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11년 김도화(金道和)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F.1911.4717-20180630.07942570046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도화, 이찬화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911
형태사항 크기: 25.2 X 36.2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온혜 진성이씨 노송정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911년 김도화(金道和) 서간(書簡)
1911년 5월 27일에 김도화가 증손서(曾孫壻)를 곁에 두고 학업을 지도할 계획임을 알리기 위해 이찬화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상대방 형의 방문으로 편지를 받아 상대방과 식구들의 안부를 알게 되어 위로가 된다고 하였고, 자신은 봄 사이에 아들 상을 당했는데 손자가 잘 부지하고 있고 증손녀도 잘 지낸다고 하였다. 상대방의 손자인 자신의 증손서는 우선 곁에 두고 학업을 권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서진영

상세정보

1911년 5월 27일, 金道和李燦和에게 曾孫壻의 학업을 지도할 계획을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
1911년 5월 27일, 金道和李燦和에게 아들의 상을 당한 후의 안부를 전하고, 자신의 집에 손자를 머물러두고 공부시킬 작정임을 알리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먼저 오랜 세의와 새 인연에도 불구하고 한 달이 넘도록 소식이 막혀 서운하고 궁금한 마음을 금할 수 없던 중에 允兄이 찾아오고 거기다 상대의 편지까지 전하니 위로되는 마음을 필설로 다할 수 없다 하고, 천중절 즈음 상대의 기운은 진승하며 식구들도 고루 잘 지낸다는 것을 알게 되니 위로가 된다 하였다.
자신에 대해서는, 나이가 들어도 죽지 못하고 또 봄 사이에 아들이 죽는 참척을 당하니 슬프고 고민스러운 마음을 말할 수 없다 하고 오직 손자가 잘 부지하고 증손녀 또한 잘 지내니 멀리서 도와주시는 덕분임을 알겠다고 하였다. 彧郞[상대의 손자이자 자신에게는 증손서가 되는 사람]은 단정하고 빼어난 모양이 큰일을 할 수 있을 듯한데, 우선 자신에게 머물러두고 조용히 학업을 권할 계획이라 하고, 그가 즐겨 들을지 모르겠다며 우습다고 하였다.
편지 내용에서 允兄이라 한 사람은 상대의 아들 李炳俊며 彧郞은 상대의 손자 李範敎이다.
발신인 金道和(1825~1912)는 본관은 義城, 자는 達民, 호는 拓菴이다. 柳致明의 문인이다. 학행으로 천거되어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을미년에 明成皇后가 일제에 의해 살해되자 도내에 倡義 通文을 보내고, 1896년 의병대장에 추대되었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수신인 李燦和(1843~1925)는 자가 齊佰, 호는 可山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李晩恁이다. 손자 李範敎김도화의 손자 獻周의 사위가 되었으므로 양가가 사돈의 관계가 되었다.
1차 작성자 : 김승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11년 김도화(金道和) 서간(書簡)

省。舊好新緣。何如其摯。而閱朔
阻信。不勝悵黯。此際。
允兄委顧。兼致
惠翰。種種慰暢。何可以鵝毫旣
耶。且審天中。
泰履茂對珍衛。庇致均吉。切切慰
禱之至。査弟服人。老而不死。又遭春間之
慘。悲惱無足道。惟兒孫支遣。曾孫女
亦善過。知荷雨露之遠芘耳。彧郞見
其端秀之狀。足以有爲。姑此留置。以爲從
頌勸率之計。而未知渠肯聽從否。好呵
好呵。餘。病憊不宣謝儀。伏惟
情照。
辛亥 五月 卄七日。査弟服人 金道和 拜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