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세기 초 안동(安東) 십조향규(十條鄕規)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1+KSM-XG.0000.4717-20090831.Y0940420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작성주체 권행가, 김집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형태사항 크기: 20 X 17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하회 풍산류씨 양진당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안내정보

17세기 초에 만든 안동의 십조향규(十條鄕規)
류성용이 정한 10개조의 규약과 처벌내용에 권행가김집이 증보한 향규이다. 10가지 향규는 향임을 중히 여기고, 회의를 엄격히 하며, 도리를 두터이 한다. 향안을 바르게 하고, 예속을 밝히며, 나이 많은 이를 공경한다. 비리를 금하며, 하급관리(품관)를 다스리고, 요역을 고르게 한다. 마지막 조항은 아이들을 잘 가르친다고 하는 것이다. 이를 이행하지 않을 때는 정도에 따라서 상, 중, 하로 나눠 자격을 정지하고, 이것을 훼손할 시에는 죄의 경중을 따져서 상, 중, 하로 나눠 벌준다는 내용이다. 이 향규는 예안향규와 이전에 있던 향규구조를 본따서 만든 것이다.
남민수

상세정보

류성용이 정한 10개조의 규약과 처벌내용에 권행가김집이 증보한 향규
내용 및 특징
안동의 읍지『永嘉誌』에 있는 新定十條의 거의 대부분의 내용은 十條鄕規에 있음을 볼 수 있다. 십조향규는 크게 세부분으로 내용을 나눌 수 있다. 첫째, 신정십조와 같은 10가지 조항, 둘째, 權行可의 追錄, 셋째 金潗의 追錄으로 구성되어 있다. 십조향규가 구체적으로 언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으나, 십조향규의 중간부분에 기재되어 있는 권행가의 기록을 볼 때, 그 대략을 짐작할 수 있다. 「향규구조」를 1588년 진사 강윤이 좌수가 되어 경재소에 품하여 정하여졌으나, 미비된 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撗城 李庭檜가 다시 약조를 만들려고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집강이 류성용의 명을 받아 십조를 만들었는 바 이는 모두 류성용이 정하였으며, 또 다시 미비한 점은 사간 권선생이 손질하여 하나의 향약이 완성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향규구조가 만들어진 다음에 신정십조와 십조향규가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둘은 전래의 옛 규약(향약구규)과 퇴계의 예안향약을 취하였다는 점에서 중국의 여씨향약과는 다른 한국적 향약의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 십조향규의 내용을 보면, 첫째 향임을 중히 여긴다. 좌수는 鄕中에서 나이와 덕망있는 이를 추대하여 座首로 삼고, 조행있는 세 사람으로 別監을 삼되 향안에 오르지 않은 사람은 뽑지 않는다. 둘째, 회의를 엄격히 한다. 셋째, 도리를 두터이 한다. 넷째, 향안을 바르게 한다. 이는 내외가 士族으로 허물이 없는 사람을 향안에 올린다. 기록할 때는 먼저 초안을 써서 전체의 의논을 물은 후 鄕先生에게 물어서 正案에 적는다. 다섯째, 예속을 밝힌다. 어른이 자신의 아버지 연배이면 문안을 드리고 길에서 만나면 말에서 내린다. 여섯째, 나이 많은 이를 공경한다. 만 60세가 된 자는 잡임을 맡기지 않는다. 일곱째, 非違를 금한다. 여덟째, 하급관리를 다스린다. 아홉째, 요역을 고르게 한다. 열번째, 아이들을 가르친다. 學行이 있어 사표가 될 만한 한 사람을 府에 보고하고 훈장에 임명하여, 면내의 아이들을 모아서 소학의 이치를 가르치게 한다. 20살에 장래성이 보이는 자는 훈장이 이름을 적어 향교에 올리고 학적에 기록한다고 하였다. 또한 벌칙을 정하였는데, 上損은 십년 후에 損을 풀어주고 損을 부과 할 때는 청주, 탁주 각 30동이를 갖추어 놓고 분별하게 하며, 中損은 5년 후에 損을 풀어주고 損을 부과할 때는 청주, 탁주 각 25동이를 갖추어 놓고 분별하게 하며, 下損은 3년 후에 損을 풀어주고 損을 부과할 때는 청주, 탁주 것 각 20동이를 갖추어 놓고 분별하게 하였다. 상벌은 청주, 탁주 각 20동이를 갖추어 놓고 분별하게 하며, 중벌은 15동이 하벌은 청주 5동이를 갖추어 놓고 분별하게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것은 류성용이 정한 것이라고 하였다.
자료적 가치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7.
『安東의 契』, 安東民俗博物館 編, 安東民俗博物館, 2006
『안동지역의 향약에 대한 연구』, 류찬우,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조선전기 안동부 재지사족의 향촌지배, 정진영, 대구광역시사학 27, 대구광역시사학회, 1985
1차 : 이병훈

원문 텍스트

17세기 초 안동(安東) 십조향규(十條鄕規)
十條鄕規 一曰重鄕任○鄕中推一人有齒德者爲座首 有操行者三人爲別監
名不登鄕案者勿擬○差出鄕任時 一從公論不得私相授引委任非人
以毁鄕風○執綱會坐鄕堂時凡品□□□□□□□□□□□□□□禁入如有
不得已言事則着禮服○凡遇執綱於道敵者以下必避馬如不及避即下馬
强之則三讓而乘若尊丈則執綱下馬尊丈亦下馬揖讓而行○凡品官不敬
執綱者甚則損徒輕則致罰○執綱旣遞之後勿差鄕中苦任
二曰嚴會儀○每年春秋行講信禮座首別監當主席品官以齒爲序居賓位尊者
南向西上異爵者南向東上 尊者謂七十以上異爵謂堂上官及而司侍從使命之類
○坐定別監抗聲讀法○獻酢依鄕約燕集禮○被損之人引咎自新衆所共知者不待
年限亦於是日論解○鄕中凡有大事請會父老公同通議執綱無得自擅○無緣不參
者○紊坐失儀者○坐中喧爭者○空座退便者已上下罰
三曰厚彜倫○父母不順者祖父母以上同 避惰放縱不顧奉養○私蓄財物
掌嗜酒色不遵教令行止任意○無故遠離久不定省之類 ○兄弟相䦧者
兄曲弟直均罰曲直相半兄輕弟重兄直弟曲只罰弟○家道悖亂者 夫妻歐罵
男女無別黜棄正妻以妾爲妻嫡妾倒置以孽爲嫡孽反凌嫡 已上上損○親戚
不睦者○正妻踈薄 者妻有罪者減等 已上中損
四曰正鄕案○以內外士族無咎人入錄○錄鄕案時先書草案會一鄕通議僉
曰可又禀告于鄕先生無異辭然後錄正案○執綱循私請托非士族而冒入者衆
議除去執綱則定罰○加書五年一次
五曰明禮俗○尊者長於己二十歲在父行者 候問起居拜見途遇則下馬 ○
吉凶賀吊各其隣里親戚依鄕約擧行 違者隨所聞定罰 ○事涉官府有關
鄕風者○鄕長凌辱者○已上上損○隣里不和者○儕輩相歐罵者○不顧廉
耻汚毁士風者○無頼結黨多行狂悖者○患難力及坐視不救者○婚姻喪葬
無故過時者○鄕令不從者○不服鄕論反懷仇怨者○已上中損○尙氣凌人
禮節倨傲者○已上中罰
六曰尊高年○年滿六十者勿差雜任○七十者鄕中別以優禮待之凡所以完
護周恤之事無有不至如或有撗逆侵侮之者論其罪加一等○八十者諸子中
一人勿差所任九十則諸子皆勿差歲首執綱具酒果問勞歿則致奠○講會時
七十五歲以上不能來會者致酒饌於家
七曰禁非違凡品官無故出入官府營私作弊者○行實不正傷敗風教者○陰
毁地主京外流言者○已上上損不悛者黜○妄作威勢擾官行私者○恃强
凌弱侵奪起爭者○公私聚會是非官政者○造言搆虗陷入罪累者○受官差
任憑公作私者○當任不謹汚衊鄕風者○已上中損不悛者上損○本府裨補
所及禁林禁山每年春秋執綱與面有司摘奸一切禁斷禾利專數屬公栢子木
則計株徵贖
八曰治吏胥○出入民間侵索撗歛者○各色該房因緣作弊者○欺瞞官司
虧損政令者○貢物諸色刀蹬汎濫者○無禮鄕中有傷風俗者○冒占良民
隱敝役使者○趍附貴勢徼避本役者○良家女及官婢作妾者○書員書者
用事作弊者 隨現痛治甚者報府依法典科罪
九曰均徭役○一府戶口結卜別成一籍賦役磨鍊時鄕所憑考多寡虛實有奸
僞者監官則定罰色吏則治罪○凡于差役等事一從八結之法較其輕重輪四各面
如有恃其豪悍冒占田結不謹租賦者及隱漏結卜不爲徭役者報府治罪○斗斛權
衡平準官廳所用各面各戶及場市一依其式無有小大之差若各以意造濫惡滋甚
者報府重論
十曰訓童蒙○各面有學行可爲師表者一人報府差帖名之曰訓長聚會掌
面童幼教之以小學之道年至二十有成材者訓長錄名陞之于鄕校置簿學
籍訓長有成效者依法典報府推薦或不嚴訓誨使學徒荒怠失業者論以鄕
罰 上損十年後解損損時淸濁各三十盆備辦中損五年後解損損時淸
濁各二十五盆備辦下損三年後解損損時淸濁各二十盆上罰淸濁十五
盆中罰淸濁十盆下罰淸酒五盆 右鄕規 西厓先生撰
上中下損徒爲言者今之離行解損時分揀罪之輕重定其上中下徵罰
身死則勿徵
一、所中寶上元額數十石以上耗欠者徵納本數後永永離行五石以上損徒
一、品官解損時先定苦任後行罰重則二次輕則一次
一、還上監官及司察官等座目品官擇差周年相遞
一、上戶長吏房上中坛謹愼可當人擇差一、新品官例納正租十斗拒送不納者
通議定罰事
一、醫局重處鄕所兼管與本局都監凡藥材採貿劑煉精鹿教訓勤慢幷宜撿治事
按吾鄕舊規萬曆十六年丙子進士康公崙爲座首禀定于京在所然而節目雖繁綱
條未備故厥後爲執綱者或以己見添補於其間而亦未免杜撰之譏豈非吾鄕之一
大欠事也李橫城庭檜爲鄕任禀諸鄕先生欲更立約條未就而遞行可以無似冒處
執綱之刊承豐原大鑑之命謹成此規大槩十條則皆是豐原所定其間節目則或仍
舊規或取禮安約條又有所未備者則司諫權先生極意刪筆至於一鄕有識之論亦
皆間付諸條之下然後大綱旣立節目明備噫豐原爲一鄕眷眷之意司諫公正俗之
志於斯可見矣舊規內二三節目及解罰之例雖未可刻諸板上亦當擧而行之者故
刊錄于十條之後萬曆三十三年乙巳四月日權行可識追錄
一恃其豪悍武斷鄕曲者重則報府依法典科罪輕則一鄕通同議定鄕案除下後
其子孫並勿許齒坐于鄕堂事
一首冬席匠里則一國事大進獻之所關重者也而爲鄕人所侵稍流兦將至空虛武
斷鄕曲莫此尤甚品官士子新入其里作爲窟穴侵虐席匠使不得安接者鄕參人則
鄕錄除下鄕不參則終其身假鄕所差定而猶不悛改仍居其里者鄕參則其子孫並
勿許鄕錄鄕不參則其子孫並永定苦役事
一北三縣則豪勢品官奪占民田侵虐作弊本土之人日漸空虛
一鄕聞者莫不塞心其中尤甚者從公論摘發鄕參則當身及子孫鄕錄除下鄕不
參則堂身及子孫假鄕所永定而若不改過自新則以武斷報府依律治罪事
一一府鄕錄依鄕規五年內一次加書而時任執綱如或謀避至於過限則上損事
一前室內外無咎士族則雖或喪妻許參鄕案而若後娶非士族則其子孫勿許鄕錄事
一鄕案加錄鄕先生前禀議定奪後或其中未參者不勝私憤罰罵執綱則□議鄕
錄或爲其私親未參者造言搆虗妄論是非則重者上損輕者中損事
一各處㓒田楮田莞草畓及禁林起耕田年年打量三卜其人木
一疋式卜定督納而終不忌憚如前起耕則或二卜一疋或一卜
一疋式次次加定一切禁斷事此禁斷等事時任鄕所或謀避或循私趂不擧行
者一鄕通議上罰事
一鄕射堂請簡絡繹公道掃地今則一切禁止如有所犯者則論輕重定罰事
一上損則十年離行中損則五年離行下損則三年離行古有其例而今則不
問改過自新與否無緣論解有同兒戱又不無循私之弊此後不有鄕憲如前
任意解損則主張執綱分輕重定罰若或被損者身無罪咎而又非公論則不
待年限即令蕩滌其時鄕任亦爲論罰事
一黜削則非損徒之比也若不改過遷善則終其身勿許論解事今按豐原柳
大鑑及司諫權先生撰定鄕憲則大綱旣立節目明備恐不敢忝補於其間而
一鄕習俗日漸偸薄亦不無變通救弊之道故若干節目諸鄕先生前禀定追
錄以爲後來之鄕規焉萬曆四十三年閏八月日前洗馬金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