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7년 이중두(李中斗)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F.1887.1111-20180630.07942570015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중두, 이찬화
작성지역 서울특별시 종로구
작성시기 1887
형태사항 크기: 23 X 36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온혜 진성이씨 노송정종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87년 이중두(李中斗) 서간(書簡)
1887년 9월 1일에 이중두가 상대방의 부친이 실직에 제수된 일을 축하하고 조부가 호조에 추증된 경과를 설명하기 위해 이찬화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8월 그믐의 도목정사에서 상대방의 부친이 동지중추부사에 제수되고 3대가 추증된 일을 축하하고, 대관(臺官)의 직함을 맡게 되어 지금까지 출입할 수 없는 자신의 근황을 전했다. 이어서 당초에 이조의 직함을 주선하려했지만 전후 3대에 홍문관의 직함이 없어서 호조의 직함으로 추증한 것이니 이해해달라고 하였다. 끝으로, 자신의 아들이 도착했는지의 여부와 전갈을 들었는지를 물었다.
1차 작성자 : 서진영

상세정보

1887년 9월 1일, 李中斗李燦和에게 상대의 조부가 호조에 추증된 경과를 설명하기 위해 보낸 편지
1887년 9월 1일, 李中斗李燦和에게 상대의 아버지가 동지중추부사의 실직에 제수된 데 따라 追恩이 三代에 미친 것을 축하하며, 상대의 조부 李鉉禹가 호조에 추증된 경과를 설명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먼저 8월 그믐날의 都政에서 영감 아재께서 동지중추부사의 실직에 제수되고, 추증의 은혜가 위로 삼대에 미치게 되어 축하드리는 마음 금할 수 없는데, 더구나 상대에게는 아들 된 입장이니 기쁨이 어떻겠느냐고 치하하였다. 그리고 지난달 申斗瑞가 편에 보내준 편지로 그 때의 상황을 잘 알았지만, 이미 여러 달이 지났는데 아재는 강녕하시고 모시는 상대의 생활도 진중하다니 위로되고 그리운 마음 간절하다고 하였다.
자신은 한결같이 고생스러운 생활이니 전할 말이 없다 하고, 그 사이 대각의 직함을 맡게 되어 지금까지 출입할 수 없다고 하였다.
당초에는 吏曹의 직함을 주선하려 하였으나 전후 3대에 홍문관의 직함이 없는 경우에는 이조에 주선하는 격례가 없으므로 하는 수 없이 戶曹의 직함으로 추증하여 朝報에 내었다 하고, 상대의 뜻에 부합하지 않더라도 입계하지 않고 이조에 추증되기 보다는 차라리 입계하고서 호조에 추증되는 것이 나을 것이라 하였다. 일전에 河回柳道軾 氏도 호조에 추증된 것을 자세히 들었을 것이라며 어찌 격례를 어기겠느냐고 하고, 자신의 성의가 없어서 그런 것이 아님을 이해해달라고 하였다.
호조 운운한 말은 상대의 조부인 李鉉禹가 이때 戶曹 參判에 추증된 것을 말한 것이다.
마지막에 자신의 아들이 내려갔는데 혹 이미 탈 없이 도착하였는지 묻고, 맏아들에게도 상세히 전갈하였는데 이미 들었던지 물었다.
발신인 李中斗(1836~1914)는 본관은 眞城, 자는 運卿, 호는 素溪이다. 아버지는 晩栢이다. 1874년 증광시 생원에 입격하고 1880년 문과에 급제하여 좌부승지, 우부승지를 거쳐 이조 참의를 제수하였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낙향하였다. 경술국치 이후 세상에 나서지 않고 독서로 소일하며 여생을 마쳤다.
수신인 李燦和(1843~1925)는 자가 齊佰, 호는 可山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李晩恁이다.
1차 작성자 : 김승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7년 이중두(李中斗) 서간(書簡)

八月晦日政。
台監叔主除同知實職。追榮
三代。其爲榮感。不勝獻賀萬
萬。況在吾弟。爲人子之情。慶忭
當復如何哉。去月申斗瑞便。擬
惠書。備悉其時節度。而已經數朔。
叔主壽體候康寧。省下履
用珍相。慰溯幷切區區。族從。一味
辛酸。無足奉浼。間縻臺啣。
不得出入。今以實職之。拖至今日
者也。初以吏曺某條周旋。而前後三代若無館啣。則吏曺元
無格例。若以吏曺追贈。則難爲
入啓矣。不得已。以戶曹頒諸朝紙。雖未
合於吾弟之意。與其不啓而爲吏。寧
勝於啓而爲戶也。日前河回柳道軾氏。
亦以戶曹追贈。可以詳聞矣。何敢違格
而潜出也。非從之誠淺而然矣。以此
俯燭否。家豚得分下去矣。或已無頉得
抵耶。長兒許。亦詳細致喝矣。果已得
聞否。甚鬱甚鬱。餘。在夾。不備。謹賀狀。
丁亥 九月 吉日。族從 中斗 賀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