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9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1+KSM-XG.1849.4713-20090831.Y091010101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이규섭, 손세현, 경주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작성시기 1849
형태사항 크기: 34 X 40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문중소개

안내정보

1849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1849경주향교에서 백일장의 개최 비용으로 관고(官庫)의 돈 20냥을 미리 쓰고 장의(掌議)이규섭이 전답을 팔아 이를 갚은 사실과 삼정동(三政洞)의 지물포와 종이 구매계약을 한 사실 등에 대해 기록한 재임록.
남민수

상세정보

1849경주향교에서 백일장 개최비용으로 官庫의 돈을 쓰고, 전답을 팔아 이를 갚은 사실과 三政洞의 지물포에 營本部의 官役이 침범하지 말라는 완문을 발급한 일 등에 대해 기록한 재임록.
己酉六月 日
내용 및 특징
경주향교의 전임掌議任掌議1849년 4월 白日場 개최명목으로 官庫에서 20냥을 꺼내어 썼는데, 새로 온 경주부윤이 추궁하므로 旺井員의 仁哲이 개간한 전답 3두락지를 50냥에 방매하여 그중 20냥은 官庫에 되갚고, 5냥은 이 해의 穀禾價로, 나머지 25냥은 금고에 두고 추수 뒤 代土를 살 때 쓰겠다는 것 등의 내용을 장의李圭燮이 기록하였다. 동년 10월에는 경주향교 소속의 物件店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아서 三政洞에 신설된 紙桶人과 종이 공급의 약정을 하면서, 營本部의 官役이 개입하지 말라는 완문 두 통을 내어 한 통은 工庫에 두고, 한 통은 紙所에 출급하였다. 또 鎭營에도 禮庫에 한 통을 두고 한 통은 紙所에 출급하였다. 이 때문에 營本部에서 완문출급의 비용 5냥5전을 향교에서 지급하도록 했다.
자료적 가치
19세기 중반 이후 향교의 경제적 상황을 엿볼 수 있는 치부기록이다. 원래 향교에는 향교 소속의 철물점․지물포 등이 있었으나, 19세기 중반 이래 향교의 경제여건이 악화 되면서 이러한 향교 소속의 각종 가게들이 함께 쇠퇴해져, 종이류 등속도 구매하기가 쉽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9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己酉六月 日
本校前齋任任掌議今年四月初八日官白日
場時自校中請以二十兩錢添補賞格用下云放
前官罷歸日以鄕校條引用官庫錢二十兩
踏印付于作廳新府以印迹推尋不得已
放賣旺井員仁哲私耕畓三斗落只庫而捧
價五十兩而二十兩納于官庫五兩則今年穀
禾價除二十五兩則留置庫子待秋收後買得
代土之意如是錄置焉
掌議 李圭燮
己酉十月 日
本校古昔時盛各物件店所屬者許
多故校中所用贍足矣挽近以來荐經
大歉各店自然蕩殘一無所存故與
政洞新設紙桶之人相約而自校中呈
單營本府 官役勿侵完文二度而本
府則一度留置工庫一度出給紙所而
則一度留置禮庫一度出給紙所營本
府完文踏印債伍兩伍錢則自校中辦給
是 目此校中所納白紙則一年以三十卷
相約爲字矣十五卷則臨春 享時來納
十五卷則臨秋 享時來納然日用經
一以司馬所例用下爻數詳細錄于別冊
子次次用下俾毋閪失事
鄕中幼學 孫世顯
崔濟京
韓琥
掌議 李圭燮
典穀 徐斗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