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44년 얼자(孼子) 여석(如石) 분재기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E.1744.0000-20180630.07302520002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경제-상속/증여-분재기
작성주체 권완, 여석
작성시기 1744
형태사항 크기: 31.0 X 51.0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예천 저곡 안동권씨 춘우재고택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대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44년 얼자(孼子) 여석(如石) 분재기
1744년(영조 20) 9월, 비첩(婢妾)에게서 낳은 아들 여석(如石)에게 전답을 물려주는 분재기이다. 적처에게서 낳은 자녀가 모두 일찍 사망하고 오직 이 아들 하나만 남은 상황을 슬퍼하는 마음으로 논과 밭을 물려준다는 사연이다. 이 문서를 발급한 이는 권완(權{忄+完})으로 추정된다.
1차 작성자 : 전영근

상세정보

1744년(영조 20) 賤妾所生인 아들 如石에게 토지를 물려주는 분재기
1744년(영조 20) 9월 27일, 孼子 如石에게 토지를 許給하는 내용으로 작성해 준 문서이다. 물려준 토지는 橋頭, 橋下 등에 분포한 전답으로 모두 25마지기이다. 배면에 분재 대상이 된 전답을 소유내력이 간략하게 적혀 있다.
이 문서의 財主는 權{忄+完}(1672~1757)으로 추정된다. 본문의 발급사유에 "命道가 기막하여 嫡子女들이 연달아 요절하고 단지 너 하나만 남았다."는 구절과 "병으로 출입할 수 없다."는 내용, 그리고 이 문서의 발급 연대에 근거하면 동생인 의 아들 重寅을 立後한 權{忄+完}일 가능성이 높다. 權{忄+完}의 字는 以習이고 壽職으로 嘉善大夫 同知中樞府事를 제수 받았다. 이에 따라 부친 權壽元(1654~1729)과 조부 權鈗(1628~1690)도 각각 戶曹參判, 左承旨로 추증되었다.
孼子에게 許給한 전답은 총 25마지기인데 배면에 嫡侄, 嫡從弟 등에게 매입한 것이라고 전답의 소유내력을 별도로 밝혀 놓은 점이 주목된다. 이 문서가 종가에 전래된 점으로 보아 결국 이 재산은 종가로 귀속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문서의 財主와 동일한 서명으로 1738(영조 14)년 역시 孼子 如石에게 전답과 노비를 별급하는 문서가 현전한다. 그 문서에서도 구체적인 사건은 언급하지 않았으나 집안 상황이 寒心하다고 표현하며 血屬인 如石을 恝視할 수 없어 재산을 나눠준다는 사연이 적혀 있다.
조선시대 分財文書의 작성과정과 그 특징, 문숙자, 영남학18, 2010
1차 작성자 : 전영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44년 얼자(孼子) 여석(如石) 분재기

乾隆九年甲子九月二十七日。孼
如石處。明文。
右文爲。命道奇薄。嫡子女相繼夭折。
只有汝一人。而病不能出入。可憐痛哉。
田畓奴婢若干乙。汝矣處許給。下坪
畓九斗落只。橋頭畓二斗落只。橋下
畓五斗落只。實洞田二斗落只。木花
田七斗落只庫乙。汝矣處。永永許給。婢
興德二所生。婢剡分身乙。許給。後所生
幷以。鎭長使喚是乎矣。成文後。
如有雜談是等。持此文卞正事。
財主。父。[着名]
後坪木花田。七斗落。嫡侄聖鳳前。買。
橋下畓。五斗落。嫡從弟重一前。買。
畓。九斗落內。上邊四斗落。乙亥。買於遺漏
下邊五斗落。癸未。又買於遺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