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보인계안서(輔仁契案序)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1+KSM-WC.0000.2771-20090831.Y09401016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문집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작성주체 박승동
작성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형태사항 크기: 28.8 X 19.7
판본: 목활자본
장정: 선장
수량: 19권 8책
판식: 四周單邊, 半廓 20.3x16.1 , 有界, 10行20字,注雙行, 上下內向四瓣黑魚尾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214-2

안내정보

보인계안서(輔仁契案序)
雲皋處士 白鶴洙의 제자들이 스승을 추모하고 상호간에 우의와 강학을 목적으로 만든 輔仁契案의 序文이다
이병훈

상세정보

白鶴洙의 제자들이 스승을 추모하고, 서로 강학하며 친목을 다지기 위하여 만든 輔仁契案의 서문
渼江集渼江集 卷之十 序渼江集 卷十 十六
卷1 詩, 卷2 詩·辭, 卷3~7 書, 卷8 雜著 卷9 雜著, 卷10 序, 卷11~12 記, 卷13 跋銘箴贊箋 卷14 上梁文卷15 祭文 哀辭 卷16 神道碑銘 墓表 墓碣銘 墓誌銘 墓誌 卷17 行狀 行錄 卷18 傳 卷19 附錄 行狀 墓碣銘 跋
내용 및 특징
이 자료는 白鶴洙를 추모하기 위하여 만든 보인계의 서문이다. 雲皋處士라고도 불린 白鶴洙新安의 북쪽에 살고 있었다. 그는 부모에게 극진히 효도하고 친척간에 우애가 있었으며, 어렵게 공부하면서 오래전에 칩거하여 도리에 어긋나는 것을 하지 않았다. 또한 배운 바를 스스로 실천하니 그의 주변에 많은 사람들이 오가며 그에 대하여 왕왕대었지만, 그는 흔들림 없이 학문을 추구하였다. 시간이 흐른 후에 살펴보니 그의 학문은 朱子의 眞學을 알고 있었다고 감탄할 만큼 뛰어났다. 그래서 처사가 죽은 후 그에게 수학한 사람들이 그의 추모하기 위하여 계를 만드는데 합의하고, 契案을 작성하였다. 그들은 계안의 이름을 '輔仁’이라 정하고, 박승동에게 이 계안명에 대한 설명을 청하였다. 그래서 '輔仁'의 뜻은 동료들끼리 상호 보완하여 학문을 講하고, 나아가 벗들 간에 상호 어짐(仁)이 있는 고로 輔仁이라고 한다고 했다.이어서 경계의 말을 전하였는데, 자신의 안위와 스스로를 내세워 이익을 취하는 것은 輔仁의 道가 아니니, 모든 선비들은 서로에게 의혹을 버리고 생활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렇게 하면 이 수계가 만들어진 취지가 여러 선비들의 말속에 오랫동안 남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자료적 가치
이병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보인계안서(輔仁契案序)
輔仁契案序
新安之北有紫陽雲谷之勝非徒地名之虛籍必
有學朱子者在在其閒而近世雲皋處士白鶴洙
孝於親睦於族自少劬書劇於嗜炙而早謝公車反
躬於艮其背而踐實於爲己之學蕭然淸坐尤有意
於勸進來學是往往有虛而來實而往者多實非世
人之鑿志彌昏者比也感興詩所謂豈若林居子幽
探萬化源者非此歟乃知雲皋處士其眞學朱子
也然則紫陽雲谷亦非虛籍焉古人名物似有待而預
備者尤其異也哉處士沒後疇昔之負笈者及朋從
之人追思受斅契合之義修契而成案題其案曰輔
仁求說于余余起而曰師死遂倍鄒聖之所歎而顧
今聖益遠而俗愈渝梔言而蠟貌者汨其性1001(氵+皋)其醇
矣安知先進之是趍乎惟諸彥戒於斯修一契而矢
其志其誠可知然若非處士誨人之道曾不入人之
㴱則人之誠豈可如是哉可誦也哉雖然契云者合
也羣居講學以相輔益故曰以友輔仁也今諸彥相
與修契其意美矣而心氣相合而後可以保此則顧
名思義究極其實可也豈可聲音顏貌而已哉蓋自
安於小成見利自衒者非所以輔仁之道也願諸彥
無惑乎世界之缺陷宇宙之長夜惟所受之是守而
益篤焉則今日修契之意長有辭於諸彥矣可不警
哉處士之孫南吉和碩甫及其再從孫南爀甫盛言
諸彥篤學之誠故喜而忘疴略搆數語如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