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4년 박제연(朴齊淵)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9+KSM-XF.1844.0000-20170630.06812570051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박제연, 박재순
작성시기 1844
형태사항 크기: 25.8 X 36.7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44년 박제연(朴齊淵) 서간(書簡)
1844년 1월 4일, 관직 생활을 하던 박제연(朴齊淵)이 고향 영주 섬계[무섬마을]의 아버지 박재순(朴在純)에게 곧 고향으로 돌아간다고 알리는 내용의 편지이다. 한양 호동(壺洞)에 사는 박회수(朴晦壽)가 이조판서에 제수되었다는 소식도 함께 전했다.
1차 작성자 : 김명자

상세정보

1844년 1월 4일, 벼슬하고 있던 朴齊淵(1807~1890)이 영주 섬계[무섬마을, 수도리]의 아버지 朴在純(1789~1849)에게 보낸 편지
1844년 1월 4일, 벼슬하고 있던 朴齊淵(1807~1890)이 영주 섬계[무섬마을]의 아버지 朴在純(1789-1849)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새해를 맞아 조모와 부모님의 안부를 여쭙고 아이들과 온 가족이 평안한지를 묻고 자신은 여전히 지내고 있으며 鑑湖의 正言 어른의 체후도 평안하다고 하였다. 이조 판서는 어제 정사로 체직되고 壺洞晦壽가 맡게 되어 근친은 형세를 봐야 할 것이라고 하면서, 오래 헤어져 있는 것이 일일삼추라고 하였다. 壺洞은 지금의 한양 종로구 이화동원남동 일역이며, 晦壽는 순조 때에 문과에 급제하여 헌종 때 이조판서를 지내고 헌종 때 좌의정에 올랐던 壺谷 朴晦壽(1786~1861)를 가리킨다. 세전에 張어른 편에 편지를 보냈고 지금 곧 돌아가려고 하여 다시 조금 아뢴다고 하였다.
발신인 박제연의 字는 聖源, 號는 吾軒, 본관은 潘南이다. 어머니는 安東權氏이고, 부인은 의성김씨의 鶴峯 金誠一(1538∼1593)의 후예이다. 문과 급제하여 병조참판, 의금부사 등을 역임했다. 문집으로 『오헌유고』가 있다.
수신인 朴在純(1789-1849)의 자는 孟文, 본관은 潘南이며, 가선대부 호조 참판에 증직되었다.
『반남박씨 판관공파 세보』, 2001.,
1차 작성자 : 김승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4년 박제연(朴齊淵) 서간(書簡)

父主前 上白是。
倐然歲改。客中慕鬱。尤切常時。
伏未審新元
大母主氣力一例萬衛。
二分體候順序平安。兒小輩俱得
無恙。渾節俱獲吉慶否。伏溯區區
不任遠誠。子。眠食姑依。鑑湖正言丈
體候亦安。伏幸何達。吏判昨政遞
出。而壺洞晦壽。卽當之。覲行當觀
勢爲之。奈此久離之餘。一日便同
三秋。姑未知何以爲之矣。歲前修
書於張丈便。今乃還歸。玆復少許上
白耳。餘。不備。伏惟
下鑒。上白是。
甲辰元月初四日。子 齊淵 上白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