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13년 김홍식(金洪植)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9+KSM-XF.1913.0000-20170630.06812570032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홍식, 박승규
작성시기 1913
형태사항 크기: 31.8 X 38.8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913년 김홍식(金洪植) 서간(書簡)
1913년 7월 5일, 김홍식(金洪植)영주 수도리[무섬마을, 섬계]에 거주하는 사돈 박승규(朴勝圭)에게 보낸 편지이다. 처가에 가 있는 아들과 며느리는 잘 지내는 지 물었고, 자신의 근황과 작은 아버지가 건강이 좋지 않아 한 달 동안 누워있다는 사실도 전했다. 며느리가 친정에 갈 때 보내는 폐백이 약소했으며, 날씨가 시원하면 한 번 찾아갈 마음이 있지만 기약하기는 어렵다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1차 작성자 : 김명자

상세정보

1913년 7월 5일에 契下生 金洪植영주 수도리[무섬마을, 섬계]에 거주하는 사돈 朴勝圭(1864~1923)에게 보낸 안부 편지
1913년 7월 5일에 契下生 金洪植영주 수도리[무섬마을, 섬계]에 거주하는 사돈 朴勝圭(1864~1923)에게 보낸 안부 편지이다.
수신인의 안부와 아들의 안부를 물으며, 자기 집의 사람도 잘 지내는지 물었다. 즉, 발신인의 집으로 출가한 사람으로서 친정에 가 있는 며느리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자신은 가족들이 큰 탈 없이 지내지만 叔父가 근래 자리에 누워 심한 상태로 지낸 지 한 달이나 되었는데, 원기가 다 빠지고 보신할 길이 없어 애가 탄다는 등의 근황을 전하였다.
민간에서 행하는 폐백 儀節이 지금까지 늦어졌지만 끝내는 빈 그릇으로 보내고 말았으니 그의 어린 마음에 몹시 서운할 것이라고 인사를 하고, 비어 있으면 받는 것이 있으므로 하늘의 복을 받아 채우게 된다는 뜻으로 잘 타일러달라고 하였다. 즉, 친정에 가는 며느리에게 들려 보내는 예물이 약소하다고 겸손하게 인사하는 것이다. 날씨가 시원해지면 한 번 찾아갈 마음이 있지만 기약하기는 어렵다고 하였다.
발신인 김홍식은 본관이 의성으로, 박승규의 사위인 金昌咸의 아버지이다. 수신인 박승규는 吾軒 朴齊淵(1807~1890)의 맏아들인 左陽(1826~1872)의 둘째 아들이다.
1차 작성자 : 김승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13년 김홍식(金洪植) 서간(書簡)

本日當空。逼人生病。際
此詹誦。有倍疇㫰者
也。卽伏惟辰下。
靖養體候。以時節宣。
允房彩履承懽莊重。吾
家人亦荷庇善度否。大
抵今年炎日。晩后愈熱。
尤伏切貢慮之至。契下生。
省事姑免大添。餘致依
遣。是幸。而但猶庭候。近
添一層床玆者。已入一朔。轉
側須人。且眞元震盪。攝
補無路。日事洞屬。焦灼情私。
何可盡達也。所謂俗儀。至今遷
延。而畢竟送之以虛器。顧
渠穉心。殊甚缺然。而虛則
有受。以受天
之福。以實之
意。善誘之如
何。奉呵奉呵。凉
生后。或有拜謁
之階。而何可必耶。
餘。都閣。不備禮。
伏惟
下在。
癸丑梧月初五日。契下生 金洪植 二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