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33년 이가발(李家發) 혼서(婚書)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F.1833.0000-20150630.K27140030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내용분류: 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작성주체 이가발, 최효술
작성시기 1833
형태사항 크기: 37 X 50.5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대구 칠계 경주최씨 백불암종중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33년 이가발(鄭祥和) 혼서(婚書)
1833년 9월 9일, 영천이씨 이가발칠계최효술에게 보내는 혼서이다. 이가발은 손자가 경주최씨 집안으로 장가를 가게 되어 매우 흡족해 하였다. 사주단자를 적어 보내면서 상대편의 안부를 묻는 인사도 함께 전하였다.
1차 작성자 : 김명자

상세정보

1833년(순조 33) 9월 9일 李家發漆溪崔孝述에게 보내는 婚書
1833년(순조 33) 9월 9일 李家發(1776∼1861)이 漆溪崔孝述(1786~1870)에게 보내는 婚書이다.
이가발칠계최효술이 보낸 편지를 받고, 늦가을 건강이 잘 보위되고 있음을 알게 되어 위로가 된다는 내용의 인사로 편지를 시작하였다. 본론에서 손자의 혼인은 나이를 묻는 절차를 거치게 되어 평소에 바라던 바에 부응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아울러 사주단자는 말씀하신 바대로 올리며, 나머지는 갖추지 못하니 살펴봐 달라고 하였다.
편지는 사주단자를 보내기 위해 작성된 것으로 내용이 매우 짧다. 이것은 定婚을 한 뒤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신랑의 四柱인 생년, 월, 일, 시의 네 干支를 적어서 보내는 것이다.
발급인 이가발의 자는 英叔, 호는 素宇, 본관은 永川이다. 아버지 李宜明과 어머니 파평윤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801년(순조 1) 생원시에 합격했으며, 형제는 李英發, 李羲發(1768~1850, 號 雲谷), 李恂發 등이다. 柳致明(1777~1861)이 이가발의 죽음을 애도하며 쓴 만시가 『定齋集』 권1 「輓李英叔家發 二首」에 실려 있는데, 이를 통해 이가발의 인품과 학문의 일부를 알 수 있다.
수취인은 최효술로 상정했는데, 그의 어머니 진양정씨1853년에 돌아가셨기 때문이다. 최효술의 본관은 慶州, 자는 穉善, 호는 止軒이다. 百弗庵 崔興遠의 증손이고, 아버지는 통덕랑 이며, 어머니는 晉州鄭氏로 立齋 鄭宗魯의 딸이다. 그는 외할아버지 정종로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60년에 遺逸로 천거되어 莊陵參奉에 제수되었고, 1865년에 敦寧府都正을 거쳐 副護軍에 이르렀다. 성리학과 예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柳致明 · 李秉夏 · 李敦禹 · 이휘령 · 이원조 · 孫亮述 등 영남의 석학들과 학문적인 교유가 있었다. 성리학에 있어서는 퇴계 이황의 학통을 이어받아 主理論의 입장을 취하였으며, 음양역리학에 대하여도 남다른 조예가 있었다. 『지헌집』15권 7책이 전한다.
『慶州崔氏匡靖公派大譜』, 新川族譜社, 1992
1차 작성자 : 김명자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33년 이가발(鄭祥和) 혼서(婚書)

漆溪 崔生員 侍案 執事。
雲谷 李査契 謹謝狀。省式謹封。

伏承
專札。謹審季秋。
尊候動止。崇衛。仰慰區區
無任。孫兒親事。旣蒙問
年之儀。實副平日之願。
四星依
敎錄呈。餘不備。伏惟
尊察。謹拜謝上狀。
癸巳 九月 九日。永陽 李家發 再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