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4년 유치형(兪致亨)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9+KSM-XF.1864.4777-20170630.06812570076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유치형, 박제연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작성시기 1864
형태사항 크기: 28.8 X 44.8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64년 유치형(兪致亨) 서간(書簡)
1864서울에 있었던 영덕 현령 유치형(兪致亨)박제연(朴齊淵)에게 보낸 편지로 먼저 편지를 보내준 데 대한 감사를 표하고 다음날 찾아뵙겠다는 내용이다.
1차 작성자 : 박세욱

상세정보

1864년, 兪致亨朴齊淵에게 다음날 방문하겠다고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
1864영덕 현령 兪致亨(1812~?)이 朴齊淵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편지를 보내준 데 대한 감사를 표하고 다음날 찾아뵙겠다는 내용의 편지이다.
언젠가 한번 왕림해 주시리라 생각만 하던 즈음에 홀연 책상에 서찰이 도착하여 바삐 펼쳐 읽으니 거듭 위안이 되고 감사하다고 하였다. 편지를 통해 길에서 시달린 나머지에 손상이 없음을 알게 되니 위안이 된다 하였다. 자신은 官職에 머문 지 5~6개월이 되는 동안 별달리 한 일이 없어 개탄스럽지만 오직 관아 식구들이 별 탈이 없는 것이 다행일 뿐이라고 하였다. 먼저 찾아오셨다는 말씀을 들으니 입어 더욱 감사하고 송구하여 오후에 나아가 문안을 드릴 생각이었으나 마침 장날과 겹쳐서 수많은 呈狀이 올라왔기 때문에 가지 못한다 하고, 내일은 모든 것을 제쳐두고 찾아 뵐 것이니 허물하지 마시기 바란다고 하였다.
발신일자가 적혀 있지 않고 다만 '돌아가는 인편에 즉시 회답한다[卽旋]'고 하였으나 『승정원일기』 고종 1년(1864) 6월의 도정 기사를 보면 영덕 현령에 제수되었다고 하였으므로 발신 연도는 1865년으로 추정할 수 있다.
발신인 유치형은 본관이 杞溪이다. 1862년 음직으로 가감역에 임명되어 관직을 시작했으며 1864영덕 현령, 1885감찰을 지냈다.
피봉의 三近은 지금 울진군 서면 삼근리인데, 수신인 박제연이 이곳에 와서 치형이 옛 동관이었던 인연을 생각하여 먼저 편지로 기별하였던 듯하다.
편지의 여백에 '在京[서울에 있음]'이라 기록한 것은 후대에 분류상의 필요 때문에 추기한 것으로 보인다.
『潘南朴氏 判官公派 世譜』, 반남박씨 판관공파 종중, 2001.5.
1차 작성자 : 김승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4년 유치형(兪致亨) 서간(書簡)

三近 旅座 執事 回納。
盈倅 謹謝書。

意謂一次枉駕。而適
未知何日矣。
耑翰忽墜於床頭。忙
手被讀再三擎慰。
卽伏審勞攘餘。
體候無損。仰慰
萬萬。記下。居官五六
朔。別無扞瘼。愧歎不
已。惟幸衙眷之無故
耳。先荷賁然之
敎。尤爲感悚。而午後晉拜圖
計。然適値市日。呈訴許多。故
來日遂誠。祗以掃榻。勿咎無
情。切仰切仰。餘。惟冀明日奉拜。
不備謝上。
卽旋。舊僚下 兪致亨[在京] 拜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