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97년 강봉원(姜鳳元)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8+KSM-XF.1897.4792-20160630.01142570019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강봉원
작성지역 경상북도 봉화군 법전면
작성시기 1897
형태사항 크기: 23.2 X 45.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인량 재령이씨 갈암종택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97년 강봉원(姜鳳元) 서간(書簡)
1897년 3월 14일에 강봉원이 보낸 편지이다. 처음 상대의 편지를 받아 상대 어머니와 상대의 안부를 알게 되었고, 특히 편지의 내용으로 미루어 상대의 공부가 독실하였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고 했다. 자신의 경우는 어버이께서 병환이 한 달이 지나도록 낫지 않아 애를 태우고 있다 하였다. 그리고 아내의 병도 심하여 아직도 해산(解産)을 못하는 상황을 알렸으며, 며느리와 손자들은 별다른 일이 없어서 다행이라 하였다. 아내가 상대측으로 가는 일에 대해 형편을 보고 다시 기별하겠다고 했다.
1차 작성자 : 김동현

상세정보

1897년 3월 14일, 姜鳳元이 상대의 안부를 확인하였고, 아내의 병이 난 상황 등 자신의 근황을 알리기 위해 수신미상에게 보낸 편지
1897년 3월 14일에 姜鳳元(1847~1924)이 상대의 안부를 확인하였고, 아내의 병이 난 상황 등 자신의 근황을 알리기 위해 수신미상에게 보낸 편지이다.
이 편지에 앞서 답장을 보내지 못하였는데 상대방의 하인이 도착하여 지금 편지를 받고 보니 감사한 마음보다도 부끄러운 생각이 들어서 답장할 바를 모르겠다고 하였다. 이어서 상대 어머니의 안부를 확인하였고, 어버이를 모시고 공부하며 지내는 상대의 안부도 확인하였으며 특히 편지에 말씀하신 뜻은 마음속에 단단히 기억되어 다가갈수록 한없는 의미가 있음을 알았으니, 상대의 근래 공부가 자못 두터웠음을 알겠다고 하였다.
발신자 자신은 어버이께서 병환으로 자리에 누우신지 한 달이 지나도록 병이 낫지 않아 애를 태우고 있다 하였다. 그리고 아내의 병이 몹시 심하여 아직도 解産을 못하니 사람으로 하여금 가증스러운 마음이 들게 하는데, 며느리와 손자들 母子가 우선 별다른 일이 없어서 다행이라 하였다. 아내의 행차는 인정과 도리 상 저지하기 어렵겠으나 다만 憂患이 있으므로 이런 때에 터놓고 드러내어 말하기도 어려울 듯하며, 그 때에 가서 형편을 기다려 본 후 다시 기별해서 알려드리겠다는 내용이다.
발신자 강봉원은 자가 舜來, 호는 海隱이며 참봉寧越府使를 지냈다. 아버지는 姜濟(1826~1919)이며 봉화 법전에 살았다.
1차 작성자 : 김승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97년 강봉원(姜鳳元) 서간(書簡)

謹謝書。

日前便人。因擾未及奉候。
貴星之來。卽拜
惠問。愧浮於感。罔知攸謝。況

萱闈體韻康旺。
侍餘做履衛重。來書辭
旨繾綣。有進進不已之意。仰認近
工之勤篤矣。區區慰仰。實副
願言。世記服人。親癠歷月欠寧。
焦悶焦悶。而荊憂屢經苦劇。尙未
解娩。令人心憎。幸婦阿諸母子。姑
無顯何耳。內行情理所難遏。
而但憂虞如右。伊時似難夬坦。當
俟此間事故。更爲通奇矣。餘。
不備謝禮。
丁酉 三月 十四日。世記服人 姜鳳元 謝上。

唐楮十幅。付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