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14년 이원(李㥳) 분재기(分財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E.1814.0000-20180630.7922520000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경제-상속/증여-분재기
작성주체 이원, 이정벽, 이정두, 이정한, 이남일, 이헌
작성시기 1814
형태사항 크기: 51.0 X 46.0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고령 관동 성산이씨 홍와고택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본관 1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14년 이원(李㥳) 분재기(分財記)
1814년(순조 14) 1월 15일에 이원(李㥳)(1750~1814)이 슬하의 2남 4녀에게 재산을 분급해 주면서 작성한 분재기이다. 봉사조(奉祀條)로 논 60마지기, 비(婢) 3명, 노(奴) 2명을 설정하고, 장자 이정백(李廷璧)에게는 논 111마지기를, 차남 이정두(李廷斗)에게는 논 109마지기를, 장녀에게는 논 10마지기를, 둘째 딸에게는 논 10마지기를, 셋째 딸에게는 논 11마지기를, 막내딸에게는 논 8마지기를 지급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유지영

상세정보

1814년에 李㥳이 슬하의 2남 4녀에게 재산을 분급해 주면서 작성한 분재기
1814년(순조 14) 1월 15일에 李㥳(1750~1814)이 슬하의 2남 4녀에게 재산을 분급해 주면서 작성한 분재기이다. 본 분재기는 성주이씨 홍와종택에 남아 있던 것으로서, 재산을 물려받는 사람이자 본 문서의 수취자는 장자 李廷璧(1771~1816), 차남 李廷斗(1794~1859)와 4명의 딸이다.
이원은 분재기 서문에서 분재를 시행하게 된 사연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나는 일찍 고아가 되어 힘겹게 자라났다. 세업을 전래 받은 것이 많지 않았고 여러 차례 喪事를 겪느라 상황이 백척간두에 있었다. 액운이 지나간 다음에는 집안을 보전할 방책에 마음을 두고, 生産을 심히 허술하지는 않게 꾸렸다. 다행히 陰佑의 도움을 얻어 늘그막에는 의식이 모양을 겨우 갖추게 되었다. 나 자신의 명운을 돌아보면 또한 과분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뜻밖에 한 질병이 몸을 휘감아 해를 넘기도록 누워있으면서, 약이 효험이 없어 점차 병세가 심해졌다. 늙어서 병을 앓고 있으니 사람 일이 어찌 될지 모르게 되었다. 이에 정신을 수습한 겨를에 약간의 전답을 헤아려서 몫을 나누어주고자 한다."라고 하였다.
이어서 재산을 각자에게 나누어 주는 원칙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田이란 것은 있는 바가 별로 없고 노비란 것도 단촐하니, 宗子 이외에 다른 자녀들의 몫으로는 거론치 않는다. 次子에게는, 이미 노비 한 명을 나무하고 물 긷는 데에 부리고 있는 즉 이를 지급한다. 畓은 비록 조금 있지만, 내가 여러 대 동안의 독자로서 2남 4녀를 다행히 얻은 것을 생각하면 그 자애하고 아기는 마음을 놓을 수 없다. 딸의 집이 비록 조금 넉넉하지만 절대 괄시하면 안 될 것이고, 시집 안 간 딸을 말할 나위 없이 자애하는 마음이 돈독하니 참작하여 처리해 줄 것이다. 祀位를 상황이 여의치 않아서 넉넉한 수량으로 덜어 놓지 못하였으므로, 장자와 차자의 몫 아래에 또 참작하여 덧붙여 주었다. 그리고 넷째 딸에게 역시 가감하여 처리해 주었다."라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사정을 설명한 후 분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祀位는 논 60마지기, 婢 3명, 奴 2명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장자 이정벽에게는 논 111마지기를, 次子 이정두에게는 논 109마지기를, 장녀 安思國의 妻에게는 논 10마지기를, 둘째 딸 權善夏의 처에게는 논 10마지기를, 셋째 딸 金鏞振의 처에게는 논 11마지기를, 막내딸에게는 논 8마지기를 지급하고 있다.
필집으로 再從侄 李廷翰이, 증인으로 族兄 李㦥과 族孫 李南一이 문서작성에 참여하고 있다. 본 분재기와 같은 내용의 문서가 2건이 있다. 분재기를 수취자 각각에게 같은 내용으로 작성하여 발급했고, 이 중 장자와 차자에게 발급한 것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朝鮮時代 明文에 관한 文書學的 硏究, 김성갑,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차 작성자 : 유지영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14년 이원(李㥳) 분재기(分財記)

嘉慶十九年甲戌正月十五日。子女處區處文記成置爲臥乎事段。余亦。早
孤艱辛成立。而由來世業。傳受無幾。且累經喪敗。勢迫竿頭。而經劫之餘。留
心保家之策。生産謀爲。不甚虛疎。幸得陰佑之助。而晩來衣食。堇至貌樣。顧
念身命。亦云過分。不意一疾纏身。經年委頓。藥餌無效。漸至沈劇。老病
人事。慮無所不到。玆於精神收拾之暇。畧干田畓。計出分衿之意是乎矣。所
謂田者。所在無幾。所謂奴婢者。亦如是單薄。宗子之外。他無擧論是乎矣。次子處。旣
以一樵汲今方使喚。則因以許給是遣。畓則。雖所在些少。而顧余累代單身幸見二
子四女。慈情貴悅。亦甚可掬。雖女家稍足。必無恝如之道。況未笄之女。慈念亦篤。不可無參
酌以處。祀位段。勢不得優數以除。長次子衿下。亦爲參酌以付。四女處。亦爲加減以處。而成
文如左。依此文。各其執持。以體余遺意事。

一。祀位畓。館洞員。貳拾柒斗落。安城員。貳拾貳斗落。後岩員。拾壹斗落。婢春德一所生
有心。婢一心一所生奴哲同。同婢二所生奴哲石。婢命丹一所生婢時良。同婢二所生婢月用。印。

一。長子廷璧衿。館洞員。拾伍斗落。九音員。拾玖斗落。雲羅員。壹石拾貳斗落。水吐員。拾肆
斗落。吾老谷員。拾壹斗落。乃谷員。壹石落。印。

一。女安思國衿。館洞員。伍斗落。乃谷員。伍斗落。印。

一。次女權善夏衿。館洞員。參斗落。吾老谷員。肆斗落。雲羅員。參斗落。印。

一。次女金鏞振衿。梅村員。柒斗落。伽谷員。肆斗落。印。

一。次子廷斗衿。館洞員。壹石伍斗落。九音員。玖斗落。雲羅員。壹石貳斗落。
吾老谷員。柒斗落。乃谷員。壹石落。安城員。拾貳斗落。大橋員。拾斗落。先道
麻員
。肆斗落。印。

一。末女衿。乃谷員。陸斗落。館洞員。貳斗落。印。

財主。父[着名]
筆執。再從侄。廷翰[着名]
證。族兄。[着名]。族孫。南一[着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