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598년 노비주(奴婢主) 흥양(興陽) 유학(幼學) 박수복(朴秀福) 초사(招辭)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8+KSM-XD.1598.0000-20160630.029225500004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증빙류-초사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초사
작성주체 박수복
작성시기 1598
형태사항 크기: 24.0 X 100.0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덕 인량 재령이씨 우계종택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관련자료

1598년 울산군(蔚山郡) 노비매매 사급입안(斜給立案) 문서
이 문서는 1598년 울산군(蔚山郡) 노비매매 사급입안(斜給立案)과 관련된 것이다. ①노비주(奴婢主) 박수복(朴秀福) 초사(招辭), ②증인(證人) 김건두(金建斗), 박응득(朴應得) 필집(筆執) 최운서(崔雲瑞) 초사(招辭), ③1598년 훈련주부(訓鍊主簿) 손시(孫時) 노비매매 입안(立案)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지와 매매명문은 남아있지 않으나 이 문서를 통해 손시(孫時)가 박수복으로부터 계집종 울음덕(亐音德), 진이(眞伊)와 사내종 저동(楮同), 금이(金伊), 농개(弄介) 등 노비 5구를 우황 1마리와 포목 20필을 주고 매득한 것을 알 수 있다.
①번 문서는 박수복이 노비 5구를 방매한 사실이 확실하다는 내용의 진술서이며, ②번 문서는 증인과 필집이 박수복과 손시의 거래에 참여한 것이 확실하다는 진술서이다. ③번 문서는 이를 근거로 울산군에서 사실을 입증하며 발급한 입안이다.
이 입안에는 본문기인 명문이 불에 탔기 때문에 이를 입증 받은 내용이 기재되어 있고, 울산군에서는 이를 근거로 사급입안을 발급해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문서는 임진왜란 당시에도 노비의 매매와 입안의 발급이 철저하게 준행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점에서 특징적인 가치가 있다.

문서

번호

자료명

발급

수취

노비주(奴婢主) 박수복(朴秀福) 초사(招辭)

박수복

 

증인(證人) 김건두(金建斗), 박응득(朴應得) 필집(筆執) 최운서(崔雲瑞) 초사(招辭)

김건두 외

 

1598년 훈련주부(訓鍊主簿) 손시(孫時) 노비매매 입안(立案)

울산군 

관아

손시

1차 작성자 : 조정곤
펼치기/감추기

안내정보

1598년 노비주(奴婢主) 흥양(興陽) 유학(幼學) 박수복(朴秀福) 초사(招辭)
1598년(선조 31)에 주부(主簿) 손시(孫時)가 노비매매 입안(立案)을 발급받는 과정에서, 노비를 판 흥양(興陽)에 사는 유학(幼學) 박수복(朴秀福)울산군(蔚山郡) 관아에서 진술한 내용을 담은 초사(招辭)이다. 박수복(朴秀福)손시(孫時)에게 조상에게 물려받은 노비 5명을 우황 1수(首)와 포목 20필을 받고 판 바가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598년(선조 31)에 主簿 孫時가 노비매매 立案을 발급받는 과정에서, 노비를 판 興陽에 사는 幼學 朴秀福蔚山郡 관아에서 진술한 내용을 담은 招辭
1598년(선조 31)에 主簿 孫時가 노비매매 立案을 발급받는 과정에서, 노비를 판 興陽에 사는 幼學 朴秀福蔚山郡 관아에서 진술한 내용을 담은 招辭이다. 문서 중간중간이 결락되어 있어서 정확한 내용은 알기 어렵지만, 남아 있는 부분과 점련된 문서에서 파악할 수 있는 진술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서를 작성중인 당시는 임진왜란 기간이다. 朴秀福은 난리 중에 모년에 分陣하여 어디론가 내려갔고 寧海 지역에서 어떤 일을 한 것으로 보이지만, 정확한 사연은 점련된 문기에서도 언급되지 않아 알 수 없다. 팔고 있는 노비는 총 5명이다. 점련된 문서와 비교하여 각노비의 인적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상에게 물려받은 奴 乭萬의 2소생인 亐音德(42세), 亐音德의 1소생인 婢 眞伊(22세), 2소생인 奴 楮同(20세), 眞伊의 1소생인 奴 金伊(3세), 楮同의 1소생인 婢 弄介(3세)이다.
이들 노비를 牛黃 1首와 正木 20필을 받고 판 것이 확실하니, 진위는 증인과 필집에게 확인해 보라고 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598년 노비주(奴婢主) 흥양(興陽) 유학(幼學) 박수복(朴秀福) 초사(招辭)

戊戌▣…▣。
興陽幼學▣…▣。
白等。慶州訓鍊主簿孫時告狀據
奴婢放賣▣…▣推考敎是臥乎在亦。
亂離▣…▣年十月分陣下
到▣…▣乙仍于。寧海地▣…▣
邊傳來奴乭萬二所生婢▣…▣年四十
乙卯。同婢一所生婢眞伊年二十二丁丑。二
所生奴楮同年二十己卯▣等。
及同婢眞伊一所生奴金伊年三丙申
同奴楮同一所生婢弄介年三丙申
生等。五口乙。價本黃牛壹首▣
木貳拾疋。依數捧上。後所生幷以
主簿孫時▣▣永永放賣。俱證筆
成文的實爲乎事。
白[着名]。
行郡守[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