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32년 권완(權{忄+完}) 6남매 화회문기(和會文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E.1732.0000-20180630.07302520001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경제-상속/증여-분재기
작성주체 권완, 권식, 권이, 권덕, 권회
작성시기 1732
형태사항 크기: 40.5 X 150.0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예천 저곡 안동권씨 춘우재고택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대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732년 권완(權{忄+完}) 6남매 화회문기(和會文記)
1732년(영조 8) 권완(權{忄+完}) 6남매가 재산을 나눠 갖는 화회문기이다. 서문에서는 균등하게 나눠 갖는다고 하였으나 이는 남자 형제에 제한된 내용이다. 4형제에게는 각각 14~7마지기 정도의 전답과 7~8구의 노비가 분재되었고 두 딸에게는 1~2구의 노비와 논 10마지기가 분배되었다. 6남매가 이미 지니고 있는 재산 역시 분재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도망노비도 포함되지 않았다.
1차 작성자 : 전영근

상세정보

1732년(영조 8) 정월 7일에 權{忄+完} 6남매가 재산을 나눠 갖는 내용으로 작성한 분재기
1732년(영조 8) 정월 7일에 權{忄+完} 6남매가 재산을 나눠 갖는 내용으로 작성한 분재기이다. 아들 4형제는 각기 14~7마지기 정도의 전답과 7~8구의 노비를 골고루 나눠 가진 반면 두 딸에게는 노비 1~2구가 분배되었다.
1729년(영조 5) 權壽元이 사망한 뒤 모친 英陽南氏가 생존해 있는 상태이다. 이 和會는 모친의 지시로 이루어졌다고 분재 사유를 밝혀 놓았다. 權壽元은 두 명의 배필을 맞았는데 岳林洪氏1681년(숙종 7) 30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장남인 {忄+完}1672년(현종 13) 출생이므로 6남매가 모두 同腹은 아님을 알 수 있다.
문서 앞머리에 분재 원칙에 대해 적어 놓았다. 平均分執을 원칙으로 하되 祭位條 별급 문서는 덜어내고 현재 각 집이 갖고 있는 전답과 使喚奴婢는 화회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는다고 하였다. 두 여형제는 재산이 많지 않으므로 혼인할 때 받은 新婢 외에는 許給하지 않는다고 명시하였다.
본문에는 平均分執이라는 표현을 썼으나 아들 4형제와 딸 2자매에 대한 분재 내용은 큰 차이가 있다. 우선 奉祀條로는 담장 밖의 논 5마지기와 여종 片德의 소생 모두가 배정되었다. 전답은 맏형인 {忄+完}이 14마지기, 次男인 이 10마지기, 三男인 이 12마지기, 四男 는 7마지기를 차지하였다. 노비는 장남이 7구 나머지는 8구씩 나눠 가졌으나 나이는 기록하지 않았으므로 老壯弱을 분간할 수 없고, 전답의 경우도 膏瘠이 구분되지 않으므로 평균분집인지 여부는 확실치 않다.
두 여형제도 서로 간에 차이가 난다. 언니인 李之熣의 처에게는 여종 1구만 주어졌고 李敏悟의 처에게는 사내종 1구, 여종 1구와 별도로 논 10마지기도 분배되었다. 이러한 차등 분배가 母邊 전래 재산의 차이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기록이 없다.
분재에 참여한 이들의 서명 뒤에 별도로 追記에는 外居奴婢에 대한 언급이 있다. 生死와 老弱을 알 수 없으므로 이 和會에 포함시키지 않았으니, 자손들 중에서 이들을 推捉하면 팔아 각 집에서 공평하게 나눠 쓰고, 부릴 노비가 부족한 집에서 잡아다 쓸 경우엔 그 값을 宗家에 치르면 좋겠다는 내용이다. 여기서의 외거노비는 도망노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짐작된다.
이 문서에 기록된 재산은 매우 한정적이다. 이미 지니고 있는 전답과 노비는 포함시키지 않았으며 도망노비도 기재하지 않았으므로 전체 재산의 면모를 담았다고 할 수 없다.
조선시대 分財文書의 작성과정과 그 특징, 문숙자, 영남학18, 2010
1차 작성자 : 전영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32년 권완(權{忄+完}) 6남매 화회문기(和會文記)

雍正十年壬子正月初七日。六男妹。和會
成文爲臥乎事段。
母主面命導良。略▣(干)田畓奴婢乙。平均分執
是乎矣。祭位條別給文書段。除出是遣。時▣
各家執持田畓果。使喚奴婢。則不入於和會中
是在。兩妹處段。田畓奴婢些少仍于。新婢外。不得許給
是㫆。後次子孫中。如有爭望之事。用此文卞正事。
奉祀條
牆外畓。五斗落只。婢片德所生並以。印。
長兄。{忄+完}衿。
眞勺里柱礎畓。上邊五斗落只。垈田。三斗
落只。大門外田。上邊三斗落只。松谷墓下田。三
斗落只。印。
外分一所生奴貴必。婢先玉三所生奴分立。婢
四女二所生奴七萬。婢命春一所生奴戒男。婢
丁分一所生婢一梅。婢先玉二所生婢丁分。婢命德
印。
次妹。李之熣衿。
己香一所生婢奉介。印。
次妹。李敏悟衿。
豆毛村畓。十斗落只。婢二分二所生奴五立。婢
一秋三所生婢四眞。印。
弟。衿。
眞勺里柱礎畓。中邊五斗落只。大門外下邊
田。五斗落只。印。
先玉一所生奴丁立。奴三千。婢四女一所生汝建。奴
於叱山。奴權龍。婢次女二所生婢後分。婢命春
所。婢乭分。婢命德。印。
弟。衿。
眞勺里柱礎畓。次中邊五斗落只。石上谷田。
七斗落只。印。
連月一所生奴奉先。婢連德五所生奴莫立。■■(婢)
■■■■■(二所生婢)。奴三萬。奴二宗。婢丁分三所生
甲梅。婢德分。婢連德。印。
弟。衿。
眞勺里柱礎畓。下邊五斗落只。石上谷田。下邊
二斗落只。印。
命春二所生奴同伊。婢丁分二所生奴甲行。■■(婢)
■■■■(一所生)。婢丁女一所生奴小白。奴三奉。婢
三所生婢漢丁。同婢一所生婢連月。印。
長兄。{忄+完}。[着名]
次兄。。[着名]
弟。。[着名]
筆。弟。。[着名]
證。四寸弟。。[着名]
此亦中。外居奴婢。不爲不多。而未知死
生老弱。不載和會中是㫆。後子
孫中。如有推足之事。則有賣用之事。
各家平均分用是㫆。或有使喚不足
之家。捉來仰役。則論價入於宗家。甚
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