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6년(헌종 2) 10월 2일 咸聚亭 移建都廳에서 權宗模에게 밭과 廢池를 방매하면서 발급해준 토지매매명문
1836년(헌종 2) 10월 2일, 咸聚亭 移建都廳에서 權宗模(1791~1840)에게 밭과 廢池를 방매하면서 발급해준 토지매매명문이다. 정자의 이건 비용 마련을 위해 밭 1말 5되지기를 동전 5냥을 받고 방매하는 내용으로, 안동권씨 춘우재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던 고문서 중 하나이다. 유사한 내용의 거래내역이 담긴 매매명문이 한 건 더 현전하는데, 두 문서를 비교해 보면 이 문서의 거래내용이 2달 뒤인 12월 2일에 수정되어 다시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咸聚亭은 춘우재의 둘째 형인 權旭(1556~1612)이 창건한 정자이다. 權人夏(1805~1889)의 『素軒集』에 1836년 저술된 ‘咸聚亭移建記’가 실려 있어 상세한 정황과 의미를 살펴볼 수 있다.
이 문서의 거래목적물은 戚자 밭과 메워진 연못을 합하여 3짐 5뭇 되는 곳으로 1말 5되지기 면적이다. 12월에 새로 작성된 문서에는 地番과 필지별 負數까지 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생략되었다. 또 戚자 외에 糟자 밭 1마지기도 이 문서에는 언급하지 않고 있는데, 매매가격은 두 문서 모두 5냥으로 동일하다.
문서의 작성에 移建都廳의 일원으로서 거래에 참여한 이는 權卨模, 權興模, 權錫模, 權赫模이다. 모두 서명 없이 이름만 기재되어 있는 점도 이 문서가 형식적으로 완결되어 실효를 발휘한 문서로 보기 어려운 근거가 된다.
朝鮮時代 明文에 관한 文書學的 硏究, 김성갑,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차 작성자 : 전영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