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73년 김양진(金養鎭)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F.1873.4717-20150630.06252570081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양진, 이중석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73
형태사항 크기: 27.3 X 32.4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73년 김양진(金養鎭) 서간(書簡)
1873년 9월 9일에 우헌(愚軒) 김양진(金養鎭)이 묘소 이장을 순조롭게 거행하고 딸이 쾌차한 데 대해 기쁜 마음을 표하고 擇日하는 일에 대해 부탁을 했다는 것을 알려 주기 위해 이중석(李中錫)에게 보낸 편지이다. 처음 상대의 근황이 궁금하던 차에 편지를 받아 상대측의 안부를 확인하고, 이장도 잘 치렀으며, 상대의 아내이자 자신의 딸도 병에서 나았고, 상대의 종숙(從叔)이 고향으로 잘 돌아와 지낸다는 소식을 들어 매우 위로되었다는 말을 전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근황으로 가을 농사에 관한 이야기, 형님과 식구들의 안부 등을 알렸다. 이어서 상대가 부탁한 좋은 날을 선정하는 일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하였다.
1차 작성자 : 김동현

상세정보

1873년 9월 9일, 愚軒 金養鎭이 緬禮를 순조롭게 거행하고 딸이 쾌차한 데 대해 기쁜 마음을 표하고 擇日하는 일에 대해 부탁을 했다는 것을 알려 주기 위해 李中錫에게 보낸 편지
1873년(고종 10) 9월 9일에 愚軒 金養鎭(1829∼1901)이 緬禮를 순조롭게 거행하고 딸이 쾌차한 데 대해 기쁜 마음을 표하고 擇日하는 일에 대해 부탁을 했다는 것을 알려 주기 위해 李中錫(1854~1912)에게 보낸 편지이다.
이중석李秉淳의 曾孫이자 李晩禧의 아들로, 자가 圭範이다. 그는 義城金氏와 혼인하였는데, 의성 김씨는 바로 김양진의 딸이다. 따라서 김양진이중석의 장인이 된다.
먼저, 전에 부쳤던 편지에 대해 이중석이 답장하지 않은 데 대한 염려와, 이중석이 緬禮를 잘 거행했는지 딸의 차도가 어떤지에 대한 궁금증이 심했던 상황에 대해 언급하였다. 그런데 뜻밖에 인편을 통해 이중석의 편지를 받고 매우 놀란 뒤에 査夫人과 이중석 형제가 평안하다는 것, 緬禮를 정해진 날짜에 순조롭게 거행했다는 것, 딸이 쾌차하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더구나 이중석의 從叔 令公이 돌아온 지 이미 오래되었는데 건강이 상하지 않았다는 얘기를 들으니 더욱 위안이 된다고 하였다.
김양진 자신은 오랫동안 혼란스런 일에 골몰되어 있다고 하면서, 가을 농사가 집중되는 시기를 맞아 아들과 조카를 멀리 보내어 대신해서 일을 보게 하여 걱정을 쏟다가 지금 안정을 찾게 되었다고 하였다. 형님께서 별 탈 없으시고 식구들이 예전처럼 평안하니 다행이라고 하였다. 擇日紙에 대해서는 이중석이 자신에게 부탁한 이상 사양하지는 못하겠으나 擇日할 사람이 늘 이렇게 轉請하는 것을 싫어하여 精心으로 擇日해 줄지는 모르겠다고 하였다. 10일 이후에 宜仁과 가까운 곳으로 자신이 가게 되는데 그 기회에 이중석과 그의 從叔을 만나고 싶지만 기필할 수는 없다고 하였다.
이중석은 본관이 眞城, 자가 圭範이다. 그는 隱拙齋 李守弘의 曾孫인 이병순의 증손이다. 곧 眞城李氏 宜仁派에 속해 있다. 陶山書院의 院任을 지냈다.
1차 작성자 :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73년 김양진(金養鎭) 서간(書簡)

壻君 答疏。
省。前此付疏。有往無復。慮念之情。不徒阻懷。一則緬奉之
克襄也。一則女病之加歇也。夙宵燥鬱。殆欲發狂。豈不欲走一力
以探。而値此殷務。討暇無路。每東望虛竚。意外因遞。得承
手疏。驚倒之餘。因諦
慈闈節宣萬支。侍哀棣履持重。襄禮果以定日利行。而女阿
所苦。亦得快可。一以慰孝子得恔之心。而一以釋此間一線之情也。兩
塗欣快。一書幷得。信息之大。孰有加此。況聞從玩令公旋駕已
久。體節無損。尤何如其慰荷也。服人。長時在擾汨中者。値秋務
蝟集之際。遠送兒侄。隻手替看。費了神氣。今得靖貼。而又未
知掃去塵冗。復來侵尋也。但兄候免諐。都集依穩。是慰耳。
擇日紙。君與我俱在微生之科。而君旣托我。我不得辭。然此友
每厭此等轉請。其精心磨擇。未可知。第當極力圖之耳。
旬後有貴近行。欲迤晉一握。兼敍從玩丈。而姑未可必耳。
餘。吾行若遂。則面悉在卽。都漏。不具疏式。
癸酉 重九日。婦拙服人 養鎭 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