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이병운(李炳運) 무태동계첩(無怠洞約契帖) 서문(序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1+KSM-WC.0000.2723-20090831.Y0940124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문집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계문서
작성주체 이병운, 무태동계
작성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형태사항 크기: 20 X 28
판본: 목활자본
장정: 선장
수량: 14권 4책
판식: 半郭 : 16×20, 四周雙邊, 有界, 10行20字, 內向二葉花紋魚尾 上下白口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214-1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214-1

안내정보

이병운(李炳運) 무태동계첩(無怠洞約契帖) 서문(序文)
일제시대 대구광역시지역의 유학자 이병운(李炳運)이 무태동계(無怠洞契)를 결성하고. 계원 명부인 계첩(契帖)에 작성한 (序文)이다. 일제강점기 이후, 밀려드는 서구문물과 전통문화의 파괴로 유풍의 변모가 심화되자 지역 유학자들이 무태동계를 결성하여, 향약의 전통을 이어 받아 상호 간의 결속력 강화를 도모하고 유풍을 진작(振作)시키려 했던 것이다.
이광우

상세정보

일제시대 때 대구광역시 출신의 유학자 李炳運이 유풍을 진작시키기 위해 無怠洞契를 결성하고 작성한 無怠洞契帖의 序文
兢齋集 利兢齋文集 卷之八 序 無怠洞約契帖序兢齋文集 卷之八 十六
元 : 卷1 詩, 卷2 書 / 亨 : 卷3 書, 卷4 書, 卷5 書, 卷6 書, 卷7 書 / 利 : 卷8 雜著,序, 卷9 記, 卷10 跋,箴,銘,昏書,上樑文 / 貞 : 卷11 祝文,祭文,哀辭, 卷12 墓碣銘,墓誌銘,墓表, 卷13 行狀, 卷14 附錄
내용 및 특징
李炳運이 無怠洞契를 결성하고 작성한 序文이다. 서문에는 무태동계의 결성 목적과 과정이 언급되어 있다. 먼저 서문에서는 동약이 중국 송나라 때의 呂氏鄕約에서 연유했다며, 유구성을 밝히고 있다. 서문에 따르면, 이 땅에서는 예로부터 가정에서는 효성과 우애를 하고, 마을에서는 예법으로 사양하며, 慶弔에 빠짐이 없고, 衣冠을 본받을 만 하며, 歲時로 서로 오가니 풍속이 돈독하여 여씨향약의 遺風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근래에 접어들면서 習俗이 박해져, 고을의 老少가 모두 이러한 상황에 탄식하게 되었다. 이에 교육을 통해 옛 유풍을 가르칠 것에 대해, 뜻을 모아 동계를 결성하게 되었다고 한다. 동계는 고을에서 생기는 洞物 및 柳草와 당일에 모은 義捐金 20,000잎을 운용자금으로 사용한다고 나타나 있다. 아울러 모여진 契物은 향후 해마다 성심껏 운용하여 이자를 불려 본 용도에 보태고, 貧窮을 구제, 患難을 구휼, 禮俗으로 서로 사귀고, 서로 덕업을 권할 수 바탕으로 사용할 것을 다짐하고 있다.
동약이 결성된 시기는 일제시대로 전통적인 유풍의 변모가 매우 심하던 시기이다. 이에 무태동의 동민들은 자금을 모아 전통적인 유풍을 교육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고 무태동계를 결성하게 되었다.
자료적 가치
일제시대 대구광역시지역 유림들의 동향이 나타나 있다. 특히 전통적인 유풍에 대한 변모가 극심하던 시기 동계를 결성하여 어떤 식으로 대응해 나갔는 지와 동계의 운영비용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파악 할 수 있는 자료이다.
『大邱市史』, 大邱市史編纂委員會, 大邱直轄市, 1973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조선후기 향약 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民音社, 1990
『國譯 兢齋文集』, 李炳運, 學民文化社, 1994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정진영, 學民文化社, 1994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이병운(李炳運) 무태동계첩(無怠洞約契帖) 서문(序文)
無怠洞約契帖序
契之以洞約名蓋取諸呂氏鄕約之義也噫今之洞
即古之黨而黨與鄕雖有小大之別其義則一也惟
我洞處達句之北其邃古之蹟邈然付之杞宋而粤
自我朝盛時鴻碩代作絃誦不絕家而孝悌焉鄰
而禮讓焉吊慶無闕衣冠可則歲時相招肴羞交錯
此足以見俗尙之敦厚而隱然有藍田之風矣挽近
以來人心不古俗習漸薄一洞老少咸爲之慨然於
是謀㪅張而期挽回焉傳云富而後教竊念非其財
則無以資其教而凡於事爲亦難施措故乃取筭洞
物所歲出牟麥及柳草價及當日義捐可至二萬葉銅合而
成一契惟願僉君子各體其先父老所嘗眷眷於居
鄰敦俗之志而要使是物逐年拮据殖其利而資其
用則貧竆焉可濟患難焉可恤禮俗焉可交德業焉
可勸雖今之世亦可以變風興化似可免多讓於古
人矣盍相與勉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