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7년 김진명(金鎭明)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8+KSM-XF.1857.4717-20160630.07142570151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진명, 남흥수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57
형태사항 크기: 27 X 39.7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괴시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57년 김진명(金鎭明) 서간(書簡)
1857(철종 8)년 6월 8일에 김진명(金鎭明)이 상대에게 안경을 살 수 있는지의 여부를 답장을 통해 알려달라고 보낸 편지이다. 과거시험 장소가 상대의 지역으로 정해졌으니, 시험 볼 의향이 있는지를 묻고, 혹 같이 만난다면 기이한 인연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김선주

상세정보

1857(철종 8)년 6월 8일에 金鎭明(1813~1872)이 상대에게 안경을 살 수 있는지의 여부를 답장을 통해 알려달라고 보낸 편지
1857(철종 8)년 6월 8일에 金鎭明(1813~1872)이 상대에게 안경을 살 수 있는지의 여부를 답장을 통해 알려달라고 보낸 편지이다.
먼저 상대의 안부를 전해 듣고 기쁘다고 하고, 김진명 자신은 병이 잘 들어 고생하고 있고, 며느리가 더위를 먹어 고생하던 중에 어린 손녀가 설사에 시달리고 있다고 안부를 전했다. 흉년이라 가을걷이가 좋지 못해 걱정이라고 하면서 상대의 지역은 어떤지 물었다.
과거시험 장소가 상대의 지역으로 정해졌으니, 시험 볼 의향이 있는지를 묻고, 혹 같이 만난다면 기이한 인연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김진명은 눈이 어둡게 되어 안경을 구해 써야 하는 처지에 있고, 상대에게 전에 안경을 부탁한 일을 잊지 말기를 간곡히 부탁하였다. 그러면서 안경을 살 수 있는지 없는지를 물었다. 만약 살 수 있다면 답장을 통해 알려달라고 적고 있다.
김진명의 字는 文若, 號는 吉軒이며 定齋 柳致明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44년(헌종 10) 증광시 생원 3등 22위로 합격하였으나 더 이상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다. 문학에 뛰어났고, 향리에서 행동이 바른 것으로 칭송을 들었다. 조부는 金聖欽으로 호가 臥溪이며, 1728년(영조 4) 李麟佐李亮信의 난을 토벌하기 위해 의병을 일으켰었다. 아버지는 金繼壽이다. 부인은 3명을 맞이했는데 안동권씨 權載書 딸과 단양우씨 禹鍾恒의 딸, 안동권씨 權永老의 딸이다. 그의 저서로는 『吉軒集』이 있다.
1차 작성자 : 박경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7년 김진명(金鎭明) 서간(書簡)

湖村 棣座 集史 入納。 謹封。
伻來。阻闊閱盡潦劫。馳鬱。際此尤切。適以問祥
事。入靑鳧。巧遇
令從咸哀兄。邂逅逢場。政是奇遇。奚但欣握
而已耶。詢謹審潦熱
棣床氣定淸穆。允玉庇節俱佳吉。同堂
令從俱安。賀賀。實叶勞祝。査弟。篤老筋力
善添。扶將極艱。婦阿困暑圉圉中。孩
嬌以泄症苦劇。俯仰憫憐。不可勝旣。餘
外姑遣免。但麥事。可謂大殺。而秋事二俱
極傷。未知如何究竟。奈何。聞貴庄不至如
鄙中之甚。可以俯諒此窘。而有福餽之道
耶。呵呵。試所。聞牢定於鄙府云。未知
執事更墾已荒之田。能有候發之志否。
若同便拜敍。則又是一番奇事。預切企企。
眼鏡曾所面囑。幸不置忘域否。大抵眼花晞
昏。苟無借視。則細字不分。合下頹懶。全無用心
處。誠可愧歎。聞之此兄。頃有賣鏡者。買與不
買未詳云。然
兄於我必不恝
然。須擇了可着
買之。從近惠擲
耶。專恃。餘萬。
惟待秋間面布。
姑此不宣。統惟
情照。
丁巳六月初八日。査弟 金鎭明 拜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