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32년 박종희(朴宗禧)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F.1832.4717-20180630.01312570009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박종희, 류건휴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32
형태사항 크기: 30 X 2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수곡 전주류씨 수곡파 대야고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32년 박종희(朴宗禧) 서간(書簡)
박종희(朴宗禧)류건휴(柳健休)로 짐작되는 사람에게 보낸 편지로 귀원(龜院)에서 열린 강회의 훌륭한 면모를 치하하고 별지에 적은 몇 조목의 질의에 대한 대답을 부탁하는 내용이다.
1차 작성자 : 김상년

상세정보

1832년 10월 2일에 朴宗禧柳健休에게 龜院에서 열린 강회의 훌륭한 면모를 치하하는 한편, 별지에 적은 몇 조목의 질의에 대답해주기를 부탁하는 편지
1832년 10월 2일에 朴宗禧柳健休에게 龜院에서 열린 강회의 훌륭한 면모를 치하하는 한편, 별지에 적은 몇 조목의 질의에 대답해주기를 부탁하는 서간이다.
먼저 지난 번 돌아가신 후 여러 날이 되었는데 추위 속에 函丈의 생활이 절서를 따라 평안하며 아드님 및 모든 식구들도 잘 계신지를 물었다. 자신은 가르침 덕분에 질긴 목숨을 부지하여 그럭저럭 예전처럼 지내며 伯氏와 중씨도 다른 탈은 없으니 다행이라 하였다. 또 듣기로 龜院에서 열린 강회에는 여러 장석들이 다 모여 그 절차가 매우 성대하였다는데 이런 모임에 어찌 호응하지 않겠는가 하며, 조카도 며칠간 참관하고 왔었는데 항상 한 자리가 모자랐던 데 대한 탄식만 절실하였다고 하였다. 또한 귀촌에 인접한 마을의 교리 어른은 근간에 또 소명을 받았다고 하니 축하드릴 일이라 하였다. 친상 중의 자신은 평소에도 이런 일들에 유의한 적이 없었는데 하물며 상중이니 더 말할 나위가 없다 하고, 가설하여 질문하는 몇 조목에 대하여서는 정대한 학문을 버리고 공허한 이론을 천착한다는 혐의가 없을지 모르겠다며 자신이 모르는 부분을 가긍히 여겨 격언을 보내주심으로써 고루한 병통을 고쳐주기 바란다고 하였다.
자신을 ‘罪生’으로 칭하고, ‘居憂’, ‘稽顙’이라 한 표현에서 친상을 당하여 복제 중임을 알 수가 있다.
발신인 朴宗禧(1795~1862)는 본관은 반남이고, 자는 景叟, 호는 拙翁으로 師元의 아들이며 류건휴의 문인이다.
수신자는 발신인이 상대를 ‘函筵’이라고 지칭한 것으로 보아 柳健休(1768∼1834)로 짐작할 수 있다. 류건휴의 본관은 全州, 자는 子强, 호는 大埜이다. 경상북도 安東에 살았다. 초년에 柳長源에게 배우고, 류장원 사후 損齋 南漢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여 관련 저서를 남겼는데, 晦齋 李彦迪, 退溪 李滉 등 선현의 문집 63종을 참조하여 『東儒四書解集評』을 쓰고, 또 퇴계와 대산의 성리학이론 중 중요한 부분을 발췌 편집하여 『近思錄』의 체제를 따라 『溪湖學的』을 썼다. 문집으로 『大埜集』 10권 5책이 전한다.
1차 작성자 : 김승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32년 박종희(朴宗禧) 서간(書簡)

旋旆後有日。際玆寒冱。
函筵動止。隨序萬重。子舍及諸節均穩否。哀溯區區
無任之至。罪生。幸蒙
不倦之誨。頑縷姑依。而伯仲諸房。亦無他故。惟是之幸。餘何煩
達。轉聞龜院講會丈席。濟濟群賢畢至。其儀甚盛甚盛。
如此之會。何不和光而同聲耶。咸兒亦備觀數日而歸。恒切少
一之歎而已。貴鄰校理丈。近又承召云。令人仰賀耳。罪生。平
日未嘗留意於那間。而況居憂之時乎。設爲數條。以資質疑之方。
無奈有舍正穿空之嫌耶。矜其不能。投以格言。以藥孤陋之病。幸
甚幸甚。餘。忙撓不備。謹疏。
下鑑。
壬辰 十月 初二日。罪少弟 朴宗禧 稽顙再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