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〇〇년 선(善)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9+KSM-XF.0000.0000-20170630.06812570070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선, 박제연
형태사항 크기: 24.3 X 50.6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〇〇년 선(善) 서간(書簡)
이름에 '선(善)'자가 붙은 인물이 박제연(朴齊淵)(1807~1890)에게 보낸 편지이다. 그를 모 관아의 노방청에서 있을 회합에 초대하고, 인사에 관하여 상의할 것을 전하는 내용이다.
1차 작성자 : 박세욱

상세정보

이름에 '善'자가 붙은 인물이 朴齊淵에게 관아의 노방청에서 있을 회합에 초대하기 위해 보낸 편지
이름에 '善'자가 붙은 인물이 朴正言에게 보낸 편지이다. 정언은 朴齊淵(1807~1890)으로 짐작되며, 그를 모 관아의 노방청에서 있을 회합에 초대하고, 인사에 관하여 상의할 것을 전하는 내용이다.
먼저 안부 인사에 이어 蓮桂堂에서 헤어질 때 이야기했던 일은 혹 주고받은 말이 있는지, 의향이 과연 어떠한지를 묻고, 상대와 자신이 오늘날 말한 바는 스스로를 위한 일이 아니라 전적으로 동각(東閣 : 자신이 사는 곳의 수령에 대한 범칭)을 위한 것이니 이러한 때에는 처신의 혐의를 돌아볼 겨를이 없을 것이라 하였다. 이에 어두워질 무렵임에도 성내에 들어왔다며 모름지기 하나하나 힘을 다해서 여쭌 후에 합석하여 조용히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좋겠다고 하고, 汶上의 회원들도 모두 이곳으로 도착할 것이니 상대도 또한 반가워할 것이라 생각한다면서, 의논할 곳은 奴房廳에 있음을 알렸다.
추신으로 자신의 집안 두 자리에는 이동이 없을 듯하며, 蔚山 李敬弼永川 鄭裕煥, 漆谷李若秀 같은 경우는 公議에 있어 단연코 하나도 빼놓을 수 없는 사람인데, 장외의 논의도 이와 같다는 여론을 전하고 있다.
편지 가운데서 언급한 '노방청'은 지방 관청에 딸린 남자 종들이 출근하여 대기하던 집을 가리킨다.
발신자 '선'이 누구인지 자세하지 않으므로 수신자가 어느 때 누구인지 확정할 수는 없다. 수신자는 正言이라 칭한 데서 朴齊淵(1807~1890)이 그임을 추정할 수 있다. 박제연의 자는 聖源, 호는 吾軒이고 본관은 潘南이다. 영주 수도리에 거주하였다. 1840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을 지냈다. 문집으로 『오헌유고』가 있다.
『潘南朴氏 判官公派 世譜』, 반남박씨 판관공파 종중, 2001.5.
1차 작성자 : 김승균

이미지

원문 텍스트

〇〇년 선(善) 서간(書簡)

朴正言 旅座下。

俄候若何。蓮桂堂分
袂時。所將事。或已酬酢。而
意向果何如。兄我今日所言。
非自爲之計。專爲東閣地
也。則此時踵跡之嫌。有不暇自
恤。故玆乘昏入城。兄須一一
力稟後。合席穩討。亦一勝事。
汶上會員。偕到于此。想兄亦
躍如矣。廨次在奴房廳耳。
都在逢悉。不備。
卽。善弟 拜。

鄙門兩窠。必無移動。而至若
蔚山李敬弼永川鄭裕煥
添谷李若秀。公議所在。斷不
可闕一。場外物論如是。故玆以尾告
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