鐵二箇及樞鐵三箇造置
于殿守僕處使之堅鎖焉
五月 日
明倫堂西邊厠舍爲風雨所撲朽傷已久
漸至傾壓故乃以數三株新材啓舊改建
大釘四箇小釘二十箇葛席六立自校中
新備修葺焉
七月 日
聖殿西邊婦椽朽折甍瓦破落故改
爲文報則自官家出送戔率色周盡其役
處後婦椽則用新重葺盖瓦則仍舊
修補而且北墻之▣▣頹圮者至過校三把
故官以五戔銅出給役丁以爲堅築焉
東西齋舍廳板年久朽敗之餘卽未隨補
而鱗次頹落幾至空虛故文報後松板
十八立隨毁修補而卽以大釘間間鎖頭
且而齋蓋瓦調發役丁使之改翻無復
陳漏之患焉
八月 日
本校之彫殘比前尤甚而又經兩年旱
灾之餘多士供億之資莫可徟備預切
憂慮者久矣入享之日校長躬晋
官家備陳此槩則時城主金公穰根
特以二斛米出給以垂補護之盛意焉
都有司 幼學 李鎭宅
掌議 朴亨秀
典穀 尹光斗
甲寅八月 日
校宮位土本不得永賣移用者而自四十
餘年來士趨多不如古不謹於財用出入
之節而日用之費有所不足則輒放賣位
土而用之或典唐於庫子而償之無難蹙
土殆至百餘斗落地而已成痼弊如此而不
爲一大懲創則不幾年莫重學田必無餘
存乃已其於尊奉重地之道爲何如也今
五月日峻發公議還推位土事呈稟目
于官家則自官據法例斷案曰公位
土不得放賣過十年則無本價還退過
五年則準米價還退事分付將校金
大亮査櫛校中所在長冊及丙子立案分
揀所當還惟位土從實還納如左
府西興輪員
盤五十七畓伍拾玖負陸束 二十斗落
西岳員
甲八畓貳拾柒負肆束九斗落靈妙員
六斗落普門員生六十九畓拾壹負陸束
五斗落月城員 三斗落紅門
超五十一畓拾負玖束五十二畓貳負三束五十
三畓貳負玖束五十四畓陸負玖束七斗落
井洞員 三斗落牙洞員
字陳地四十三田壹結內四十四田參負壹束四十五
田參員壹束四十六田伍負陸束四十一斗落畓
五斗落道只員慕二十七畓肆負捌束三十
二畓參負三斗落幸乙員柰四十九田拾壹負
伍束六十田貳拾壹負捌束二十五斗落良三鳳
洞員 二斗落八助員於八十
七畓參負參束三斗落靑令員西十一畓貳負
捌束一斗落具載還推考往錄
都有司 幼學 李鎭宅
掌議 朴亨秀
典穀 尹光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