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7년 김진명(金鎭明)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8+KSM-XF.1857.4717-20160630.07142570152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진명, 남흥수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57
형태사항 크기: 29.9 X 35.8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괴시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57년 김진명(金鎭明) 서간(書簡)
1857(철종 8)년 8월 7일에 김진명(金鎭明)이 사돈에게 부친의 장지를 정하는 것의 사정을 전하고, 상대의 농사 작황이 어떤지 묻는 편지이다. 부친을 여의고 한 달이 넘었는데, 장례할 묘지를 구하지 못해 답답함을 토로하며, 우선 가매장을 해놓고 묘지를 만들 장소를 물색하고 있다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김선주

상세정보

1857(철종 8)년 8월 7일에 金鎭明(1813~1872)이 사돈에게 부친의 葬地를 정하는 것의 사정을 전하고, 상대의 농사 작황이 어떤지 묻는 편지
1857(철종 8)년 8월 7일에 金鎭明(1813~1872)이 사돈에게 부친의 葬地를 정하는 것의 사정을 전하고, 상대의 농사 작황이 어떤지 묻는 편지이다.
김진명이 예률에 구애되어 다시 편지를 못 보냈는데, 시간이 많이 지난 즈음에 상대가 잘 지내는지 안부를 물었다. 김진명 자신은 부친을 여의고 한 달이 넘었는데, 장례할 墓地를 구하지 못해 답답함을 토로하며, 우선 가매장을 해놓고 묘지를 만들 장소를 물색하고 있다고 하였다. 김진명의 부친 金繼壽(1783~1857)는 1857년 6월 26일 사망하였다. 또한 며느리는 고된 가사노동에 수척해졌으니 너무 불쌍하다고 말했다. 장례는 가을걷이 이후에야 할 듯 하며, 며느리가 장례에 쓸 菓子을 상대에게 賻儀하게 하고자 부탁한다고 하니, 오히려 자신의 마음이 부끄럽고 겸연쩍다고 말하였다. 김진명은 상대의 농장에 태풍이 지나가 농작물에 피해를 입었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는데, 자신의 지역도 흉년은 면했지만, 앞으로의 작황은 확실하게 모르겠다고 전하였다.
김진명의 字는 文若, 號는 吉軒이며 定齋 柳致明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44년(헌종 10) 증광시 생원 3등 22위로 합격하였으나 더 이상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다. 문학에 뛰어났고, 향리에서 행동이 바른 것으로 칭송을 들었다. 조부는 金聖欽으로 호가 臥溪이며, 1728년(영조 4) 李麟佐李亮信의 난을 토벌하기 위해 의병을 일으켰었다. 아버지는 金繼壽이다. 부인은 3명을 맞이했는데 안동권씨 權載書 딸과 단양우씨 禹鍾恒의 딸, 안동권씨 權永老의 딸이다. 그의 저서로는 『吉軒集』이 있다.
1차 작성자 : 박경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7년 김진명(金鎭明) 서간(書簡)

拘律闕例。前已奉白。玆不復布。便后月已易矣。未審秋高氣

棣履起居有相之道。允玉僉庇節勻吉。雖此哀苦中。悲溸一心。常
懸懸也。罪人。頑然不死。坐見節序遒變。慟迫情私。不可向人說道。且踰
月之制已及。而山地苦無可占處。日間方擬入眞城間。而山窮之嘆。奚問遠
邇耶。如不得已。則姑爲權厝之計。而傍觀。又不我足也。未知如何。而克襄大事
也。直欲溘然無知而已。奈何。婦阿幸無見病。但瘦憊特甚。此則率
幼勞力之致耳。然見甚憐憐。襄禮似在秋成後。而造果一款。婦阿欲送
之貴中。竊念自我貽弊。誠所不安。渠期於必近。未能禁遏。然愧歉則
深矣。轉聞貴庄爲頃日風雨損傷云。傳聞姑不可準信。或者之說若不妄。
果無近歉之患耶。鄙中亦免凶云耳。而來頭之灾。未可預知耳。餘
萬。荒迷中不暇舖排。姑此不備。
丁巳八月初七日。罪人 金鎭明 稽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