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04년 김도화(金道和)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8+KSM-XF.1904.4717-20160630.07142570145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도화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귀미리
작성시기 1904
형태사항 크기: 26.8 X 43.5
장정: 낱장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괴시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904년 김도화(金道和) 서간(書簡)
1904김도화(金道和)남흥수(南興壽)의 행장(行狀)을 지어 준 것에 대해 상대방이 감사의 편지와 함께 생선을 보내오자, 이에 답장한 것이다. 편지에는 크게 계절 인사, 상대방의 편지와 선물에 대한 감사, 안부 인사, 상대방의 건강에 대한 염려, 상대방 아들의 공부, 본인의 건강 상태, 김도화가 작성한 행장에 대해 상대방이 칭찬한 것에 대한 부끄러움, 생선을 보내준 것에 대한 감사한 마음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1차 작성자 : 김명자

상세정보

1904년 12월 27일, 金道和南興壽의 행장을 지어 준 것에 대해 상대방의 사례와 함께 답례로 보내준 음식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을 전하는 편지
1904년 12월 27일에 金道和(1825~1912)가 南興壽(1813~1899)의 행장을 지어 준 것에 대해 상대방의 사례와 함께 답례로 보내준 음식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을 전하는 편지이다.
편지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계절 인사의 서두에는 상대방이 거주하는 곳이 영해호지마을[濠村]이라 김도화가 살고 있는 일직 龜村과 멀어 소식과 우편이 끊어졌는데 한 해가 저물어 감에 따라 더욱 아쉽다고 했다. 그런데 뜻밖에 상대방이 하인을 통해 보내준 편지의 내용이 간절한데다가 위장을 개운하게 해줄 생선도 함께 보내주어 노인을 우대하는 상대방의 정중한 마음에 감복했다고 한다.
다만 12월 달이라 깊어가는 추운 계절에 상대방의 건강 회복이 더딘 것을 알게 되어 안타까운 마음을 드러냈다. 상대방의 연령이 그리 많지 않아 조섭을 잘했겠지만 병이 오랫동안 낫지 않은 까닭을 알지 못해 안타까워하면서, 퇴계 이황이 남씨에게 보낸 편지인 「答南時甫書」에 있는 구절을 가지고 병을 조섭하는 하나의 방도로 삼으라고 조언했다. 그 내용은 "갈매기 내려앉은 백사장과 송아지 노니는 언덕 같은 장소에서 마음 가는대로 이리 저리 노닌다."라는 구절이다. 온화한 봄에 몸과 마음을 편안한 곳에 놔두면 병의 차도가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드러냈다.
그 다음에는 상대방 아들의 공부에 대해 언급했다. 김도화는 상대방의 아들을 본 적이 있었는데, 포부가 뛰어나고 언론이 정당한 것으로 미루어 그가 가진 기국을 알 수 있었다고 했다. 다만 아버지의 병 때문에 아들이 공부 기일을 정하지 못하여, 공부에 집중하지 못할 것을 염려하며, 그가 편책을 가하여 나날이 공부의 성취가 있도록 하는 것이 어떠한가라고 했다.
김도화1825년 생으로 편지를 작성할 당시 이미 여든에 가까워 본인을 공허한 껍데기만 남아 세간에 붙어살고 있다고 표현했다. 아울러 지나온 나날들에 대해 "천지간에 하나의 좀[蠹]"이라고 하면서, "하늘이 아직 남은 날을 빌려주는 까닭은 과연 무슨 뜻인가?"에 대해 번민했다. 김도화는 衛 武公이 95세가 되어 「抑」이라는 시를 지어 사람을 시켜 날마다 곁에서 외게 하여 스스로를 경계한 것을 모범삼아 그 역시 「抑」시를 곁에 두고 경계하는 가운데 삶을 다독여 나갔다.
김도화는 상대방 ‘尊先’의 행장을 지었는데, 망령되지만 그와 같은 문하의 벗이라는 이유로 작성해 주었다고 했다. 김도화는 영양 남씨가 자신의 글에 대해 매우 칭찬하고 장려를 해주어 더욱 부끄럽고 움츠러드는 마음을 느꼈다. 그는 韓愈의 「祭柳子厚文」에 나오는 ‘不善爲斲 血指汗顏 巧匠傍觀 縮手袖間’을 빗대어 "어설픈 작품이 훌륭한 장인의 웃음거리가 되지 않음을 알겠는가?"라고 하면서 자신을 더욱 낮추었다. 몇 군데 살펴봐야 할 부분들은 마땅히 상대방의 지시를 기다렸다가 바르게 고칠 의향이 있으니, 헤아려 달라고 했다.
편지의 마지막 부분에는 보내준 음식들이 넉넉하고 많아 상대방의 지극한 뜻을 알겠으며, 이를 감사히 받겠다고 했다. 다만 오고가는 예절 상 본인도 답례를 해야 하나 갖추어 줄 물건이 없어 매우 송구스럽다고 했다. 나머지 사연은 본인이 병들고 게을러서 생략하니 정으로 살펴봐 달라고 하면서 편지를 끝맺었다.
발신자 김도화의 본관은 의성, 자는 達民, 호는 拓菴이다. 그는 안동 출신으로, 柳致明의 문하에 출입했다. 1893년 遺逸로 천거되어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었다.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항거하여 안동 유림 대표로 활약했으며, 다음해 의병대장에 추대되어 태봉전투에 참전했다. 그 뒤 노환으로 은거하면서도 을사조약과 경술국치를 맞아 상소와 격문 등을 통해 일제에 항거하였다. 문집으로 『척암집』이 있다.
濠村의 영양 남씨는 15세 사재감 참봉 南斗遠(1610~1674)이 처음으로 터를 잡은 이후 그곳에 살게 되었다. 남두원의 아들 南鵬翼(1641~1687)은 문과 급제하여 중앙의 관직을 두루 역임했으며, 갈암 이현일, 숭재 이숭일 등을 비롯한 명현들과 교유했다. 이후 호촌의 영양 남씨는 퇴계학파 내의 ‘갈암학단’과 학문적 입장을 함께 했으며, 당대의 명유들과 교유하는 가운데 영해의 대표적인 명문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편지에서 언급된 김도화가 지은 행장은 濠隱 南興壽의 것으로 보인다. 편지 내용에서 김도화가 ‘尊先’과 같은 문하에 출입했다고 했는데, 남흥수김도화류치명의 문하에서 함께 수학하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13세 南靖邦(1557~1592)은 김도화의 선조 梅隱 金安繼(1556~1599)와 惟一齋 金彦璣(1520~1588)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하여 두 집안은 오랫동안 世誼를 이어왔다.
1차 작성자 : 김명자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04년 김도화(金道和) 서간(書簡)

濠村 調座 回納。
龜村 謹謝狀。謹封。
海山脩夐。音郵頓絶。屬此歲暮。每有唐棣
之歎。匪意獲承
專价惠牘。辭旨懇到。副以珍鮮開胃之物。
眷眷優老之意。又此鄭重。區區感僕。殆不能自
已也。第審窮冱
調養體履。尙稽休復。竊想
賢座年齡。不至甚高。調將必盡其方。而猶且沈綿
乃爾。誠莫知所以也。豈或平日過愼之意。積下一團。
而因作心疾而然耶。退陶先生答南時甫書。以鷗沙
犢坡隨意倘佯。爲調病之單方。幸俟春和日舒。試如
此用功否。允哥向日相對時。見其志尙悠遠。言
論剴切。卽此而可認其所存矣。翔矧未定。恐不得專
意做去。而望須時加鞭策。俾有日至之期。如何如何。
病弟。枵然虛殼。寄在世間。回顧閱歷。便是天地間
一蠹。而纔過數宵。居然望九之人也。天之所以須假餘日。抑
何意哉。每念衛武公抑戒之作。直是惶恐。奈何。
尊先狀草。妄恃同門之舊。强疾構出。而血指之斲。安知不爲
大匠之所笑乎。今乃推借過重。獎與踰分。益令人愧窘而已。
數条可商處。當俟指示。爲改正之計。俯諒幸甚。
惠饋優厚。感領至意。而但無物備往來之儀。悚甚
悚甚。餘病倦不宣謝。統惟
情照。
甲辰 嘉平 卄七日。病弟 金道和 拜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