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583년 계회입의(契會立議)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1+KSM-WC.1583.4784-20090831.Y0940901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문집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작성주체 정구
작성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작성시기 1583
형태사항 크기: 31.3 X 27
판본: 목판본
장정: 선장
수량: 3권 2책
판식: 四周雙邊 半郭 19.6 x 15.5 , 10行20字 註雙行, 內向2葉花紋魚尾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214-1

안내정보

1583년 계회입의(契會立議)
정구1583년성주회연百梅園을 짓고 鄕友와 문인들로 이루어진 계를 조직하여 그 운영에 대한 세칙과 절차를 만들었는데 이는 그 세칙이다. 매월 초하룻날 모여서 성현의 글을 강론하고 행실을 닦는 기회를 갖는 강회의 성격을 가졌다.
남민수

상세정보

1583년 향우와 문인들로 구성된 계회의 입의(契會立議)
寒岡先生文集寒岡先生文集卷之九 雜著寒岡先生文集卷之九 十六
내용 및 특징
정구1583년성주회연百梅園을 짓고 鄕友와 문인들로 이루어진 계를 조직하여 그 운영에 대한 세칙과 절차를 만들었는데 이는 그 세칙이다. 매월 초하룻날 모여서 성현의 글을 강론하고 행실을 닦는 기회를 갖는 강회의 성격을 가졌다. 立議의 내용을 보면 약조의 조목은 呂氏鄕約의 내용을 그대로 따르며 옛날과 지금의 상황이 다르다는 이유로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또한 계원으로 들어오길 희망하는 자는 直月에게 그 뜻을 알리고, 계원들이 모인 자리에서 직월이 알려서 반드시 많은 사람이 허락한 후에야 명단에 이름을 쓰고 가입시킨다. 거리가 30리 이내에 있는 자는 매월 1일에 모이고, 30리 밖에 있는 자는 사계절의 첫 달 1일에만 오기로 한다. 집회일에는 일찍와야 하며 어린 사람은 존장보다 더 일찍 와야 한다. 약조의 법칙을 낭독한 다음 주자의 白鹿洞規를 강독한다. 모임을 갖는 날 반드시 한 달 동안 익힌 공부를 서로 살펴본다. 이때 30세 이전인 자는 등을 돌리고 암송하며, 30세 이상은 책을 보고 낭독한다. 비가 오면 일시 중지하고 날이 갤 때까지 기다린다. 결국 그날 모임을 못하면 직월이 約正에게 알려 다시 날짜를 정해 모인다. 모든 길흉사에 모두가 돕는 것은 本家가 그 사실을 직월에게 알리거나 혹은 그 집과 가까운 곳에 사는 자가 직월에게 알린다. 모든 回文은 순번대로 서로 전달하되 각기 전달한 시각을 그 문서 아랫부분에 기록한다. 행여 지체하지 말아야 하며, 지체시에는 약조를 어긴 것에 대해 처벌한다. 만약 계원으로 들어오더라고 나아짐이 없고 한가로이 세월만 보낼 뿐인 계원은 퇴출한다. 계원들은 마음을 가다듬어 글을 읽고 행실을 닦아야 한다고 했다.
자료적 가치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7
『寒岡先生文集』, 鄭逑, 檜淵書堂, 1926
이병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1583년 계회입의(契會立議)
契會立議
一約中規目一從呂氏之舊不可諉以古今異宜
一如有願入約者告于直月直月告于在坐必衆許
然後書于籍而入之
一道里在三十里內者每月朔來會三十里外者唯
赴孟朔其間或能逐朔來預則尤善
一會日相聚須及早朝若後生少年則宜先來詣母
後尊長
一或非衆所共知切迫不得已之故而假托不參者
論如犯約之過書于籍
一讀法訖參講朱子白鹿洞規
一會日須相考一朔所習之業【學者一日有一日工
夫一月有一月工夫

【○呂氏學規肄業當有常日記所習于簿多寡隨
意如遇有幹輟業亦書于簿一歲無過百日過百

【日者同志共擯之○三十歲
以前背誦以後臨文講說

一會日或値天雨則當權停待晴直月告于約正更
期日而會之
一期大功未葬者許不赴會
一四孟朔日旣赴約會則難兼修禮見當權宜停之
一凡吉凶相助之事本家告于直月或其近居者告
于直月【或直月自知
之不必待告

直月稟于約正而定數力有大小分有厚薄並宜
參量亦須斟酌本家之勢
一凡回文次次相傳各書時刻於其下無或小滯滯
有犯約之過【終到之人持以納于契
會之日仍撿遞傳敏慢

一雖已入約而泛然隨參無意振發悠悠時日無所
進益者聽其出約或不能文而有好善修行之實
者可以許入
一入約之人各自敦飭讀書修行雖學有淺深才有
高下而要其志趣必學古人必正其義而不謀其
利必明其道而不計其功勿汲汲於富貴勿戚戚
於貧賤庶幾有儒者氣味節拍處苟不能如此已
非吾輩中人雖無約中之罰亦何以冒昧隨參以
爲吾約羞哉凡約中諸君尙胥警焉【正誼明道者
儒計較利害

【者非


一進德謹行之目已盡於德業相勸之條只要熟玩
勉行而已然吾同約之人尤須激昂於子路義勇
氣像【子路曰願車馬衣輕裘與朋友共敝之而無
憾子曰衣敝縕袍與衣狐狢者立而不恥者

【其由
也歟
】超然脫灑於勢利不以貧富動其心然後可
以消人欲而進天理矣吾同約之人盍相與勉之
哉周子曰銖視軒冕泥視富貴學者須知此意方
不碌碌矣【周子非謂輕視貴人也軒冕富貴人所
爭慕而自道義觀之曾不若乎銖泥如

【富貴浮雲之意云爾若有爵貴人則亦達尊可敬
世間尙氣後生或有偃蹇陵轢自以爲高殊非學

【者氣像吾輩之
中豈有是哉

一學者平時宴坐說話稍有可觀及見臨小利害便
爲所奪精神都喪手足盡露此古今通患夫讀書
而爲儒孰不欲求如古人自後人觀之其果能終
始無愧而得爲完人者實鮮究厥所以未有不由
失步於利害之初歧而竟至於顚沛而無可收拾
處雖情有輕重敗有大小其失其本心而爲吾儒
之羞惑則□也嘗竊思之一毫之失千金之得何
足以動吾之胷中而不能豎立自棄至此而終不
能覺悟者何邪言之誠切痛心預告吾約中諸君
須常加戒母見羊皮忘我琬琰且古人謂能破千
金而失聲破釜眞情所露亦不在大君子觀人之
法實寓於造次幾微之際此又豈不嚴且可懼哉
唯常存此心於道義之中直養無害令本心浩然
發皆灑落則庶幾可以自保矣然此亦本非苟難

亦非別有方法又不得不如是吾約中諸君旣以
古人相期何可不相勉焉邪
一聖人之聖賢人之賢蓋非高遠異常如昇天梯空
之爲實人理當然如男耕女織職分常事只緣人
自不察不能自修知者旣鮮行者尤鮮擧世昏昏
濁浪滔滔間或見有奮發願學之人獨異於衆同
之中則競相指目怪異齟齬如新見蜀日越雪焉
夫豈知彼眞能爲吾之所當爲而我實誤入狼狽
自彼人觀之爲眞可笑可憐之甚乎苟欲爲之實
能爲之如不己焉終有所到如新生之木毋傷其
長則必至參天新種之稼毋傷其養則必至成熟
惟欲爲之心與不己之功爲貴焉爾是故古人必
言立志有爲君子之所以爲君子常人之所以爲
常人莫不由有志與無志判焉伊尹初無任天下
之志則不過爲莘野之一耕夫顏淵初無慕仲尼
之志則何由三月仁於陋巷之中乎况吾同約之
人皆孟子所謂可以爲堯舜之人也須各自憤之
志自力不己焉則安知於吾黨之中而亦有見囂
囂之樂不改之操乎年固有高下之各異質固有
鈍敏之不齊且不見武公之九十曾子之質魯乎
所患只欠抑戒之自警三省之篤實焉爾各從現
今地頭毋勞追悔於旣徃莫恨資稟之不及唯當
刻心自勵百倍其功脫落舊習變化氣質則今人
何患不及古人乎高可爲聖賢下不失爲吉人善
士唯吾用力如何耳不唯有以答受中以生之責
而參立於天地之間抑內慰門戶父兄之所望外
副朋儕契約之本意不亦快哉不亦樂乎願吾黨
諸賢思有以如是而必有以如是須先立志以爲
舜何人哉有爲者若是焉不勝拳拳相愛之至誠
云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