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5년 신두석(申斗錫)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9+KSM-XF.1865.4777-20170630.06812570077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신두석, 박좌양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작성시기 1865
형태사항 크기: 30.5 X 41.9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65년 신두석(申斗錫) 서간(書簡)
1865년 2월 27일 신두석(申斗錫)이 사돈 박좌양(朴左陽)에게 보낸 편지이다. 조만간 한번 찾아뵈려 생각을 하고 있지만 병 때문에 어려우니, 이후에 틈을 타서 나아가 뵐 계획이나 뜻대로 될지 모르겠다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박세욱

상세정보

1865년 2월 27일, 申斗錫朴左陽에게 만남을 기약하기 위해 보낸 편지
1865년 2월 27일 申斗錫이 사돈 朴左陽(1826~1872)에게 보낸 편지이다.
무섬의 처가에 머물다가 돌아온 아들 편에 사돈의 서찰을 받고 되풀이하여 읽었더니 종이에 보풀이 생겼다고 하며, 서찰을 받은 지 여러 날이 지났는데 어르신은 평안하시며 어른을 모시는 형제분도 잘 지내는지 묻고, 먼 길의 여독으로 조금 앓는 것은 이치상 당연한 것이니, 곧 완전하게 회복되기를 빈다고 하였다. 자신의 며느리는 어른의 보호 아래 잘 지낸다니 매우 위안이 되면서 다행이라 하였다.
科擧 소식은 이미 들었을 것이라 생각되는데 낙막한 지경이 되지는 않았는지를 묻고, 자신은 남쪽으로 과거보러 갔다 오느라 심신을 소모하고 돌아와 오래도록 신음하며 앓는 중인데 자신이 스스로 자초한 일이니 누구를 허물하고 탓할 수 없다고 하였다. 조만간 한번 찾아뵈려 생각을 하고 있지만 병 때문에 어려우니, 이후에 틈을 타서 나아가 뵐 계획이나 뜻대로 될지 모르겠다고 하였다.
발신인 申斗錫은 본관이 寧越이다. 朴齊淵의 맏아들 左陽의 사돈이다.
수신인 박좌양은 자가 士明으로 吾軒 朴齊淵(1807~1890)의 맏아들이다. 맏딸이 申斗錫의 아들인 泰昇(字는 宅休)과 혼인하였다.
『潘南朴氏 判官公派 世譜』, 반남박씨 판관공파 종중, 2001.5.
1차 작성자 : 김승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5년 신두석(申斗錫) 서간(書簡)

査兄 朴生員 侍座 執事。
謹拜謝狀。 謹封。

戀頭兒還。兼奉惠問。圭復數回。
不覺紙面生毛。書后有日。謹未惟
玆者殷仲。
堂上氣韻以峕萬重。
侍餘棣牀動止崇吉。遠役餘憊。
至有微恙。跋涉之勞。理所不免。匪久
當有勿藥之喜。仰祝仰祝。新人依芘安
度。聞極慰幸。科聲想已得聞。
尊侍之下。幸不至落莫境否。査弟南
圍之行。頓費心力。歸後。不免涔涔吟病。
滄浪之取。更誰咎尤。早晩擬欲一叩
仙扄。而餘祟未振。實難收拾。從後
乘隙。爲晉拜計。果能如意否耶。餘。都留。
不宣。伏惟
下炤。
謹拜謝狀。
乙丑二月二十七。査弟 申斗錫 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