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세기 중엽 김진영(金振英)의 백록동향음례서(白鹿洞鄕飮禮序)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1+KSM-WC.0000.2771-20090831.Y0940104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문집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작성주체 김진영
작성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형태사항 크기: 21.2 X 16
판본: 목활자본
장정: 四周單邊, 半廓
판식: 注雙行, 上下內向四瓣花紋黑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대구 녹동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현소장처: 대구 녹동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안내정보

17세기 중엽 김진영(金振英) 백록동향음례서(白鹿洞鄕飮禮序)
17세기 중엽 달성군 우록동에 살았던 김진영이 동약(洞約)을 보급하면서 예의를 잃지 않는 음주문화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이를 강조하기 위해 지은 향음례(鄕飮禮)의 서문
영남향약자료집성,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6
한국의 향교연구, 강대민,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남민수

상세정보

17세기 중엽 金振英달성군 우록리에서 洞約을 보급하면서 鄕飮禮의 중요성을 강조한 序文
내용 및 특징
17세기 중엽 金忠善의 손자인 金振英 달성군 우록동에서 조부의 遺志를 받들어 洞約의 보급을 시행하였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鄕飮禮는 고대로부터 전래되어 온 중요한 유교풍습의 하나로 예의를 잃어버리기 쉬운 飮酒 행위를 통해 오히려 장유유서의 질서 등, 유교의 의례를 익히게 한 유교행사의 하나이다. 특히 편찬자의 조부인 모하당은 洞約을 보급하면서 술을 마시거나 무절제하게 도박을 하는 등, 쓸데없는 짓으로 시간을 보내는 것을 많이 경계했기 때문에 金振英도 향음례를 중요하게 여기고 강조하는 글을 지었다.
자료적 가치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두루 거치면서 조선의 향촌질서는 크게 흔들리게 되었다. 이 때문에 예전에는 양반사족 위주로 이루어졌던 향약의 실시가 점차 하층신분으로까지 확대되게 되었는데 본 문건을 통해서도 그러한 현상이 일부 확인되고 있다.
영남향약자료집성,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6
한국의 향교연구, 강대민,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1차 집필자:남민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세기 중엽 김진영(金振英)의 백록동향음례서(白鹿洞鄕飮禮序)
白鹿洞行鄕飮禮序
鄕飮蓋古禮也昉於三代歷皇明建我本
朝於是爲盛先王用邦國鄕閭爲化民成俗之本大
小不同所以化成一也斯禮之所關係者大矣噫我
所居幽聞不見外事俗則淳厖近古而人品昏愚魯
莽專昧禮讓今而不立師司以先導之膠泥習俗終
於汙下均是人也可不惜哉乃設鄕約春秋以講肄
之至若約會之時不可無酒數則酒是伐性尤物易致
爭訟羲易所以繫訟於需下乃知防禍莫此禮若
籩豆有踐升降有數一獻之禮賓主百拜不唯節文
度數之是尙得聞白華南垓則知孝於父母使咏鹿
鳴皇華則知忠於君長如是則自無使酒妄作之弊
嗟我同約之人不以例具視之有時講約之席兼行
飮禮以是爲常則勉勉不已焉則未必無萬一觀感
之漸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