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18년 홍석호(洪奭浩)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7+KSM-XF.1818.0000-20150630.06252570001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홍석호, 이병순
작성시기 1818
형태사항 크기: 18.6 X 43.9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의인 진성이씨 의인파 은졸재고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818년 홍석호(洪奭浩) 서간(書簡)
1818년 8월 6일에 홍석호(洪奭浩)가 객관(客館)를 구하는 일과 관련하여 이병순(李秉淳)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수령으로 재직하고 있는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서울 행차를 잘 하고 왔는지와 상대방의 조카 및 가족들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어머니의 건강 악화와 다가온 과거 때문에 신경이 쓰인다고 하였다. 자신이 객관을 구하는 일과 관련하여 여러 번 간청했으니, 상대방이 이미 잘 처리했을 줄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현재 같이 공부하는 벗을 먼저 가게 했는데 관가에서 방 하나를 정해 주면 다행일 것이라고 하고, 끝으로 자신은 보름 전에 출발할 것인데 그때 인사드릴 것이라고 하였다.
1차 작성자 : 서진영

상세정보

1818년 8월 6일, 洪奭浩가 客館을 구하는 일과 관련하여 李秉淳에게 보낸 편지
1818년(순조 18) 8월 6일에 洪奭浩가 客館을 구하는 일과 관련하여 李秉淳(1751~1818)에게 보낸 편지이다.
피봉의 내용으로 보면, 수신자인 李秉淳淸安縣監으로 재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李秉淳1814년(순조 14) 1월에 淸安縣監으로 제수되었다. 먼저, 지난번에 嘉興倉의 下隷 편에 보낸 편지를 李秉淳이 보았을 줄로 생각된다고 하고, 어느덧 가을도 절반이 지난 이때 수령으로 재직하고 있는 李秉淳이 철따라 건승할 줄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달포 전에 서울로 갔던 李秉淳이 무사히 돌아왔는지도 묻고, 李秉淳의 조카인 上舍 兄이 아직 淸安 관아에 머물고 있으며 가족들도 평안한지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어머니가 여름을 보내는 동안 건강이 악화되어 애가 타는데 科擧 날짜가 임박한 상황이라 모든 일이 신경 쓰인다고 하였다. 자신이 客館을 구하는 일과 관련하여 그동안 만나 얘기하거나 편지로 간청하였던 것이 한두 번이 아니니 李秉淳이 이미 헤아려서 처리했을 줄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현재 事勢가 난처하여 同接 중에서 金 友를 먼저 가게 했다고 하면서, 官家에서 유념하여 방 하나를 정해 주면 다행일 것이라고 하였다. 아울러 시비 거리에 대해서는 吏校에게 특별히 분부하여 무뢰배들에게 橫奪 당하는 문제가 없게 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끝으로 자신은 보름 전에 출발할 듯하다고 하고 그때 나아가 인사드릴 생각이라고 하였다.
李秉淳(1751~1818)은 본관이 眞城, 자가 幼性이다. 그는 退溪 先生의 손자 李純道의 高孫인 隱拙齋 李守弘의 曾孫이다. 곧 眞城李氏 宜仁派에 속해 있다. 그는 1804년에 식년 생원시에 입격하고, 1814년에 淸安縣監으로 임명되었는데, 재직 중이던 1818년에 사망하였다.
1차 작성자 : 김장경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18년 홍석호(洪奭浩) 서간(書簡)

淸安 政軒 下執事 入納。
達川 洪生 拜候書。 謹封。
向憑嘉興倉隷便修
候。伏想下覽矣。居然
秋半。伏惟辰下
政餘動止候若序萬
衛。伏慰且溯不任區區。
月前洛駕。果能平安
返稅。而令咸上舍老
兄。尙住衙中。而諸節
平善耶。幷溸切切。下生
慈候經暑靡寧。情
私煎迫中。槐期看看
迫頭。凡百無非關心。勢
也奈何。就告舍館事。
前後面陳書懇。旣非
一再。則伏想已爲
下諒處之。而目今事勢
有難。前期躬進。故同接
中金友。玆令先赴。而自官家雖爲留念。定置
一舍。則幸矣。而此友去後。是非相爭之端。
特爲分付吏校。無使無
賴輩橫奪之患。千萬
伏望。下生發行。
似在望前。其
時進候計
耳。餘萬。姑不
備書禮。
戊寅 八月 初六日。下生 洪奭浩 拜手。