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38년 남효순(南孝順)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F.1938.4717-20180630.01652570022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남효순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938
형태사항 크기: 24 X 65.8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마령 전주류씨 호고와종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938년 남효순(南孝順) 서간(書簡)
1938년 12월 7일에 영해 괴시리남효순(1863∼1942)안동 임하에 사는 전주 류씨 호고와댁에 보낸 안부 편지이다. 봄에 만난 것은 사모한 마음에 위로가 되었으나 이별 후의 나머지 쌓인 감정은 시간이 지나도 없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상대방 집안의 어르신들이 돌아가신 이후 수신자가 집안의 막중한 책임을 떠안게 되었지만 착실하게 잘 해나갈 것이라고 하였다. 발신자는 원근의 오랜 벗이 줄어드는 것이 아쉽다고 했으며, 발신자와 수신자가 아는 쇠퇴한 나이의 어떤 인물이 풍한을 무릅쓰고 상대방 집을 문후할 것으로 짐작하지만 그렇게 될지 모른다고 하였다.
『全州柳氏大同譜』,
『好古窩集』,
1차 작성자 : 김명자

상세정보

1938년 12월 7일에 영해 괴시리南孝順이 상대방 집을 방문할지도 모른다는 내용을 담아 안동 임하에 사는 전주 류씨 호고와댁에 보낸 안부 편지
1938년 12월 7일에 영해 괴시리南孝順(1863∼1942)이 상대방 집을 방문할지도 모른다는 내용을 담아 안동 임하에 사는 전주 류씨 호고와댁에 보낸 안부 편지이다.
편지는 올 봄에 상대방을 만난 것과 그 이후의 심경을 말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봄 동안 좋은 만남은 십년 우러러 사모한 것에 족히 위로가 되었으나 이별 후의 나머지 쌓여 있는 것은 세월이 지나도 아직 없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것은 ‘隱侯의 詩’의 진절함을 알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은후’는 중국 梁나라 沈約의 시호이며, 그의 시는 ‘別范安成’을 가리킨다. 그 내용은 "生平少年日分手易前期 及爾同衰暮 非復別離時 勿言一尊酒 明日難重持 夢中不識路 何以慰相思(우리네 인생살이 젊을 적에는 헤어져도 만날 기약하기 쉽더니, 그대와 함께 늙은 지금 이 시절, 더 이상 헤어질 때 말고 한 잔 술 별거냐고 말하지 마소, 내일 다시 이 술잔 잡기 어렵네 꿈속에 찾아갈 길 알지 못하니, 무슨 수로 그리움을 달래 보리오)"1)1) 『古今詩刪 卷9 梁詩』(한국고전번역DB 참조) 이다.
이어지는 편지의 내용은 겨울은 이미 깊고 경계는 조용한데, 집안은 더욱 맑고 화목하며 뜻은 오로지 정밀한지 물었다. 염옹이 세상을 떠난 것에 대해 친구의 복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염옹이 돌아간 이후 상대방이 무거운 부담에도 불구하고 착실하게 힘을 쓸 것은 언급하지 않아도 당연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어 숙부님의 연로하신 체후는 편안하고 그 집의 온갖 일들도 상대방이 몇 년 동안 힘을 다하여 노력한 나머지 이제야 그 수고한 효과가 드러난다고 하였다.
멀리서 상대방을 향한 치닫는 그리움이 절절한 가운데 발신자는 예전과 같은 모습으로 지내고 있으나 정신이 쇠삭하고 地氣의 무너짐은 날마다 심하다고 하였다. 酬應도 절도가 전혀 없으니 참으로 스스로 가련하다고 하였다. 그 가운데 가장 절박한 것은 서로 사랑하는 벗들이 하나둘 세상을 떠나 줄어드는 것이라고 하였다.
편지의 마지막 부분에는 누구인지 드러나지 않으나 ‘그 아이’의 행차가 쇠퇴해지는 나이에 풍한을 무릅쓰는 것이어서 매우 염려가 되고, 상대방 집에 들러 문후할 것으로 생각되나 과연 그것이 이루어지게 될지는 모른다고 하였다. 추신에는 ‘◘臺’라는 인물의 근래의 절도는 한가지로 평안할 뿐이라고 전하였다.
발신자 남효순영해 괴시리 출신으로, 본관은 영양, 자는 達夫, 호는 未齋이다. 아버지는 南朝{氵+昇}으로, 金興洛의 문인이다. 괴시리의 원래 이름은 濠池村이었는데, 고려 말 이곳에서 태어난 목은 이색중국에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와 본인의 고향이 중국槐市와 많이 닮았다 하여 괴시리로 이름을 바꾸었다. 영양 남씨는 1639년 이곳에 정착한 이후 세거하게 되었다.
『全州柳氏大同譜』,
『好古窩集』,
1차 작성자 : 김명자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38년 남효순(南孝順) 서간(書簡)

春間
良覿。足慰十年瞻想。而別後餘蘊歷時
月。尙未化。豈隱侯詩味。深知其眞切而然耶。
冬序已深。境界閑靜。
保閤益淸穆。志業益專精否。恬翁。已
入土中。朋舊之無福。乃如是耶。以
尊門。言之。由今而後。兄輩幾人歸之。以
一重擔負。其慥慥着力。想不待此筆之猥。
爲之奉勉矣。
替庭耋候。康泰。其家凡百。吾座
幾年穴心住着之餘。今卽功效果呈露耶。
遠爲之馳溸。切切。弟。大槩依過嚮時樣。而
但神精衰鑠。志氣頹散。日深一日。日
用酬應。全無節度。良足自憐。最所切
迫者。於遠近知舊。不當虛疎之地。虛疎
莫甚。相愛深至之地。亦應數之除
矣。家兒今行。不得不爾。而渠亦向衰者。
觸冒風寒。爲之關慮。歷候
尊軒。心所準擬。而未知果得遂否也。
餘。忙甚。不備。伏惟
照亮。
戊寅 蜡月 七日。弟 南孝順 拜拜。

◘臺近節。一安云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