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6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1+KSM-XG.1846.4713-20090831.Y091010101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손세현, 임정, 한용곤, 경주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작성시기 1846
형태사항 크기: 34 X 40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문중소개

안내정보

1846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1846년 1월에 도유사손세현 등이 민고(民庫)에서 지원을 받던 교임들의 재복(齋服)을 민고의 지원이 없어진 까닭에 향교 자체의 예산으로 마련하게 된 사실을 기록하였으며, 동년 9월 도유사임정 등이 솥과 나막신 등을 마련한 사실 및 향교전답의 매매상황에 대해서도 기록하고 있는 재임록.
남민수

상세정보

1846년 1월에 도유사손세현 등이 교임들의 齋服을 갖춘 일을 기록하고 있으며, 동년 9월에는 도유사임정 등이 전답의 매매와 연관된 사항을 기록한 재임록.
내용 및 특징
1846년 1월과 9월에경주향교에서 일어난 여러 가지 사건들을 도유사손세현도유사임정등이 자세하게 기록하였다. 우선 1846년 1월에 기록한 내용을 보면, 교임들의 齋服은 民庫에서 재원을 부담하는 것이 전례였으나 민고재원의 고갈로 인해, 부득이하게경주향교에서 단령과 흰모시 및 바느질 조로 5냥 5전을 내고, 2냥은 무명베 값으로, 옮겨 쓴 3냥 5전은 향교에서 부담한다는 등의 내용을 기록하였다. 다음으로 1846년 9월의 기록을 보면, 솥 1좌와 밥솥 5좌 등이 깨어져서 새로 구비하였고, 낡은 명륜당의 地衣와 東西齋室의 竹席을 교체했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향사시에 필요한 나막신을 구비하였으며, 太櫓院員의 전답이 묵밭이 되었으므로 관청의 완문을 얻고 80냥에 방매하였으며, 梧野員답 4두락지의 땅을 되물리게 하였다. 普門員의 땅 3 두락지를 새로 사고, 東海上西野員의 전답은 묵밭이 되었으므로 7냥에 방매하였다. 이외에 西岳員의 전답 9두락지․崇德殿紅門員의 전답 7두락지 등을 각기 30냥과 25냥에 샀다. 望德員의 전답은 35냥을 주어 되물리도록 했다. 이상의 기록을 보면, 19세기 중반 이후, 향교는 가장 중요한 기능인 향사의 비용마저 제대로 염출하기 어려웠음을 알 수 있다. 또 향교의 전답매매기록을 보면, 이제 국가로부터의 토지 기증 등, 외부의 지원을 기대하기 힘들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답의 利息을 통해서 재정 염출을 꾀했음을 알 수 있다.
자료적 가치
19세기 중반 이후 향교의 열악한 재정형편을 확인할 수 있는 문서이다. 또 이 시기에도 역시 향교의 경제적 기반은 전답에 있었으며, 전답의 매매를 통한 이윤의 증가를 기도했음을 알 수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6년 경주향교(慶州鄕校) 임사록(任司錄)
丙午正月初三日
校任齋服自補民庫劃給者乃是前例而
近年則稱以民庫蕩竭不肯區劃故不得
已自校中自備團領一件而白紵及針線
價合爲伍兩伍錢貳兩則以幣布移準
參兩伍錢則自校中擔當而此後則秋
享幣布仍置 殿守僕處待翌年春
享幣布合爲齋服一件則無不足之違
日後齋任覽此爲準式焉
都有司 孫世顯
掌議金亨鎬
典穀有司韓用坤
丙午九月 日
本校釜一座及食鼎五座破傷故報官新
備焉且 倫堂東上房地衣一部及東西
齋葛席三竹新備而焚 香時齋任
所履木靴二件及獻官所履四件破傷
故同時新備焉
聖殿祭床油紙五丈破傷故 享時面請新備焉
府尙初太櫓院員修宇幺積年陳廢鬼橋洑內故累
日 官訟末乃尺量而請得完文放賣捧價八十兩梧野
員畓四斗落只還退普門員畓三斗落只新買焉東海上西野
畓積年覆沙陳癈故結卜則每年移錄于校任故不得已
放賣捧價七兩用下於太櫓院陳地官訟時舊員尺量時難買
西岳員畓九斗落只記價放賣故加捧三十兩崇德殿紅門
畓七斗落只加捧二十五兩合五十五兩以三十五兩望德
畓五斗落只還退文十二兩用下於日用下記中望德石
上洑員白邑畓四斗落只以退賭地放賣故給價八兩新
買耳 靈廟員田八斗落只加捧十兩校中食器一竹改備
焉倫堂竹席改備次畢次請官伐竹未備傳于
後任焉
都有司 任楨
掌議 金益坤
典穀 韓用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