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이병운(李炳運) 경인계첩(景仁契帖) 서문(序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1+KSM-WC.0000.2723-20090831.Y0940125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문집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작성주체 이병운, 경인계
작성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형태사항 크기: 20 X 28
판본: 목활자본
장정: 선장
수량: 14권 4책
판식: 半郭 : 16×20, 四周雙邊, 有界, 10行20字, 內向二葉花紋魚尾 上下白口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214-1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214-1

안내정보

이병운(李炳運) 경인계첩(景仁契帖) 서문(序文)
1916대구광역시지역에서 결성된 경인계(景仁契)의 계원 명부 서문으로, 이병운(李炳運)이 작성하였다. 경인계는 조선후기 정조(正祖) 연간 활동했던 대구광역시 출신의 유학자 우재악(禹載岳)을 기리기 위해, 지역 후배들이 결성하였다. 그들은 선배의 학문적 업적을 이어 받아, 학문을 토론하며 상호 간의 결속력을 강화를 도모하려 했던 것이다.
이광우

상세정보

1916대구광역시 출신의 유학자 禹載岳을 기리기 위해 지역의 유림들이 결성한 景仁契의 契帖 序文으로, 李炳運이 작성
兢齋集 利兢齋文集 卷之八 序 景仁契帖序兢齋文集 卷之八 十八
元 : 卷1 詩, 卷2 書 / 亨 : 卷3 書, 卷4 書, 卷5 書, 卷6 書, 卷7 書 / 利 : 卷8 雜著,序, 卷9 記, 卷10 跋,箴,銘,昏書,上樑文 / 貞 : 卷11 祝文,祭文,哀辭, 卷12 墓碣銘,墓誌銘,墓表, 卷13 行狀, 卷14 附錄
내용 및 특징
景仁契帖의 序文으로 일제시대 때, 대구광역시無怠에 거주하고 있던 유학자 李炳運이 작성하였다. 景仁契는 조선후기 학자였던 仁村 禹載岳을 기리기 위하여, 지역의 유림들이 결성한 契이다.
景仁契帖의 서문에는 우재악의 업적과 契를 결성하게 된 동기가 나타나 있다. 서문에 따르면, 仁村 禹載岳正祖의 명으로 1795년 경상감영에서 『五經百選』을 교정할 때, 지역의 학자로 참가할 정도로 經術에 뛰어났다고 한다. 그는 禹卓禹玄寶의 家學을 이었으며, 당시 노론의 대표적인 산림학자였던 洪直弼, 李宜朝와 교유하였었다. 우재악이 졸한지 100여년이 지나, 이병운을 필두로 한 지역의 학자들은 그를 기리기 위하여 遺文을 간행하였고, 1916년에는 契를 조직하여 지역의 후학들을 가르칠 바탕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에 이병운이 契員들이 우재악의 학문을 배우고 도를 본받는데 게으르지 않기를 다짐하면서 景仁契帖의 序文을 작성하게 된 것이다. 경인계가 결성된 시기는 일제강점기로 계를 통해 결속력을 강화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전통적인 위치를 공고히 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부터 일제시대까지 대구광역시지역 유림들의 동향과 성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봉건신분제도가 해체 된 일제시대 때 그들의 위치를 공고히 하기 위한 방편으로 契가 이용되던 추세를 살펴 볼 수 있다.
『大邱市史』, 大邱市史編纂委員會, 大邱直轄市, 1973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조선후기 향약 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民音社, 1990
『國譯 兢齋文集』, 李炳運, 學民文化社, 1994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정진영, 한길사, 1998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이병운(李炳運) 경인계첩(景仁契帖) 서문(序文)
景仁契帖序
昔我正廟盛際誕敷文教親定五經百選
選林下儒逸之㴱於經術者俾校準之我鄕之仁村
先生禹公居其一也公以頴悟之姿兼刻苦之工承
易東養浩之家學而資梅山鏡湖之麗澤以德崇行
潔苑然爲當世之宗匠後生之師表焉嗚呼今去公
沒殆百有餘年而遺風餘韻尙此藹然凡爲委貌
莫不爲之景慕而旣刊行公之遺文今於丙辰又修
契事以爲後來講會之資此實公登對經幄之年
則事亦有不偶然者也凡我契中同志學
先生之學道先生之道無惰無荒圖所以紹述可也顧今純坤
世界扶持線脈其亦在斯也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