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6년 김희수(金羲壽)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9+KSM-XF.1826.0000-20170630.03722570004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희수
작성시기 1826
형태사항 크기: 28.8 X 37.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양 주곡 한양조씨 옥천종택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26년 김희수(金羲壽) 서간(書簡)
1826년 11월 27일 표종질 김희수(金羲壽, 1760~1848)가 외삼촌의 사망 소식을 듣고 외삼촌 형제분께 보내는 편지이다. 김희수는 외삼촌댁 근처에서 잠시 우거할 때 가끔 찾아뵈면서 어머니가 살아계신 것 같은 느낌이 들어 한편으로는 기쁘고 한편으로는 슬펐던 시간을 회상했다. 빈소를 차리기 전에 마땅히 가봐야 하지만 기력이 좋지 않아 가볼 형편이 되지 않는다고 알렸다. 통탄스러운 마음과 함께 상대방도 몸과 마음을 손상하지 말라는 내용을 담았다.
1차 작성자 : 김명자

상세정보

1826년 11월 27일 표종질 金羲壽가 외삼촌의 사망 소식을 듣고 외삼촌 형제분께 통탄스러운 마음과 함께 상대방도 몸과 마음을 손상하지 말라는 마음을 담아 보내는 위로 편지
1826년 11월 27일 표종질 金羲壽(1760~1848)가 외삼촌의 사망 소식을 듣고 외삼촌 형제분께 통탄스러운 마음과 함께 상대방도 몸과 마음을 손상하지 말라는 마음을 담아 보내는 위로 편지이다.
편지의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외숙의 상사는 매우 통곡스럽다고 하면서, 팔십의 높은 나이는 천수이지만 형제분들이 늘그막에 의지할 곳을 잃어버린 애통함은 어찌 다만 우애 깊은 형제들의 침통한 회포에 그칠 뿐이며, 어떻게 슬픔을 억누르겠습니까라고 했다.
외삼촌의 환후는 비록 오랫동안 낫지 않을 것이었으나 평일의 기력이 강건하여 오랫동안 사실 것이라고 믿었는데, 인사의 어긋남에 대해 애통해 하였다. 누가 외숙과 생질이 없으리오만은 본인과 외숙과는 특별함이 있었다고 했다. 본인이 6~7년 영양 丹谷에 우거할 때 외숙을 자주 찾아뵙고 문안드릴 때 마치 이 세상에서 어머니를 다시 뵙는 것 같아서 집에서 어머니를 모시는 도리를 거의 이룬 것 같았다고 했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슬프고 다른 한편으로 기뻐서 스스로 의지하고 우러르는 곳이 있을 것으로 여겼는데, 고향에 돌아온 뒤에 뵙는 것이 띄엄띄엄해질 것을 몰랐다고 했다. 매번 곧바로 가서 안부를 살펴야 했으나, 병이 들고 또 타고 갈 말이 없어서 뜻하는 바를 이루지 못했다고 했다. 雨谷의 종이 돌아와 병의 증세가 가볍지 않다는 것을 알았으나 신명이 도와서 곧 회복될 것이라고 희망을 가졌다고 했다. 갑자기 외숙께서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고 나니 영결하기 전에 뵙지 못할 것을 미처 생각해보지 못했다고 했다.
외숙이 돌아가시어 이생에서는 다시 어머니를 볼 수 없는 거 같아 통탄스럽다고 했다. 이불을 끌어안고 끙끙거리며 앓던 날에 부고를 받고 형제가 즉시 우곡으로 가서 표종질녀를 보고 손을 잡고 통곡하니 그의 정황을 또한 상상할 수 있다고 했다. 곧바로 염과 빈소를 차리기 전에 직접 나아가는 것이 마땅하지만 기력을 억지로 할 형세가 못된다고 했다. 이미 지나간 모든 일이 어그러졌다고 하며 나머지는 더욱 스스로 너그럽게 위로하여, 절도를 손상하는데 이르지 않아서 멀리 있는 저의 정성에 부응해 달라고 하면서 편지를 끝맺었다.
발급인 김희수의 자는 以凝, 호는 東園, 본관은 의성이다. 초시에 합격했으며, 선조의 별업이 있는 영양 丹谷에 우거하여 향중의 젊은이들을 가르쳤는데, 그때 돌아가신 외숙을 가까이서 자주 뵈었다.
1차 작성자 : 김명자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26년 김희수(金羲壽) 서간(書簡)

省禮白。
舅主喪事。痛哭痛哭。八十高年。自是天年。而窃念
棣床。晩年失依之痛。豈徒止於
友愛沈慟之懷而已哉。何以按伏也。
患候。雖是宿患彌留。而窃覵平日。氣力。强健。自謂享得長年。有所侍。而不爲之慮矣。
人事之非。至於此極耶。
孰無舅甥。姪之於舅氏。則有別焉。移
寓六七年。源源拜候。如復見慈顔於斯
歲也。庶幾得遂事母之道於軒闈之下。
且悲且喜。自以爲依仰有地也。不謂復
我邦族。拜晤稀闊。然每擬卽往省候。
而病且無騎。竟未遂意。雨谷奴還。伏
承患症之不細。而計神明所佑。有匪平
復之望矣。豈意不凶音。遽至於未進
訣之前耶。痛哭痛哭。慈顔不可復見於此生。
也。方擁衾呻痛之日。承訃。兄弟。卽往雨谷
見表從姪女。携手痛谷。渠之情地。亦可想
得。悲慘何極。卽當躬晉於殮殯未畢之前。
而柰無强
氣力之勢。
何哉。追念
旣往萬
事。皆非。
餘。伏祝益
自寬慰。無
至損節。
以副遠誠。
不備謹狀。
丙戌至月二十七日。表從姪 金羲壽 狀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