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4년 柳致明이 벼슬을 하게 된 연유를 金建銖에게 전하는 편지
1834년 柳致明이 벼슬을 하게 된 연유를 金建銖에게 전하는 편지이다.
류치명은 김건수가 보내준 편지로 眷存함을 받아 감사한 마음을 전하며 齋에 기거하고 계신 근황을 물었다. 또 객중에서 張兄과 함께 토론을 하며 지내는 것은 매우 뜻 있는 일이라고 하였다.
류치명 자신은 뜻밖에 恩擢되어 분수에 있어서 감당할 수 없고, 이치에 있어서도 청렴함을 상하게 하였다고 했다. 평소에 벼슬을 하지 말 것을 강론하였는데 지금 벼슬을 하는 상황에 놓여 스스로가 부끄럽고 한탄스럽다고 하였다. 한 번 사면하는 疏를 올렸는데 돌이켜보면 다른 사람들 보다 특이하다는 것을 드러내는 혐의가 있고, 韜晦를 잘 하지 못해서 良尙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관직에 나간지 4~5일이 되었고, 오늘 아침 사직서를 올리려고 했는데 동료들의 계속된 만류와 矯拂하는 것도 어려워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고 하였다. 사직서를 올린 후 만나서 이야기를 나누고 이어 선영에 참배를 한 뒤 고향으로 가려고 하는데 이룰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하였다. 편지의 내용은 『定齋先生文集附錄卷之一』 「年譜」 1834년에 기록되어 있다.
발신자는 류치명(1777~1861)으로 본관은 全州, 자는 誠伯, 호는 定齋 이다. 李象靖의 외증손이고, 아버지는 柳晦文이며, 어머니는 韓山李氏이다. 南漢朝·柳範休·鄭宗魯·李瑀 등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수신자는 김건수(1790∼1854)로 보인다. 편지 첫머리에 明齋에 숙직하는 분께 답장을 올린다는 내용이 있다. 1834년 김건수는 明陵別檢에 제수되고, 같은 해 10월 류치명은 승지로 임명이 된다. 편지 끝에 류치명이 자신을 戚從이라고 칭한 것으로 보아 나이가 어리거나 항렬이 낮은 인척 사인 것을 알 수 있다. 全州柳氏는 義城金氏와 대대로 世誼를 맺고 있다. 또 둘 사이의 나이를 보면 류치명이 칭한 호칭과도 부합한다.
『全州柳氏大同譜』,
1차 작성자 : 김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