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2년 김진명(金鎭明)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8+KSM-XF.1862.4717-20160630.07142570151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진명, 남흥수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62
형태사항 크기: 31.2 X 31.8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괴시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62년 김진명(金鎭明) 서간(書簡)
1862(철종 13)년 8월 2일에 김진명(金鎭明)이 사돈 남흥수(南興壽)에게 자신이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도와준 것에 감사함을 전하는 편지이다. 오늘 내일 중에 감영에 가려하니, 혹 주제넘게 절제하지 못한다는 기롱을 받을까 걱정되지만, 울적한 회포를 풀 계획이고 그 득실은 따지지 않겠다고 하였다. 상대에게 날씨가 서늘해지니 한번 만나자고 제의하였다.
1차 작성자 : 김선주

상세정보

1862(철종 13)년 8월 2일에 金鎭明(1813∼1872)이 사돈 南興壽(1813~1899)에게 자신이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도와준 것에 감사함을 전하는 편지
1862(철종 13)년 8월 2일에 金鎭明(1813∼1872)이 사돈 南興壽(1813~1899)에게 자신이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도와준 것에 감사함을 전하는 편지이다.
편지의 서두에 김진명은 꿈속에서 상대를 만났는데, 때마침 귀댁의 심부름꾼이 와서 편지를 전달하여 서로 통했다고 하였다. 이어서 상대방 집안의 소식이 편안하다는 것을 듣고 무더위로 고생하는 형님들을 위로하였다. 김진명 자신은 형제들과 從行들은 잘 지내지만, 며느리와 손녀들이 무더위로 인해 고생하고 있음을 전하였다.
편지 본론은 이전에 山內의 소요가 일어났을 때 상대방이 신경을 써 준 일에 대한 감사 인사를 전하였다. 산내에서 일어난 소요는 김진명이 송사에 연루된 것으로 보이며 이 사건으로 남흥수가 여러 조언을 해 준 것으로 추측된다. 김진명 자신이 오늘 내일 중에 監營에 가려하니, 혹 주제넘게 절제하지 못한다는 기롱을 받을까 걱정되지만, 울적한 회포를 풀 계획이고 그 득실은 따지지 않겠다고 하였다. 상대에게 날씨가 서늘해지니 한번 만나자고 제의하였다. 또 下邑에서 일어난 농민항쟁은 아직 해결되지 않았으므로, 이번 科場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니 가만히 있는 것이 좋겠다고 하였다.
김진명은 본관은 義城이고, 자는 文若, 호는 吉軒이다. 부친은 金繼壽인데, 김진명은 장남이고 동생 金鎭誠(1820~1883)은 金潤壽(1782~1854)에게로 출계하였다. 본 편지의 수신자는 남흥수로서 본관은 英陽이며, 자는 穉猶, 호는 濠隱이다. 부친은 南景适, 조부는 南澤萬이다. 김진명의 첫째 아들 金麟洛(1833~1888)이 남흥수의 따님인 英陽南氏(1833~1886)와 혼인하였다.
1차 작성자 : 박경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2년 김진명(金鎭明) 서간(書簡)

湖村 棣座 回納。
臨河 金査弟 謝狀。 謹封。
曉夢淸眄。朝占喜鵲。貴星帶書。未午而至。感
通之理。果如是耶。矧伏審殷秋
棣床啓處衛毖。困暑善病。自是同憐之地。惟以
允友善課。庇節均慶。而同堂僉況依安。爲慰耳。査弟
兄弟姑遣。從行俱無他。惟家累無全安時。婦阿若諸嬌
病暑圉圉。見甚憐憫。向來山內閙端。想駭遠人之聽望。
今則已淸釋矣。執事過慮。弟之攙入於其中。則
尤見愛我至而謀我忠矣。兄若以愛我之心處已。則
年前元丘之爭。不當居前列矣。兄無乃懲自己之
失。而成折臂之醫。慮弟之同瑕而指迷。則敢不拜賜。
感荷之餘。聊供一呵耳。營行。方
擬今明發程。誠不免馮婦之譏。但
積鬱之餘。聊爲暢懷計。至於得失。
任之而已。及此
凉生。幸一番
賜顧。以攄此
襞懷。如何
如何。下邑騷撓。
尙不底止。往往
傳聞多不佳。今
番科場。又有疑
端云。似此爻。正合
杜門而已。而弟之
一行似非視象之
道耳。餘萬。卜非
楮墨可旣。都留。
惟祝從近面
敍。統惟
照察。
壬戌八月二日。査弟 金鎭明 拜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