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84년 상전(上典) 권(權) 배지(牌旨)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E.1784.0000-20180630.07302510000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배지
내용분류: 경제-매매/교역-배지
작성주체
작성시기 1784
형태사항 크기: 43.0 X 57.0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예천 저곡 안동권씨 춘우재고택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대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84년 상전(上典) 권(權) 배지(牌旨)
1784년(정조 8) 9월 22일, 권(權)씨 상전이 노비 매도를 위탁하면서 발급한 배지(牌旨)이다. 제천(堤川)에 살고 있는 비(婢) 아지(阿只)를 동전 40냥에 팔고자 하고 있다. 1765년 이후 호적문서에 아지의 어머니와 할머니가 기록되어 있지만, 그 이전의 호적문서에는 실려있지 않은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즉 원래 이들은 큰아버지댁이 물려받은 것을 권(權)의 소유 노비와 교환한 것이기 때문이고, 교환할 때의 문서도 남아 있으니 확인해 볼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전영근

상세정보

1784년에 上典인 이 노비 매도를 위탁하면서 발급한 牌旨.
1784년(정조 8) 9월 22일, 上典인 이 노비 매도를 위탁하면서 발급한 牌旨이다. 문서 우측 일부가 결락되어 문서 수취자의 이름을 알 수 없다. 문서의 발급연도는 ‘갑진’으로 표기되어 있지만, 본문의 내용을 통해 서기연도를 추정할 수 있다. 즉 ‘건륭30년 이후 3식년은 그 어머니와 할머니가 모두 (호구단자 또는 준호구의) 천질(賤秩) 중에 있다.’라고 하면서, 건륭30년(1765) 이후 3개 식년의 호적문서에 거래목적물인 노비의 어머니·할머니가 기록되어 있다는 것을 증빙자료로 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문서 발급연도인 ‘갑진’년은 1765년 이후 가장 가까운 갑진년1784년일 개연성이 높다.
은 매도 사유를 ‘요긴히 쓸 곳이 있어서’라고 하고 있다. 거래목적물은 堤川에 살고 있는 婢 永每의 다섯째 소생인 婢 阿只 1명이며, 희망 가격은 동전 40냥이다.
본 배지는 다른 토지거래를 위탁하는 배지와는 달리 거래목적물의 내력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우선 婢 阿只는 조상으로부터 전래 받은 것이기 때문에 이를 사고 판 本文記는 거론할 필요가 없다고 하고 있다. 대신 호구단자나 준호구와 같은 호적 문서에 婢 阿只의 소유를 증빙할 기록이 있어야 했다. 그러나 문제는 1765년 이후 3개 식년의 호적문서에는 婢 阿只의 어머니와 할머니가 기록되어 있지만, 그 이전에는 등재되어 있는 바가 없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阿只의 어머니와 할머니는 큰아버지댁[大父宅]이 물려받은 노비인데, 이 立戶한 이후 다른 노비와 이들을 교환하였고, 그때 작성한 문서도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그 문서는 급히 떠나는 바람에 가져오지 못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매입하길 원하는 사람이 가서 큰아버지를 뵙고 문서를 가져오게 하면 되고, 만약 사실과 다르면 매도값 40냥을 돌려줄 뿐 아니라 소송에서 지더라도 시비를 거론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3개 식년의 호적 문서에 婢 阿只의 이름을 爻周하고 背脫함을 명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거래목적물의 내력을 상세히 설명하는 이유는 노비는 토지와 같은 부동산과는 달리 수량·위치 등 상태 변동이 심하여 추후에 분쟁의 소지가 많기 때문이다.
朝鮮時代 明文에 관한 文書學的 硏究, 김성갑,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차 작성자 : 전영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84년 상전(上典) 권(權) 배지(牌旨)

▣…▣處
無他。▣…▣宅有要用處。堤川所在婢永每
五所生婢阿只壹口身乙。捧價肆拾兩納宅。
願買人處放賣爲乎矣。此是傳來奴婢。則
本文記有無。非所可論。乃是舊籍賤秩中
所付▣▣久遠。賤籍●考來歷。則乾隆
三十年
以後三式年段。其母與祖母俱在賤
秩中。而其以前無載錄之事。此雖有疑慮
端。其爲可曉者亦有焉。此婢阿只母與祖
母。果▣居大父宅衿得之奴婢。上典宅立戶
以後。以他奴婢相換者。故相換文書亦有之。
而以其忽擾發行。不成持來。願買人渠
自來見。是可授文券。而若有相左之端。則右
錢肆拾兩。依數還擲除良。上典宅雖●訴
落科。更不得是非是遣。所持來三式年
賤籍段。婢阿只名字爻周背頉是去乎。此
牌子導良成文以給向事。
甲辰九月二十二日。
上典。。[署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