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02년 사양서당(泗陽書堂) 통문(通文) 및 각 댁 간찰(簡札)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F.1902.4785-20150630.06252600000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문
작성주체 강시형, 배석하, 이종후
작성지역 경상북도 칠곡군
작성시기 1902
형태사항 크기: 20.3 X 300.8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902년 사양서당(泗陽書堂) 통문(通文) 및 각 댁 간찰(簡札)
1902년에 사양서당(泗陽書堂)에서 도산서원(陶山書院)으로 보낸 통문(通文)과 이에 대해 반발하는 각 댁의 간찰(簡札)을 베껴놓은 기록이다. 당시 칠곡에 있는 경호당(鑑湖堂)의 당호(堂號)를 두고 석전이씨(石田李氏) 문중 내에서 다툼이 벌어졌다. 각 집안에서는 통문의 내용에 반발하며 허락 없이 연명한 이름을 빼달라고 하고 있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상세정보

1902년에 泗陽書堂에서 陶山書院으로 보낸 通文과 이에 대해 반발하는 각 댁의 簡札을 베껴놓은 기록
1902년에 泗陽書堂에서 陶山書院으로 보낸 通文과 이에 대해 반발하는 각 댁의 簡札을 베껴놓은 기록이다.
당시 칠곡에 있는 鑑湖堂의 堂號를 두고 石田李氏 문중 내에서 다툼이 벌어졌다. 경호당은 石潭 李潤雨(1569~1634)이 지은 것으로, 그 당호는 아들인 鑑湖 李道章(1607~1677)의 호를 따른 것이다. 본 통문에서는 梅石派에서 ‘西梅’라는 이름을 그곳에 걸려고 하는 것에 대해 반발하는 내용이다. 통문에는 33명이 연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어지는 각 댁에서 보낸 간찰을 보면, 연명한 것으로 되어 있는 사람들이 이에 반발하면서 이름을 지워달라고 요청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간찰은 11건이 기록되어 있는데, 집안에서 벌어진 일을 밖에서 간섭할 것이 못 된다는 완곡한 표현으로 항의하기도 하지만, 통문에 있는 표현들을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기도 하다.
1차 작성자 : 명경일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02년 사양서당(泗陽書堂) 통문(通文) 및 각 댁 간찰(簡札)

通文。中梅陶山文。
右文爲通諭事。伏以。尊祖而不知體祖之意。則欲
尊而易犯乎無忝之戒。愛己而不知反己之道。則雖
愛而必至乎自陷之科。蓋自陷者鮮有。能無忝。
而況惟廣李氏鑑湖堂是非事。始於尊祖。
而乃起同室之䦧。終焉陷己。而實係斯文之變
者耶。蓋鑑湖堂者。於惟我石潭李先生晩構
命名之地也。講道妥靈之所也。不惟三賢之信筆
自在。而生等。世于先生之鄕。而講以先生之道。
登于先生之堂。而誦以先生之書者。豈不知。堂是
先生之堂。而號是直長公之號也哉。直長公。卽先
生之季子也。子焉而取號於斯堂者。亦可謂出於追
慕之誠。而旣無傳受之事。則安有自有堂之理哉。不
意今者。鑑翁派若爾後裔。做出傳受二字於三百
年之後。私揭新板于先生命額之右。將爲分門割
戶之計。無乃反有所未安於鑑湖公耶。噫。幽不可欺
鬼神。昭不可掩日星。而其在先生冑孫之道。當據
理而明義。則輕輕片木不落而自落矣。何必紛然爲
落板之擧哉。然西梅揭者也。誠不可以揭罪落。而且
鑑湖之號。固已行於無板之日。則遽何削於落板之
地耶。浮習未已。胥動削言。警惑人聽。而求謬通於
城市。辱冑孫於郡府。豈以鑑翁之設而無靈。負其
本意。若是之甚也。當仰體祖意。自反己過。庶不至忝
乃之地者。此生等所以區區日望。而尙不及纓冠之救矣。
何幸僉君子不以遠近。而先契攸同首義筆。討勉以戒。
懼勗以調停。以若生等之庸愚怳乎。得昏燭之復照。
塵鑑之更回。而何獨以先生之名裔。尙汨乎昏塵之中。
石田之誣通先焉。西梅之僞通繼焉。至於敢辱莫重之所。
而竟遭莫嚴之牌。此不過中間是非輩欺瞞幻做之
事。然族親焉安得辭不明之責友道焉。烏得免無
益之誅哉。全鄕相告。不覺悚懍。生等旣在堂員之
列。不可無名僞卞誣之擧。故玆因堂會。僉議峻發。
滋毫仰控。伏願。僉君子復賜回諭。不惟討僞誣之
故犯。而且以曉彛則之攸同。使枝梅石僉君子無復蹈
前失。幸甚。
製通。前參奉姜時馨。幼學。徐冀坤。割名。寫通。幼學。李楨厚。割名。尹炳達。割名。會員。幼學。鄭台燁。割名。琴錫希李心鎭。造名。徐鳳坤。割名。裵錫仁。割名。李鍾厚。割名。朴海盛。造名。李奎容。割名。鄭壽吉。偸名。李載厚。割名。趙炫稷。割名。李彦容。割名。宋載東。造名。
李源厚。割名。宋以載。割名。李時容。割名。朴羲東。割名。李炳厚。割名。朴之東。造名。趙炫熙。割名。李敬容。割名。裵錫夏。割名。李承斗。造名。都相駿。造名。朴井東。割名。都相馹。造名。朴魯純。割名。李元麟黃致達。等。割名。

中梅李進士宅。
最相思處阻如是。甚有情者。人安得不憧憧。于方寸。伏詢
春者。重堂闈鼎茵連亨康泰。棣中經體上。玉護萬旺。同堂
節宣均仁否。仰煩區區靡懈。弟長時勞碌。而近以嫂氏重
祟。日事薰惱良悶之。當初鄙名之不出中西梅。非徒無輕重
於其間。果緣難安。尙此縮伏矣。今聞鄙名書入於難重之
下。故詰其由於周老兄。則專擔於吾兄平日相愛之地。豈可
如是恝然乎。實非所仰也。蔽一言。鄙名勿入通中。千萬仰企
之耳。壬人三月卄三日。弟。裵錫夏龍川

上枝霞堂宅。
伏惟。春晩。靜體事萬重。仰溯區區。鄙等姑保劣狀耳。就
貴門鑑湖堂是非。自是一家之事。固非外人所可干涉
者。而今見貴中之抵陶山通草。則鄙等之名或在寫
通之任。或在會員之列。是何故也。蔽一言。鄙等之名
拔去于貴通中。使人幸免于難堪之責。千萬仰企。
恕諒若何。壬寅三月念三日。記下。李鍾厚李楨厚李炳厚李源厚李載厚。等。鳳岩

上枝霞堂宅。
伏惟。春暮。靜體候萬安。仰溯區區。弟等各保劣狀耳。
就貴中鑑湖堂是非事。旣有石田門通。則實非外人之所可
干涉。而今見貴中之抵陶山答通草。則鄙等之名亦入
其中是。何驅入於難當之地乎。玆敢割去于貴通中。諒此
事勢。幸勿罪責。如何。
壬寅三月卄六日。弟。趙炫熙趙炫稷。等。霜池

中梅僉座下。
阻仰何極。伏惟。春䦨。僉體候萬重。仰溯區區。弟等
各保劣狀耳。第貴門鑑湖堂是非事。已有石田門通之
斷案。則固非外人所可干涉者。而今見貴中之抵陶山
答通。則鄙名在於製通之任。是何使人難堪於其間耶。
且以通辭觀之。則有石田誣通鑑翁沒而無靈之說。自
來世好之餘。有何嫌隙於其家。而有此未安之說乎。以彼
以此。鄙等之名不可添入於貴通中矣。恕諒。如何。
壬寅三月卄五日。弟徐鳳坤徐冀坤。等。梅南寓。

中梅僉座下。
伏惟。春暮。僉體動止萬重。仰溯區區。下生姑保前狀耳。第
貴中鑑湖堂是非事。石田之通已是斷案。而今見貴中抵
陶山之通也。有石田誣通鑑翁沒而無靈之說。究其語意。
大是未穩未安。鄙意則斷似不然。玆敢割名于貴通中。諒
下。如何。壬寅三月卄五日。下生。黃致達泗水

中梅僉座下。
伏惟。春暮。僉體候萬安。仰溯區區。弟僅保衰狀耳。就貴門
鑑湖堂事。旣有石田門通。則實非外人所可干涉。而今見貴
中之抵陶山答通草。則有石田誣通鑑翁沒而無靈之說。
是何措語乎。鄙名玆敢割去于貴通中。恕諒。如何。
壬寅三月卄六日。弟。鄭台燁上枝

中梅僉座。
寒喧不須言。第以鑑湖堂是非事。貴中聞抵陶
山之通也。偸入鄕內各員之名。多有虛無欺瞞之說。而鄙名
亦入其中。何道理乎。大抵一家是非。自其家歸正。
則石田之通。可謂斷案矣。況鄙先朝靜養齋公。爲
鑑湖先生門下。則安有以門徒承反辱其師門者
乎。通中僞誣之說。是不過自露其貴中之行事。而
又曰。全鄕相告不覺悚懍云。相告者。何人也。悚懍
者。何人也。仰呵且歎。鄙名卽爲割去于泗陽通
中。以此諒之。如何。壬寅三月卄六日。宋以載上枝

上枝霞堂宅。
天氣漸和。想靜居趣味日長。但久汨俗務。未能一叩高軒爲
恨矣。弟等依劣已耳。就貴門鑑湖堂事本非。他人之所可與
論。而今見抵陶山鄕通。則語多有礙。雖不敢枚擧。而高
明亦黙量矣。且如鄙等之名。正是江湖鳧鴈。不足爲增減
於寫通之末。望須割去。於左於右。無至致訝於其間。如何。
跋跋。壬寅三月念四。李奎容李時容李彦容李敬容。等。東石田

中梅僉座下。
伏惟。春暮。僉體動止候萬重。仰溯區區。下生等名保劣
狀耳。第貴門鑑湖堂事。旣有石田門通。則自非外人之
所可干涉。而今見貴中之答陶山通草。則鄙等之名亦
入其中。是何使人難堪於其間也。以彼以此。諒此事
勢。鄙等之名拔去于貴通中。以保養家之誼。千萬伏
望。壬寅三月卄九日。朴羲東朴井東。等。屛洞

中梅僉座。
伏惟。初夏。僉體萬安。仰溯區區。弟僅保劣狀耳。
第貴門鑑湖堂事。旣有石田門通。則實非外人之
所可干涉。而今見貴中之抵陶山通草。則語多有未
安處。此非外人之所可論也。蔽一言。鄙名拔去于貴通
中。無使人致嫌於其間。千萬仰望耳。
壬寅四月初四日。裵錫仁上枝

上枝僉座霞堂宅。
伏惟。初夏。僉體萬重。仰溯區區之至。第貴門鑑
湖堂事。今見本鄕抵陶山通文。則辭意有所未
安。至有割名之擧。而鄙名亦入於寫通。兩家世好之
地。豈有如是之難當者耶。玆以仰懇。鄙名亦爲還擲。
如何。壬寅四月初五日。尹炳達旺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