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19년 권석모(權錫模) 소지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10+KSM-XB.1819.0000-20180630.07302510009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작성주체 권석모, 예천현
작성시기 1819
형태사항 크기: 52.6 X 35.7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예천 저곡 안동권씨 춘우재고택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대제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19년 권석모(權錫模) 소지
1819년(순조 19) 12월에 풍기(豊基)에 사는 권석모(權錫模)예천(醴泉) 관아에 올린 소지(所志)이다. 권석모예천에 있는 본인 소유의 토지 일부가 물에 잠겨서 지난 3년간 부세를 면제받은 바 있다. 그런데 작년부터 담당 서원(書員)이 실수로 징세 대상에 포함시켰고, 올해 서원이 다시 면제 대상에 넣어주지 않자 수령에게 사정을 호소하고 있다. 본 소지에는 관아의 처결이 적혀있지 않은데, 이는 원문서의 초본이거나, 관아에서 접수해 주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1차 작성자 : 전영근

상세정보

1819년(순조 19)에 權錫模가 물에 잠긴 본인 소유의 토지를 結統에서 탈급시켜 달라고 醴泉 관아에 요청하는 내용의 所志
1819년(순조 19) 12월에 豊基에 사는 權錫模가 물에 잠긴 본인 소유의 토지를 이전과 같이 結統에서 탈급시켜 달라고 醴泉 관아에 요청하는 내용의 所志이다. 소지에서 호소하고 있는 사정은 다음과 같다.
權錫模는 본인이 조상으로부터 전래 받은 토지인 糟字 60번 畓 15짐과 61번 畓 3짐 3뭇 합 6마지기는 醴泉 小渚谷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런데 상류의 물이 침범하여 결국 물에 잠겨버렸다. 이 때문에 1815년에 관에서 呈訴하였고, 처결에 따라 摘奸色吏 張龍九와 당시 담당 書員張就益이 나와서 측량을 시행하였다. 그렇게 사실이 확인되어 60번 畓 15짐 가운데 5짐 4뭇을 頉給받았고, 權錫模庚戌의 이름으로 달아놓았다. 그리하여 1815년부터 1817년까지는 부세 면제 대상으로 취급[懸頉]받을 수 있었다.
權錫模는 다른 읍에 살고 있어서 매년 결부수를 관아와 대조받기 어려워서 小渚谷에 사는 일족의 奴인 一鶴의 이름으로 붙여 놓았다. 그런데 작년에 書員 朴周成이 이상의 물에 잠긴 토지 5짐 4뭇을 슬며시 起耕田으로 돌려놓고 結統에 포함시켜[出統] 부세를 追責하였다. 그러고는 나중에 본인의 불찰이라고 말하더니, 아무런 보상을 주지 않았다. 이것도 분통스런 일인데, 금년에 書員이 결부수를 점검하면서 전임 서원[朴周成]이 起耕田으로 돌려놓았기 때문에 懸頉해 줄 수 없다고 하고 있다.
權錫模는 이상과 같이 억울한 상황을 설명한 후, 당년의 尺量記 및 3년간의 衿記를 첨부하여 토지 5짐 4뭇에 대한 부세를 朴周成에게 徵給받게 해주고, 금년 담당 서원에게는 이전과 같이 懸頉해 줄 것을 지시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본 소지는 관아의 처결이 적혀 있지 않다. 그 이유는 두 가지 가능성을 상정할 수 있다. 첫째는 문서의 원본은 따로 있고 본 소지는 그것의 초본일 가능성이다. 다른 하나는 이 소지가 원본이지만, 醴泉 관아에서 접수해 주지 않았기 때문일 가능성이다.
朝鮮時代 明文에 관한 文書學的 硏究, 김성갑,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차 작성자 : 전영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19년 권석모(權錫模) 소지

豊基居。化民。權錫模
右謹言所志情由段。民傳來畓。糟字。六十畓十五負。六十一畓三負二束。合陸斗落庫。伏在治下
渚谷
。上流濱於大川是如。年年川水衝射。至於數斗落永永成川是乎等以。乙亥年分。呈官。官題導良。摘
奸色吏張龍九。當年書員張就益。出來形址尺量後。民所訴的實是乎等以。同糟字六十畓十五負
內五負四束乙。川反頉給是遣。民卜名權奴庚戌。自乙亥丁丑連三年懸頉是如尼。民身在他官。只此一畓乙。
逐年考卜極難。故合錄於小渚谷一族權奴一鶴名下是如尼。上年。書員朴周成。右川反五負四束乙。潛爲
還起是如。出統後追責。其奸狀。則右漢言來。還起卜價乙。渠以不察之失自當云云是如尼。尙今無一丈報
賞。極爲憤痛分除。今年書員考卜時。又以前書員還起之故。更無懸頉之意是如。民不勝寃痛。玆
以當年尺量記及三年衿記。幷以帖連。仰訴爲去乎。伏乞。洞燭敎是後。右川反五負四束乙。上年書
朴周成處。斯速徵給之意。嚴題行下敎是遣。今年書員處。依前懸頉事。題下爲只爲。
行下向敎事。
醴泉城主處分。
己卯十二月日。所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