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년 이봉희(李鳳熙)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9+KSM-XF.0000.0000-20170630.0681257003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봉희
형태사항 크기: 23.4 X 35.7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무섬 반남박씨 오헌고택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년 이봉희(李鳳熙) 서간(書簡)
연도 미상의 9월 9일, 이봉희(李鳳熙)가 수신인 미상에게 쓴 편지이다. 상대방이 구한 묘지의 형국은 여간한 땅과는 비교할 수 없는 곳으로, 하늘이 준 것이라면 신명이 도운 것이며, 하늘이 준 것이 아니라면 인정(人情)을 미리 시험하는 것으로 후손에게 복이 미칠 것이라는 내용을 전하였다. 추신에 근래 우편물이 유실되는 경우가 있어 미납(未納)으로 부친다고 했는데, 우편 제도가 실시된 이후의 실제 모습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1차 작성자 : 김명자

상세정보

연도 미상의 9월 9일, 李鳳熙가 수신인 미상에게 묘지의 형국에 대한 의견을 전하는 내용의 편지
연도 미상의 9월 9일, 李鳳熙가 수신인 미상에게 묘지의 형국에 대한 의견을 전하는 내용의 편지이다.
春驛에서 헤어진 것이 꿈결 같은데 어느덧 가을 국화가 난만한 계절이 되었음을 상기하고 수신인과 가족의 안부를 물었다. 春驛은 奉化春陽驛으로 짐작된다.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하여 자신의 소견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지극히 정밀하고 지극히 은미한 곳이라 凡眼으로는 알기 어려우며, 그 得失은 자신이 얼마나 정성을 들이고 부지런하냐에 달렸다고 하였다. 그러나 묘지의 局勢와 力量이 周密하고 鞏固하여 여간한 땅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서, 수천 년을 신비하게 보전된 곳인데, 수신인이 이를 얻은 것은 우연이 아니니, 하늘이 준 것이라면 神明이 도운 것이며 하늘이 준 것이 아니라면 人情을 혹 미리 시험하는 것이리라 하고 후손에게 복이 미칠 것이라 하였다.
추신으로, '근래 우편물이 유실되는 일이 없지 않으므로 未納으로 부친다.'라고 밝혔는데, 이를 통해 우편 제도가 생기고 난 뒤에 작성된 문서임을 알 수 있다.
발급자 이봉희에 대해 확언할 수는 없지만, 이봉희 가운데 자는 聲玉, 호는 忍窩, 본관이 성주인 자가 있다. 파리장서에 유림대표의 한 사람으로 서명하였으며, 1919년 4월 2일의 성주 장날의 만세 운동을 주동하였다가 일제의 검속에 체포되어 10월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1차 작성자 : 김승균

이미지

원문 텍스트

○○년 이봉희(李鳳熙) 서간(書簡)

春驛一別。迨若夢境。而遽
然間秋菊方爛。
靜養軆候神相萬安。都節
勻禧耶。仰溸區區不任憧憧。生。姑依
力劣而耳。就所營。間得高
見。而禮應完成矣。至精至微。非凡眸
之所可察知。其得其失。由自家之誠勤
淺深。然陵地之局勢力量。周密鞏固。
不可以如干等地比論者。而抑數千年神秘
矣。那意貴下占得也哉。誠非偶
然底事。天與之歟。則神明當有助矣。天
不與之歟。則人情或先試矣。何待淺慮之
警醒。宜有高明之先見。而合乎蓍龜之
吉矣。貴下裕後之慶。預賀萬萬者也。餘閣。
不備候禮。
舊九月重陽。李生鳳熙 二拜。

挽近郵信。不無遺失。故未納以付。勿咎。仰企仰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