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년 류휘문(柳徽文)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F.0000.4717-20180630.01652570069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류휘문, 류치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형태사항 크기: 15.8 X 30.3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마령 전주류씨 호고와종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년 류휘문(柳徽文) 서간(書簡)
류휘문이 아들 류치교에게 보낸 편지로, 상대의 이름이 명부에 들어 있지 않고 예법에도 허용되지 않지만 다른 사람들의 뒤를 따라 과장에 참여하도록 하였으니 가소로운 일이라 하면서 과장에서 주의할 일들을 자세히 일러주었다. 우선 의지를 방탕하게 하지 말며 정신을 함부로 흩트리지 말고, 누각에 올라가거나 밤길을 다니지 말며 도랑 길을 절대 피하라고 하였다. 또 남의 집에 들어갈 때는 신을 한 쪽에 따로 두어 나올 때 찾기 쉽게 할 것, 과장에 들어갈 때는 갓을 벗어 보관하여 허술히 하지 말 것, 신발 끈을 단단히 매어 사람이 많이 모인 곳에서도 출입하기에 쉽게 할 것 등을 당부하였다.
1차 작성자 : 김선주

상세정보

柳徽文이 아들 柳致喬에게 과장에 들어가기 전이나 과장에서 주의해야 할 점을 일러주기 위하여 보낸 편지
柳徽文이 아들 柳致喬에게 과장에 들어가기 전이나 과장에서 주의해야 할 점을 일러주기 위하여 보낸 서간이다.
먼저 일간에는 객지 생활이 어떤지를 묻고 집에는 식구들이 여전하다 하였다. 상대의 이름이 명부에 들어 있지 않고 예법에도 허용되지 않지만 다른 사람들의 뒤를 따라 科場에 참여하도록 하였으니 가소로운 일이라 하면서 과장에서 주의할 일들을 자세히 일러주었다.
우선 의지를 방탕하게 하지 말며 정신을 함부로 흩트리지 말고, 누각에 올라가거나 밤길을 다니지 말며 도랑 길을 절대 피하라고 하였다. 또 남의 집에 들어갈 때는 신을 한 쪽에 따로 두어 나올 때 찾기 쉽게 할 것, 과장에 들어갈 때는 갓을 벗어 보관하여 허술히 하지 말 것, 신발 끈을 단단히 매어 사람이 많이 모인 곳에서도 출입하기에 쉽게 할 것, 항상 마음을 단속하여 미치광이처럼 쫓아다니거나 남이 다투는 곳에 끼어들어 욕을 자초하지 말 것, 시선을 조심하여 남의 나무나 건물을 유심히 보지 말 것, 서책에 대하여 금하는 점이 있으면 가지고 들어가거나 잃어버리지 말 것, 과장에 들어간 후에는 좋은 자리를 잡으려 하거나 조급하게 앉고 일어나 자리를 잃어버리지 말 것, 몸에 지닌 물건에 대해서는 눈을 떼지 말고 어지럽히지 말 것, 벗은 신은 자리 아래 두고 잃어버리거나 깔고 앉지 말 것, 과장에서 나올 때 필묵 등 문구류를 조용히 수습하여 잃어버리지 말 것, 남이 잘못된 일을 권하거나 꼬이더라도 준절히 거절하여 소인처럼 간사하게 곁길을 엿보지 말 것 등을 당부하였다. 마지막으로 초장을 다 보았으면 다시 볼 일이 없을 것이니 그날로 올라와 제사에 참석하라 하고, 그러나 날이 저물고 탈 말이 없으면 억지로 그러려고 하지 말라 하였다.
발신인 류휘문(1773~1832)은 본관은 全州, 자는 公晦, 호는 好古窩이다. 할아버지는 柳正源, 아버지는 柳萬休이다. 9세에 仲父 柳明休에게 학문을 배우기 시작하여 柳長源, 南漢朝, 鄭宗魯에게 수학하였다. 할아버지 류정원의 유작 『三山集』과 『易解參攷』를 교정하고, 스승 류장원의 저술인 『常變通攷』를 柳健休, 柳鼎文, 柳致明 등 문중의 학자와 10여 년에 걸쳐 교정한 끝에 58세 때 黃山寺에서 간행하였다.
수신인 류치교(1790~1862)는 자가 叔久, 호는 守齋이다. 류휘문의 長子이다.
1차 작성자 : 김승균

이미지

원문 텍스트

○○년 류휘문(柳徽文) 서간(書簡)

喬兒寄。
日間旅▣(況)如何。渾節依前。
爾名不在藉。而禮律亦不許。但以
地近之故。欲作萬人後一傍觀。
吾亦故爲汝放開了一竇地。
甚可笑。然汝須勿放蕩其志
意。勿游散其精神。勿登樓夜行。切避溝渠。
凡入人家。脫屨別置僻處。使
出易尋覓。入場時解冠藏置。
勿致疎虛。完結屨綦。雖人海中
轇轕紛總之地。易於出入。常令
爲主宰。勿奔忙竭蹶如狂夫狀。
勿犯人拳踢暄爭。自取傷辱。又須
謹愼瞻顧。勿撞着木棟。書冊
若有禁則勿入。且勿遺失。入
場後勿爲便好。且勿躁撓起立。
失其坐處。隨身之物。常目在之。
且勿使渾雜。脫屨置芳席下。勿
使亡失。又勿壓摺。出來時。筆墨紙栿之類。須從容
詳審。照管收拾。無使有遺棄。
且或爲人勸力摖帳藉。導人爲非。
須峻拒勿聽。無自歸於小人邪逕。
旣觀初場。則更無奇觀事。須卽日上來參祀。然若日晩無騎。則亦何容準
擬耶。餘。撓撓不多及。
初▣。父。[手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