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8년 류휘문(柳徽文)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F.1828.4717-20180630.01652570012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류휘문, 신성흠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28
형태사항 크기: 23 X 44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마령 전주류씨 호고와종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28년 류휘문(柳徽文) 서간(書簡)
1828년 9월 24일에 류휘문(1773~1827)이 신성흠에게 안부를 전하며 공부에 대해 논하는 편지이다. 오랫동안 소식이 없다가 뒤늦게 집을 새로 지었다는 소식을 들으니 죄송하고 기쁘다고 하고. 신성흠의 공부 상황을 물으며 공부에 매진하기를 권유하였다. 이어서 자신이 지은 ‘일신잠’을 적어서 상대의 공부를 도우려고 하였다.
『全州柳氏大同譜』,
『好古窩集』,
1차 작성자 : 이재현

상세정보

1828년 9월 24일에 柳徽文이 안부를 전하며 공부에 대해 논하기 위해 申性欽에게 쓴 편지
1828년 9월 24일에 柳徽文(1773~1832)이 안부를 전하며 공부에 대해 논하기 위해 申性欽에게 쓴 편지이다.
오랫동안 소식이 없다가 뒤늦게 집을 새로 지었다는 소식을 들으니 죄송하고 기쁘다고 하였다. 이어 신성흠의 공부 상황을 물으며 공부에 매진하기를 권유하였다. 이어 자신이 지은 日新箴을 적었는데, 그 내용에 "덕이 새로워지고 날로 새로워지니 너는 무엇을 새롭게 하고자 하는가? 용모를 새롭게 하고, 안색을 새롭게 하고, 말하는 어조를 새롭게 하고, 새로운 가운데 또한 새롭게 하여, 새로워진다고 여기지 말라. 또 날로 새롭게 하고 하루하루 새롭게 하여 비로소 새로워지리라."라고 하였다. 이어 주변이 소란스러워 이만 줄인다고 하였다.
발신자인 류휘문은 본관이 全州, 자는 公晦, 호는 好古窩이다. 부는 柳萬休이고 안동에 거주하였다. 東巖 柳長源, 損齋 南漢朝, 立齋 鄭宗魯의 문인이다. 학행이 뛰어났고, 1830년에 觀察使暗行御史의 천거로 厚陵參奉을 제수 받았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2년 후에 뒤에 長陵參奉을 제수 받았으나 이미 사망한 뒤였다. 󰡔家禮考訂󰡕․󰡔啓蒙攷異󰡕․󰡔好古窩集󰡕․󰡔周易經典通篇󰡕 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수신자인 신성흠은 본관이 平山, 자는 堯卿, 호는 夢閣軒이다. 청송에 거주하였고, 류휘문의 문인이다. 편지에 류휘문이 공부에 대해 말하는 것은 신성흠이 제자기이 때문이다. 日新箴은 류휘문의 문집인 󰡔好古窩集󰡕에는 실려 있지 않다.
『全州柳氏大同譜』,
『好古窩集』,
1차 작성자 : 이재현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28년 류휘문(柳徽文) 서간(書簡)

堯卿 侍右
大平問帖
書面久阻。只有信息。因風相及。
春間鬱攸之灾。所獨也。得之頗詳
夏抄懷襄之患。所同也。明於己。暗於
人。聽之開室。可以反省於其中也。
盖始之
祠屋。外寢得免。從焉棟宇一
新。
舞綵眈樂。百祿與之維新。更
未知防田閘水之役。得無妨奪於
靜坐澆灌之新工耶。門楣舊
客。聞新舍已落。不無新舊之
感。而遙祝新祉。情不能自已
者。夫家之重新。實係身心之
日新。衛公之星駕雨脫。亦見秉
心之一端。勉之勉之。徽夏困泄痢。
秋苦痰結。氣貌頓衰。志業又
隨之。奈何。春初嘗作日新箴。
有日德維新。經日新。爾欲新。于
何新。容貌新。顔色新。辭氣新。
中亦新。莫謂新。又日新。日日新。
方始新。然一日不檢悔吝却生。深
可愧懼。又足爲同人之鑑戒也。病
者不能自
動。使兒
曺。而毋在。
則歸唁衛
候之情。將
何如。而渠
亦憂䢇絆
掣。今方擺
出。亦兼迎
嫂。有責人
取蹄指之
撓。還可
愧也。餘撓
不具。統希
炤在。
戊子 九月 卄四。 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