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이진상(李震相) 회보계첩서(會輔契帖序)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1+KSM-WC.0000.4784-20090831.Y0940913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문집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작성주체 이진상, 회보계
작성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형태사항 크기: 31 X 22
판본: 목활자본
장정: 선장
수량: 49권 24책
판식: 半郭 : 22×17, 四周單邊, 有界, 10行20字, 內向二葉花紋魚尾 上下白口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이진상(李震相) 회보계첩서(會輔契帖序)
19세기 후반 성주 지역의 유학자인 이진상(李震相)이 작성한 회보계(會輔契)의 계첩(契帖) 서문(序文)이다. 회보계는 고령에서 결성되어 운영된 일종이 학계(學契)로, 이시기 성주고령을 비롯한 인근의 유학자들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특히 이진상 문인들이 많이 관여하고 있었다. 본 계첩의 서문에는 회보계에서 강학하는 학문이 글재주를 뽐내는 것이 아니라 인(仁)을 구(求)하는 학문임을 강조하며, 회보계 결성의 목적이 교화와 강학에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광우

상세정보

19세기 후반 성주 지역의 유학자인 李震相이 작성한 高靈 會輔契 契帖의 序文으로, 會輔契는 지역 유림 간에 학문을 교유하고 강학하기 위해 결성된 學契임
寒洲集 十七寒洲集 卷之三十三 序 會輔契帖序寒洲集 卷三十三 二十九
一 : 卷1 詩, 卷2 詩 / 二 : 卷3 詩, 卷4 疏,策 / 三 : 卷5 書, 卷6 書 / 四 : 卷7 書, 卷8 書 / 五 : 卷9 書, 卷10 書 / 六 : 卷11 書, 卷12 書 / 七 : 卷13 書, 卷14 書 / 八 : 卷15 書, 卷16 書 / 九 : 卷17 書, 卷18 書 / 十 : 卷19 書, 卷20 書 / 十一 : 卷21 書, 卷22 書 / 十二 : 卷23 書, 卷24 書 / 十三 : 卷25 書, 卷26 書 / 十四 : 卷27 書, 卷28 書 / 十五 : 卷29 書, 卷30 書 / 十六 : 卷31 書, 卷32 書 / 十七 : 卷33 序, 卷34 記 / 十八 : 卷35 跋,論, 卷36 辨,攷 / 十九 : 卷37 說, 卷38 後說 / 二十 : 卷39 雜著, 卷40 雜著 / 二十一 : 卷41 雜著, 卷42 雜著, 卷43 雜著 / 二十二 : 卷44 雜著, 卷45 雜著 / 二十三 : 卷46 銘,箴,贊,上樑文,祭文, 卷47 碑文,墓碣銘,墓表,墓誌 / 二十四 : 卷48 行狀, 卷49 行狀,傳
내용 및 특징
19세기 후반 성주지역의 유학자였던 李震相이 작성한 會輔契帖의 序文이다. 會輔契는 유림들 간의 학문교류와 강학을 목적으로 高靈에서 조직된 일종의 學契이다. 李震相은 말년에 會輔契의 講長職을 맡기도 했었다. 서문에는 회보계가 가지는 의의를 『論語』를 비롯한 여러 유교 경전의 구절을 인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契의 결성 경위와 서문을 작성하게 된 연유 및 당부사항이 나타나 있다.
서문은 옛날 어떤 자가 본인에게 ‘以文會友以友輔仁(글을 가지고 벗을 모으고, 벗으로 仁을 돕는다)’라는 『논어』의 구절이 聖人의 말이 아니라는 물음에서부터 시작된다. 이에 대해 李震相은 역시 『논어』에 나오는 여러 문구를 들며, 질문한 자의 학문이 얕음을 지적하면서 본 會輔契에서 강학하는 학문이 문장을 뽐내는 詞章에 있지 않고, 仁을 求하는 학문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어 회보계의 결성 경위가 언급되어 있다. 서문에 따르면, 李震相高靈鍾山齋에 갔는데, 會中에 많은 文學之士들이 모였으며, 酒禮를 마치고 諸生이 학문을 토론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때 齋中의 少友들이 一帖을 가지고 와 보여주며 뜻을 같이 하자고 하니, 契를 맺고 成案을 하였다. 이로써 장차 鹿洞의 遺規를 쫓고, 鵝湖의 講席을 설치하게 될 것임을 말하고 있어, 본 계의 결성 목적이 교화와 강학에 있음이 나타난다. 그리고 이로써 옛 사람의 爲己之學에 힘쓰니, 이름을 會輔契라 名하게 되었다고 한다. 契의 節目은 本務에 충실할 것으로 敦篤하는 규정이 있으니, 將釋回增美로 文이 되고, 善한 일을 권하고 허물을 규제함으로써 仁이 된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면서 글재주의 長短을 경쟁하고 盃酒에 오만해져, 본 계가 一曝十塞 되는 근심은 없어야 하며, 성실이 자신을 성찰해서 買櫝還珠의 면하지 못하는 폐가 없어야 한다고 당부하고 있다.
자료적 가치
19세기 후반 결성되었던 學契의 특성과 성주의 대표적인 유학자였던 李震相의 학문세계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會輔契는 20세기를 전후해서 활동한 李震相의 문인들이 대거 참여했었던 學契로, 이시기 이들이 공유하고 있었던 학문관의 일면목이 나타난다.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조선후기 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民音社, 1990
『星州郡誌』, 郡誌編纂委員會, 星州郡, 1996
『韓國文集叢刊: 寒洲集』, 李震相, 民族文化推進會, 2003
『退溪學派와 理 철학의 전개』, 琴章泰,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이진상(李震相) 회보계첩서(會輔契帖序)
會輔契帖序
昔有問於我者曰以文會友以友輔仁非聖人之言
歟友也者友其德也不求其德而但取其文則忠信
朴直質有餘而文不足者將不得切偲於我而子張
之賤儒聯袂而至矣吾夫子曰爲仁由己由人乎
哉又曰仁以爲己任不亦重乎夫仁本在我不待求
之於人仁道至大亦非可責之於人人故臧文仲
文焉而數其不仁者三陳文子之文焉而斥之以焉
得仁孔文子之敏而好問季文子之思而後行斯可
謂之文矣而私意惑之行不合理則會之以文者安
能輔吾之仁乎余應之曰子徒見纂組雕篆之文適
足以病吾仁而未見到聖人經緯之文大賢布帛之
文所以有此說然文者仁之著也仁者文之實也
文王孔子古之安仁者也而語曰煥乎其有文章
又曰文王旣沿文不在玆乎又曰夫子之文章可得
而見盖以光輝之發於外者驗其天德之全於內也
曾子之自言吾友者惟是一顏子而顏子之學博
文約禮而已而克己爲仁終至於不違仁則不能從
事於博文者安能復禮以爲仁乎子貢問仁而孔子
答之以友其士之仁者顏子以下明睿無如子貢
曾子同聞一貫之道則曾子之所可會者子貢亦
其次也若其所畏乎子路者特以喜聞過無宿諾勇
於求仁也文之以禮樂亦足以成人至如子游子夏
以文學叅四科亦何嘗秉筆爲詞章哉問者唯唯而
退居數月余赴高靈鍾山齋會中彬彬多文學之
士酒禮畢揖諸生討論古訓要相訂正齋中少友因
出一帖示之葢與同志幾人結契成案將以踵鹿洞
之遺規設鵝湖之講席相與着力於古人爲己之學
因名曰會輔契觀其節目藹然有敦本務實之意盖
將釋囘增美以爲文責善規過以爲仁其與夫羣居
終日言不及義而竸長短於藻繪騈儷之間長怠傲
於盃酒諧謔之際者相去遠矣然朋友之會合有時
而不能無一曝十塞之患自己之修省未實而不免
買櫝還珠之弊則將與善柔之友相安於姑息之
仁節目雖美文具而已爲諸君計莫若先修己而後
資人盖其爲仁之本己立於入孝出悌之時而行有
餘力即以學文則知行兩進表裏交正朋友之至始
可以觀善相摩道益明而德日新矣脩己之要在乎
立志之篤而致思之精故魯論曰博學而篤志功問
而近思仁在其中又曰先難而後獲可謂仁矣此乃
曾子之所聞乎師友而三省其身者也顧余老而
役文擇不處仁炳燭之光不能有補於如日方升之
地特因弁首之請粗述向時問答之語兼致勸勉之
意俾諸君視我爲戒而輔我之不逮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