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01년 경주향교 학령(學令)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1+KSM-XC.1601.4713-20090831.Y0910104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절목
작성주체 황준량, 손기양, 경주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작성시기 1601
형태사항 크기: 25 X 38
장정: 선장
수량: 9면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문중소개

안내정보

1601년 경주향교 학령(學令)
1601손기양(孫起陽)경주향교(慶州鄕校) 운영과 관련된 각종 규정을 정리해 놓은 자료이다. 본 자료에는 향교 학생의 학습 내용과 절차 및 평가 과목, 학생들에 대한 규정이 나타나 있다. 또한 향교의 활성화를 바라는 국왕 중종(中宗)의 지시, 학생들에게 학문에 열중할 것을 권유하는 손기양과 명사(名士)들의 글들도 함께 수록하고 있다. 본 자료에서 주목할 점은 다른 향교 자료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향교의 실질적인 운영과 관련된 제반 규정을 수록해 놓고 있다는 점이다.
이광우

상세정보

1601孫起陽이 흩어져 있던 각종 學規를 엮어서 작성한 慶州鄕校學令
學令
學令, 白鹿洞規, 堂中憲, 傳旨, 勸學文, 示學徒詩, 跋文
내용 및 특징
경주향교학령은 모두 여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學令으로 21조로 이루어져 있다. 학령에는 향교 학생의 학습 내용 및 절차에 관한 것과 상벌에 관한 것으로 구분이 된다. 학습내용은 詞章 보다는 講經을 중시하였다. 따라서 학령에서도 강학의 내용에 있어서는 製述보다 講經쪽이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강경은 매일 시험을 보는 日講이 있었고, 그 등급은 大通·通·略通·粗通·不通의 5단계로 나뉘어 지는데, 成均館학령과 유사하다. 이중 하위 점수에 속하는 조통과 불통은 論罰하였다. 일강에 앞서서는 교관에게 혹은 諸生끼리 揖禮를 하는 등 학과교육만큼 의례를 중시하였다. 일강 이외에도 매년 2회에 걸쳐 정규시험이 있었는데, 이때 기록된 점수를 통해 교생들은 조정에 천거될 수도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매일 강경에 힘쓰게 했던 것에 비해 제술은 한 달에 2회씩 실시하였다. 제술의 문체는 궁벽하고 기괴하게 하지 말고 근엄하게 말이 통하도록 할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글씨체는 반드시 楷書體로 하도록 하였다. 경주향교학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교과목으로는 『小學』·『家禮』·『性理大全』, 四書五經 및 諸史로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단으로 규정한 불교와 도교의 서적은 읽지 못하게 했으며, 주자의 『童蒙須知』를 익혀 항상 실천을 중시하였다. 또한 학령에서는 생활규범이 바르지 못한 예를 세 가지로 나누어 죄질이 가장 무거우면 모든 교생이 의논하여 북을 치며 공박을 주고 심한 경우는 수령에게 보고하여 賤役을 부과해 종신토록 학교에 들어오지 못하게 했다. 그 다음 죄질이 무거우면 학교에서 내쫒았으며, 행동을 고치면 처벌을 하지 않았다. 가벼운 죄일 경우 회초리를 때리거나 벌을 주도록 했다.
경주향교학령의 두 번째 내용은 白鹿洞規로 원 명칭은 白鹿洞書院學規로 주자가 50세 되던 해에 만든 것이다. 세 번째는 堂中憲인데, 그 뜻을 명확히 알 수 없으나 明倫堂에 써놓은 중요한 규정으로 추정된다. 당중헌 역시 엄한 처벌 규정이 제시되는데, 國諱의 글자를 범할 경우, 독서를 부지런히 하지 않을 경우, 나이 많은 사람이나 윗사람을 기만하는 경우, 창기를 데리고 와서 자는 경우, 숙소의 벽에 낙서를 하여 더럽히는 경우 등의 죄를 범하면 회초리 30대를 때린다고 되어 있다. 네 번째는 1516중종이 내린 傳旨이다. 이 전지는 학교는 風化의 근원이고, 首善之地로서 『小學』에 들어가서는 灑掃應待 및 退道의 절도와 愛親, 敬長, 隆師, 親友의 도로서 방심을 수습하고 그 덕성을 기름을 큰 근본으로 삼으므로 『소학』과 『가례』에 대한 교육을 중시하여 이를 널리 교육시키기 위한 사목을 예조가 마련하라는 내용이다.
다섯째는 1517년에 경상도관찰사김안국성주학도에게 내린 ‘勸學文’과 김안국의 ‘示學徒詩’에 대한 성주목사황준량의 次韻이다. 김안국金宏弼의 제자로 성주목사 재임시에 향교의 진흥을 위해 크게 노력하였다. 그 일환으로 성주향교를 방문하여 ‘권학문’을 내렸고, 학생들을 격려하는 시 ‘시학시’를 지었던 것이다.
마지막은 경주향교교수제독관이였던 손기양의 기록한 것으로 일종의 발문이다. 발문에는 경주향교학령에 대한 연혁 설명이 있는데, 원래 성주향교에 있던 학령을 기축년(1589)에 성주교수를 지낸 손기양이 필사하여 둔 것으로 만력 신축(1601)에 그가 경주향교교수로 부임하면서 옥산서원兩進齋에서 다시 연서한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전기 향교 교육의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조선전기 향교 교육을 엿 볼 수 있는 얼마 되지 않는 자료 중 하나이다.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古文書와 兩班社會』, 鄭求福, 一潮閣, 2002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1601년 경주향교 학령(學令)
學令
學令
一每月朔望敎官率諸生具冠帶詣
廟庭謁
聖行四拜禮
一每日教官講堂諸生請行揖禮鼓一聲諸生
以次入庭中心爲頭向教官立行揖禮訖各就
齋前相對揖遂就齋次儒生詣教官前請行日
講東西齋各抽一二人講所讀書粗及不通者
差等罰楚幷通略置簿鼓二聲諸生各執所讀
書詣教官先將前授論難辨疑後承新授不務
多要須硏精如或對卷昏睡不留意承訓者罰
一每月望前望後守令親至鄕校同教官或命
題製述科次賞罰後並置簿
一守令及鄕黨尊老先達至校諸生行禮如教

一每六朔通考考講分數置簿年終合計不通
最多者一人又置簿報本邑轉報監司或定醫
律生或定歲貢以市罰辱勤學補過則還校籍
勤學補過以願講通小學二書一經以上驗懶
慢尤甚終不能學者永定通最多者亦申報論
賞或完復戶役不過一年
一每六朔通考製述科次置簿分數最多者申
報論賞或完復戶役不過六朔
一諸生讀書先明義理通達萬變不須徙事章
句牽制文義常讀小學家禮四書五經性理大
及諸史等書不挾莊老佛經雜流百家子集
等書又常習童蒙須知以檢飭言行禮節違者

一諸生讀書務要講明義理體行于身常以恭
敬篤實謙讓修飭交相勸勉毋騖虛遠毋處鄙
陋一以濂洛賢哲爲標準其或放蕩浮誕放漫
不檢者又相勗戒不改者告于師長而責罰之
猶不改者黜之
朱文公白鹿洞規常書貼講堂及東西齋諸
生交相飭勉
一每月望前古詩疑義論賦表箋中二望後銘
箴頌記對策中一命題製述其體制要須簡嚴
精切辭達而已勿使險僻奇恠如變更時體倡
率浮靡者黜書字不楷正者亦罰
一諸生講經句讀詳明議論通達諧括一書綱
領旨趣縱橫出入諸書融會貫通到十分盡處
爲大通雖不至十分盡處句讀詳明議論通豁
諧括一書綱領旨趣融會貫通豁爲通雖不至
融會貫通句讀詳明釋意通豁連上接下能得
一章大旨爲略通句讀明白釋意分曉雖得一
章大旨而議論有未盡爲粗通下此者爲不通
一諸生不尙論聖賢或好爲高談異論非毁前
修謗訕朝邑之政或商論財賄談說酒色者罰
一諸生有罪犯五論或虧失節行玷身汚名者
諸生通議鳴鼓攻之甚者或報告邑宰定賤役
終臣不齒於學
一諸生或恃才自驕恃勢自貴恃富自矜以少
凌長以下凌上者豪侈相誇服餙違衆者或好
爲闘訟攘人利己者巧言令色務悅於人者或
引致娼流女色歌舞喧戱止宿齋房以亂禮教
汚衊學宮者黜學擯斥改行乃止
一諸生怠惰無志不修業不製述不喜讀書者

一每月三四次許諸生請告覲省父母澣濯衣
腹顧治家事教官量日給之受暇日亦須溫故
讀新毋廢書圖毋事射候博奕觀獵魚一應遊
戱等事違者罰
一每日未明鼓一聲諸生起寢平明鼓二聲正
衣冠端坐讀書鼓三聲以次詣食堂坐食畢以
次出秩序或喧嘩者罰
一諸生有操行卓異學問該博才藝出衆通達
時務者一二人每歲杪諸生通議薦擧告敎官
申報監司置簿以待
朝廷辟擧之

一諸生有過大則行楚小則罰小學不通則行

白鹿洞規
父子有親君臣有義夫婦有別長幼有序朋友
有信
右五教之目堯舜使契爲司徒敬敷五教即
此是也學者學此而已其所以學之之序亦
有五焉其別如左
博學之審問之愼思之明辯之篤行之
右爲學之序學問思辨四者所以窮理也若
夫篤行之事則自修身以至于處事接物亦
各有要其別如左
言忠信行篤敬懲忩窒慾遷善改過
右修身之要
正其義不謀其利明其道不計其功
右處事之要
己所不欲勿施於人行有不得反求諸已
右接物之要
熹竊觀古昔聖賢所以教人爲學之意莫非使
之講明義理以修其身然後推以及人非徒欲
其務記覽爲詞章以釣聲名取利祿而已也故
堂中憲
第一等楚甲三十
犯書
國諱
讀書不勤
欺慢長上
娼妓率宿
毁汚窓辟
第二等楚三十
私自闘閧
傳旨學校風化之源首善之地教學所尙而習俗
隨焉古昔帝王能盡君師之責者莫不謹於教
尙以導率之說爲塾庠序學盖自人生八歲皆
令入于小學教之以灑掃應對進退之節愛親
敬長隆師親友之道使之收其放心養其德性
以立其大本至于十有五而入大學則特因
已成之功循序而進以達夫窮理正心修己
治人之術而已蒙養得正源本旣厚故士敦於
德民興於行風俗淳美人村衆盛予以凉薄托
于臣民之上德雖愧於往古未嘗不盡心於培
本興化之道期欲使性理本末之學大行于世
以無負君師之責而學校頹弛風俗日隅鄕無
敦尙孝悌之習朝鮮德義粹學之士艮由古者
小學之教廢而不講大本不立蒙以養正教預
之道本未盡其方以念自泰火之後先王說教
大小次第節目未能考究賴宋子朱子著爲小
學之書修身大法該載其中規模節目亦無不
備使千萬世爲師者有所據而教之爲學者有
所做而習焉切於人倫日用而爲教學之本領
者莫重此書而朱子所編一書亦切於齋
家範俗之道故
國家於生員進士覆試令講兩書以亦崇重之意
俾學者無不講習以成就其德行法典之設非
不美也而有司慢於奉行試學之際視爲從常
慢不嚴處學校任師長之責不以蒙養培根爲
意從區區於記誦詞章之間小學之道殆將泯
節予甚慮焉小學之書旣爲時習所不尙公私
藏儲亦必稀少其速廣行印頒使京外學校止
鄕閭村巷無不得而學習師長之誨後進父兄
之訓子弟朝庭之取選試率以是爲急教而學
學而行習與性成化隨教行則風俗何患不正
人材何患不美惟爾禮曺體予至意曉諭中外
爲乎矣小學書公私廣布崇勸學習節目及
進士覆試時申明嚴講節目幷以祥悉磨鍊
施行爲只爲下禮曺爲良如教
傳旨是白置有亦向前小學殷養蒙正俗最爲根
本當先訓誨是去乙近廢不行有乖養正之意
須要廣布中外爲乎事是昆二千件令校書館
印出內而成均館四學公卿大夫士及童蒙學
是沙餘良外而州府郡縣學校學長惠是磨鍊
廣布爲乎矣外方有印本各官乙良令本道觀
察使多數印出廣布學習以興孝悌之風爲旀
成均館四學月講曾讀乙良式爲小學試講童
蒙學乙良置曺以時不定考講以考勤慢外方
乙良令觀察使考講勸獎爲乎矣生員進士
試時小學試講之法亦有深意爲去乙近
來視爲文具略不祥問立法本意乖違爲昆令
後每書抽栍詳盡講問痛鮮大義者試取何如

聞行下向事牒呈據議政府
啓目粘連牒呈是白有良尒牒呈內貌如施行
爲乎矣板本所無各道以開刊印出廣布何如
正德十一年十一月十三日
啓依允
示勸星州學徒
經帷日日講道學行看遍海隅南土古來英
俊藪硏窮性理作眞儒
彛倫宇宙萬世楷模小學編我悔舊迷
追不及諸生黽勉跋前賢
正德丁丑觀察使金安國
金慕齋示學徒韻
滔滔歧轍泣楊朱絶學何人志反隅千古遺經
柯則在硏窮期作席珍儒
歡息斯文欲喪天微言何幸載塵編晴窓開卷
爐熏靜方寸常如對聖賢
嘉靖庚申秋季牧使黃俊良
【右學令一件乃星州牧藏也歲己丑教授
星繕寫舊藏之殘壞者以備師生朔望之申

【讀到令十三年又赴慶學兵火之餘例郡學
規蕩失無存適閱在家巾衍得星學草本於

【爛紙中豈知十載漂流昔日書籍無復片紙
隻字之遺而尙能保此於東塗西林之餘乎

【乃更淨寫用爲自令作古之規但恨草本未
免有缺落如犯書國諱等憲條居半脫欠

【姑例其存者以俟完本云萬曆辛丑夏提校
孫起陽書于玉山兩進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