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1년 김진명(金鎭明)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8+KSM-XF.1861.4717-20160630.07142570149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진명, 남흥수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61
형태사항 크기: 24.9 X 32.3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괴시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61년 김진명(金鎭明) 서간(書簡)
1861(철종 12)년 8월 29일에 김진명(金鎭明)이 사돈 남흥수(南興壽)에게 안부를 묻고 전하는 내용의 편지이다. 자신은 가을걸이에 시달리고 있으며, 게다가 어린 딸아이가 요절하였으니 매우 참담하다고 심정을 전하고 있다. 며느리와 손녀들은 잘 지내고 있다고 하였다. 손녀인 경교(慶嬌)는 기운과 역량이 장차 큰 아녀자가 될 재목이라고 말한다. 경교를 상대방이 데려가 보고자 하므로 이를 허락하면서도 제어하지 못할까 염려된다는 내용이다.
1차 작성자 : 김선주

상세정보

1861(철종 12)년 8월 29일에 金鎭明(1813∼1872)이 사돈 南興壽(1813∼1899)에게 안부를 묻고 전하는 내용의 편지
1861(철종 12)년 8월 29일에 金鎭明(1813∼1872)이 사돈 南興壽(1813∼1899)에게 안부를 묻고 전하는 내용의 편지이다.
편지의 서두에서 상대방의 편지를 받아 소식을 알게 되어 자신의 마음이 위로되었음을 전하였다. 그러나 상대방이 걸어 다니는 데 불편하다는 사실을 알고서 옛날에 劉勣이라는 사람은 사타구니에 큰 혹이 생겨 걸을 수 없자 좌우에 사람을 끼고 부축 받으며 다녔다는 일을 말하며 상대도 그렇게 해보라고 농담하였다. 이어서 상대방 집안의 소식을 묻고 있는데, 특히 상대방의 동네에 돌림병이 괜찮아졌는지 물었다.
김진명 자신은 가을걸이에 시달리고 있으며, 게다가 어린 딸아이가 요절하였으니 매우 참담하다고 심정을 전하고 있다. 며느리와 손녀들은 잘 지내고 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김진명은 손녀인 慶嬌는 기운과 역량이 장차 큰 아녀자가 될 재목이라고 말한다. 경교를 상대방이 데려가 보고자 하므로 이를 허락하면서도 경교를 제어하지 못할까 염려된다는 내용이다.
김진명은 본관은 義城이고, 자는 文若, 호는 吉軒이다. 부친은 金繼壽인데, 김진명은 장남이고 동생 金鎭誠(1820~1883)은 金潤壽(1782~1854)에게로 출계하였다. 본 편지의 수신자는 남흥수로서 본관은 英陽이며, 자는 穉猶, 호는 濠隱이다. 부친은 南景适, 조부는 南澤萬이다. 김진명의 첫째 아들 金麟洛(1833~1888)이 남흥수의 따님인 英陽南氏(1833~1886)와 혼인하였다.
1차 작성자 : 박경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1년 김진명(金鎭明) 서간(書簡)

湖村 棣座 敬獻。
河上 金査弟 候狀。忙欠膠。主臣主臣。 謹封。
從君還。旣拜
手帖。又接致魯兄。備悉兄居處
飮食。出入動靜等節甚詳。稍慰
遠懷。然尙有妨於行步之慮。不勝代
憫。昔有劉勣者有大疣。生於股間。
一步不能任意。使左右纏而負之於兩臂。
今兄所苦。偶與之合。可試用此術否。
呵呵。近日秋氣已肅。更問
棣床動定甚似。允玉諸致。一味珍
吉否。貴邑怪氣大熾云。未知已向
殘。仙庄近地。幸弛戒耶。弟秋來多事。
了無一日閒暇。心地膠撓。無可收拾。只覺
自憐。且日前有幼女菌慽。亦一慘境耳。
婦兒諸嬌。
姑遣免。但
慶嬌每每
風生。其氣
岸力量。將來
當作一偉婦。
兄欲率去云。試叩之。
則渠亦有意。但恐
兄之氣力。似不能制
其欲耳。好笑好笑。
餘萬不盡言。統
惟照在。
辛酉八月小晦。査弟 金鎭明 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