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년 류휘문(柳徽文)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F.0000.4717-20180630.01652570068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류휘문, 류치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형태사항 크기: 23 X 43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마령 전주류씨 호고와종택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년 류휘문(柳徽文) 서간(書簡)
윤월 8일에 류휘문이 아들 류치교에게 보낸 편지로, 안경과 행전 등물을 찾아 보내도록 명하고, 신행 날짜는 분천에 상의하였더니 16일 밖에는 길일이 없다고 하더라 하고, 기일과 상치된다고 하니 달리 좋은 날이 없다면 그 날을 써도 무방할 것이라고 하더라고 전하였다. 또 성백이 출발하기 전에 사나흘 모임을 가져야 할 터인데, 하계부포 검제 등지의 사우들이 오고, 여강원장도 참가할 것이니, 무실에도 동주에게 통지하여 기일을 놓치지 않도록 하라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김선주

상세정보

윤월 8일에 柳徽文이 아들 柳致喬에게 안경과 행전 등물을 찾아 보내도록 명하고, 신행 날짜 등의 여러 일에 대하여 지시하기 위하여 보낸 편지
윤월 8일에 柳徽文이 아들 柳致喬에게 안경과 행전 등물을 찾아 보내도록 명하고, 신행 날짜 등의 여러 일에 대하여 지시하기 위하여 보낸 서간이다.
먼저 며칠 사이에 식구들이 어떻게 지내는지 염려가 된다 하고, 자신은 2일에 宣城을 갔다가 4일에 山庄으로 돌아왔으나, 설사 증세와 다리 통증 때문에 말을 알아보아 타고 가려고 한다고 하였다. 그런데 말을 빌리기가 농사가 바빠지기 전이라 매우 어렵기도 하고, 龜院의 모임이 16일인데 집으로 돌아간 후에 다시 빌리기도 어려우므로 여기서 곧장 가려고 하니, 지난 번 가지고 오지 못하였던 안경과 행전, 수건을 찾아 보내라고 한 다음 그것들을 각각 어디에 두었는지 알려주었다. 新行 날짜는 汾川에 상의하였더니 16일 밖에는 길일이 없다고 하더라 하고, 忌日과 상치된다고 하니, 달리 좋은 날이 없다면 그 날을 써도 무방할 것이라고 하더라고 전하였다.
그리고 誠伯이 내일 永陽으로 가는데, 그 길에 楊氏 성의 의원을 방문하려 한다 하고, 『朱子語類』 책 위에 둔 ‘證錄’은 고쳐야 할 곳이 많으니 잊어버리지 말고 찾아서 성백 편에 보내라고 하였다. 성백은 柳致明의 字로 호는 定齋이다. 또 어떤 일과 관련하여 㡤坡에서는 初旬에 辦供을 내고, 그 다음은 한들[大坪]에서 맡을 차례인데, 너는 이미 眞寶 판공이니, 맛재[午峴] 및 복파, 한들 세 곳에서 판공을 맡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라 하고, 달리 변통할 방도가 없음을 걱정하였다. 또 성백이 출발하기 전에 사나흘 모임을 가져야 할 터인데, 下溪浮浦 검제[金溪] 등지의 사우들이 오고, 廬江 院長도 참가할 것이니, 무실[水谷]에도 洞主에게 통지하여 기일을 놓치지 않도록 하라고 하였다.
추신으로 안경과 행전, 수건 및 증록을 잊지 말라고 하였다.
발신인 류휘문(1773~1832)은 본관은 全州, 자는 公晦, 호는 好古窩이다. 할아버지는 柳正源, 아버지는 柳萬休이다. 9세에 仲父 柳明休에게 학문을 배우기 시작하여 柳長源, 南漢朝, 鄭宗魯에게 수학하였다. 할아버지 류정원의 유작 『三山集』과 『易解參攷』를 교정하고, 스승 류장원의 저술인 『常變通攷』를 柳健休, 柳鼎文, 柳致明 등 문중의 학자와 10여 년에 걸쳐 교정한 끝에 58세 때 黃山寺에서 간행하였다.
수신인 류치교(1790~1862)는 자가 叔久, 호는 守齋이다. 류휘문의 長子이다.
1차 작성자 : 김승균

이미지

원문 텍스트

○○년 류휘문(柳徽文) 서간(書簡)

喬兒寄。

日間。渾致若何。慮慮。吾轉滯四日。僅到四十
里。此間俱無它。初二往宣城。初四復還山庄。
連有泄氣。脚部兩節俱痛。始欲討騎率
以歸。劇農事[馬]前甚艱。而龜院之會。定在十六。
歸後借乘尤難。將欲自此徑赴。第大病餘。群
居似難。奈何。頃者。不持眼鏡。行縢及帨巾。須
一一覓送。而眼鏡在小硯室。帨巾在語類冊
北空處耳。新行日。議之汾川。亦謂十月十
三之外。無它可用。若未還前。自彼中。有相
問之事。則不得已用右日相告。然忌日相値
是難便。而此中聞者。亦謂無它可日。則用之
不妨云耳。誠伯明作永陽行。仍訪楊醫云。
證錄在語類冊上。而多闕漏。又語法在是。
與中老者。今不可不修改。亦須勿忘覓送爲
可。㡤坡上旬辦進。此間議論。以爲大坪
當次云。汝旣留眞寶辦進。有司。則午峴
㡤坡三處辦供甚難。是大可關心處。
亦無變通之道。奈何。大野族叔前。作
書邀請。須卽日傳致焉。誠伯▣▣▣(發行之)
前。可作三數日團會。而治行。亦必善集
自家一身。其參會。亦何可必耶。霞洞
金溪諸老友俱來。廬江長。若聞
期日。則亦將參會。須以此期。通于水谷
貳席旣院艱。卽通于洞主。俾無失期
慮。至可。餘。忙不多及。
潤月八日。父。[手決]

眼鏡行纏帨巾
證錄。勿忘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