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78년 종 도다지 한글 배자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E.1778.0000-20180630.073025100057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배지
내용분류: 경제-매매/교역-배지
작성주체 도다지
작성시기 1778
형태사항 크기: 36.0 X 41.0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예천 저곡 안동권씨 춘우재고택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대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78년 종 도다지 한글 배자
무술년(戊戌年) 12월 3일, 상전이 자신의 종 도다지에게 논의 매매를 지시, 위임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배자라는 문서이다. 드물게 보이는 한글로 작성된 문서이다. 한글을 사용한 까닭은 주로 漢文을 모르는 종에게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서라고 알려져 있다. 여성 상전이 한글로 배자를 작성해 종에게 발급한 사례도 동 문중 고문서 중에 발견된다.
1차 작성자 : 전영근

상세정보

1778년(정조 2) 상전이 종 도다지에게 논 7짐 2뭇을 팔아 올 것을 지시하는 한글 배자
1778년(정조 2) 12월 3일, 상전이 종에게 발급한 배자이다. 한글로 작성되었으며 논의 거래를 지시하는 내용이다. 상전의 정보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지시를 받은 종의 이름은 ‘도다지’이다. 安東權氏 春雨齋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던 1756년(영조 32) 12월 21일자 매매명문에 점련된 문서로 이 거래 후 해당 토지의 변동사항을 담고 있다.
이 지시를 이행한, 같은 해 12월 16일자 매매명문도 동 문중에 전래되었다. 그 명문에서 도다지는 ‘畓主 刀多之’라고 기재되어 있다. 발급 연대도 이 문서에서는 戊戌年으로만 기록되어 있으나 16일자 명문에 ‘乾隆43년’으로 기재되어 있으므로 서기연대가 확인된다.
배자는 牌旨, 牌子, 牌字, 배지 등으로 지칭되는 조선시대 문서로,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어떤 일을 지시하는 동시에 해당 사무를 위임하는 성격을 갖는다. 궁방이나 서원 등에서 발급하기도 했으나 주로 재산의 거래를 지시하는 문서로 다수 남아 있다. 그 중에서 한글 배자는 그 수량이 많지 않은데, 대개 漢文을 모르는 종에게 지시를 내릴 때 사용되었다.
이 배자는 크기가 매우 작고 문서의 발급자인 상전의 姓과 手決도 생략된 형태로, 배자의 형식을 온전히 갖추지 않은 문서이다. 점련된 1756년 문서에서 해당 논을 구입한 이는 權聖通(1718~1784)이므로, 이 문서의 상전은 權聖通 혹은 그의 집안 인물로 추정된다.
거래를 지시한 토지는 척자 83번 논 6짐 3뭇과 84번 논 9뭇이다. 1756년 명문에 기재된 토지 중 2곳과 지번 및 면적이 일치한다.
朝鮮時代 明文에 관한 文書學的 硏究, 김성갑,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차 작성자 : 전영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78년 종 도다지 한글 배자

도다지쳐(處)
너의 상젼이 훤상(萱喪)을 위
하늘지조로(乙仍于) 쳑(戚字) 여셕
답(八十三畓) 엿짐셔뭇(六卜三束) 여녀(八十四) 아홉
뭇(九束) 이작(二作) 합아 일곳짐두뭇(七卜二束)곳
을 방매(放賣)을오 허급(許給)노라.
무슐(戊戌) 셧(臘月) 초삼일(初三日)
샹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